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논문의 목적은 현재의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이어지는 유럽의 지정학적 갈등을 유럽연합의 외교안보정책에 내재한 딜레마라는 관점에서 분석하는 것이다. 2000년대 이후 유럽에서 발생한 지정학적 갈등은 러시아의 수정주의적 도전을 한 축으로, 나토와 유럽연합을 다른 한 축으로 한 것이었다. 유럽연합은 출범 이후 외교안보와 군사방위 분야의 정책 발전을 통해 유럽의 주요 안보 행위자로 부상해 왔다. 그러나 이 과정은 동시에 러시아와의 지정학적 갈등을 촉발하는 과정이었다. 유럽적 가치와 규범의 확산을 목표로 2004년 출범시킨 유럽근린정책(ENP)이 갈등의 직접적인 도화선이었다면, 독자적인 안보방위정책의 발전이 낳은 나토와의 동조화(coupling)는 갈등을 구조화하는 요인이었다. 그리고 유럽연합 외교안보정책의 분절적 성격은 이러한 과정을 촉진하는 제도적 요인이 되었다. 유럽연합 외교안보정책의 딜레마는 유럽적 가치와 규범의 확산, 나토와의 동조화, 정책결정과정의 분절성 등 정책의 근본적 속성이 의도하지 않은 결과를 낳는다는 데 있다. 현재의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이어지는 유럽의 지정학적 갈등은 이러한 관점에서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Assessing the impact of the Asian bond markets initiative on bond market development in Asia : 아시아채권시장 이니셔티브(ABMI)가 아시아 채권 시장 발전에 미친 영향 평가 : 이중차분법(DID) 분석 결과 / evidence from a DID analysis Hyun, Suk p. 67-96

국민국가 담론을 통해 본 '정상 국가' 용어의 이데올로기적 특성과 합리적 행위자로서의 국가 = The ide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term 'normal state' and the state as a rational actor viewed through the discourse on the nation-state 문상석 p. 245-274

일본의 경제안보 입법화에 따른 기업의 글로벌 공급망 정책동향 = Global supply chain policy trends in Japan's economic security legislation 강철구 p. 193-215

Minimum wage and labor mobility : 최저임금과 노동의 이동성 : 캘리포니아 노동에 관한 경험적 연구 / an empirical study on labor in California Kim, Chong-Uk, Lim, Gieyoung p. 275-302

비교문화적 시각에서 본 중국 문화의 특징 : Characteristics of Chinese culture from a comparative cultural perspective : discussing changes in China's cultural communication strategy / 중국의 문화 소통전략의 변화를 겸하여 논함 서영빈, 이설경 p. 169-192

코로나 시기 영국인의 기부행동에 관한 연구 : A study of British donation behaviors in the post Covid-19 : 'trust in charities' among generation Z / 영국 Z세대의 비영리 자선기관에 대한 신뢰도를 중심으로 조의행 p. 217-243

유럽통합과 오픈보더(Open Border)가 북아일랜드 분쟁해결에 미친 영향 연구 = The impact of EU integration and 'open border' on the Northern Ireland peace system 김기현, 정한범 p. 141-167

EU 외교안보정책의 딜레마와 우크라이나 전쟁 = Dilemmas of EU foreign and security policy and the Russia-Ukraine War 배병인 p. 5-36

한중 지방 교류 활성화를 위한 법·제도적 개선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legal and systematic improvement for the promotion of regional exchange between Korea and China 김정수, 이주형 p. 303-333

아프리카연합(AU)의 리더십 진단 : Assessing African Union (AU)'s leadership : focusing on member countries' acceptance of sanctions / 제재에 관한 역내 수용성을 중심으로 한수진 p. 335-365

대만에 대한 중국의 군사력 사용 가능성에 대한 소고(小考) : China's possible use of military force against Taiwan : focusing on the amphibious landing operational capabilities / 상륙(amphibious landing) 작전 역량을 중심으로 모준영 p. 37-66

중국과 아세안의 디지털 경제 협력 : A study on China-ASEAN digital economic cooperation : ASEAN's digital silk road cooperation strategy / 아세안의 디지털 실크로드(DSR) 수용 전략을 중심으로 정혜영 p. 97-1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