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2019 개정 누리과정을 경험한 장애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한 질적 연구의 메타분석을 통해 Foucault의 윤리적 주체화의 과정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교사의 윤리적 주체화 방법에 대한 시사점과 이후 누리과정의 개정 방향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개정 누리과정을 경험한 장애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한 질적연구 10편을 선정하여, Noblit와 Hare(1988)가 제안한 단계와 나장함(2008)과 이정숙(2017)의 연구를 참고해 질적 메타분석을 실시하여, 장애유아교사의 경험을 종합하고 개념화, 범주화하였다. 연구결과: 장애유아교사들의 윤리적 주체화의 과정은 ‘얽힌 권력관계 구성’과 ‘파르헤지아적 발화’, ‘자기 배려의 실천’이라는 3가지로 범주화되었다. ‘얽힌 권력관계 구성’은 ‘비판적 사유하기’와 ‘권력관계 맺기’, ‘파르헤지아적 발화’는 ‘솔직하게 말하기’와 ‘용기 있게 말하기’, ‘자기 배려의 실천’은 ‘자기 인식하기’와 ‘자기 연마하기’로 세분화되었다. 논의 및 결론: 분석된 결과를 바탕으로 파르헤지아의 실천을 보장하는 제도적 장치 마련과 교사공동체의 활성화를 제안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다선일미 사상이 다도교육에 주는 시사점 : Implications for tea ceremony education of the Daseonilmi thought : focusing on the relations with ecological education / 생태교육과의 관련을 중심으로 허인영, 최승현, 서범종 p. 201-217

취업준비생을 위한 게슈탈트 관계성 향상 프로그램(GRIP)이 취업불안과 외로움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s of gestalt relationship improvement program(GRIP) on job-seeking anxiety and loneliness among job seekers 남혜라, 이동형 p. 1-23

한국과 싱가포르의 교사학습공동체 운영 실태 비교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n the operation status of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in Korea and Singapore : focusing on teacher data from TALIS 2018 / TALIS 2018 결과를 중심으로 윤혜원 p. 219-248

잠재적 프로파일을 통한 지방 사립대학 휴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 유형 분석 = The classification of college adjustment types using latent profile analysis 정지언 p. 249-270

가족건강성이 사회적 부모역할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인애착의 매개효과 검증 :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adult attach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mily strength and pre-parental role recognition of Korean and Chinese college students / 한중 대학생의 차이를 중심으로 우판, 채진영 p. 295-319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 발달 궤적 탐색 : The social stigma development trajectory of out-of-school adolescents : focusing on the influence of predictive factors and differences in outcome variables / 예측요인의 영향 및 결과변인의 차이를 중심으로 안태용 p. 271-293

대학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역사적 고찰 : A historical review on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universities : focusing on meaning reflections based on John Dewey's philosophy of experience / 존 듀이의 경험철학에 토대한 의미 성찰을 중심으로 권정선, 김회용, 배지현 p. 25-50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실습 경험 연구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 A qualitative meta-synthesis on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educational practice experience 서보순 p. 51-80

종단 측정동일성 검증을 위한 정렬법의 적용 = Application of alignment method for longitudinal measurement invariance testing 김선미, 이수빈, 박찬호 p. 321-344

GOLDEN 성격유형검사의 한국 타당화 연구 = A study on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Golden personality type profiler 오인수, 손지향, 이보람, 성태제, 송해덕, 김랑 p. 81-110

학대피해 아동을 위한 미술치료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국내 실험연구 메타분석 = A meta-analysis of experimental research on the effects of art therapy program for abused children 송소현, 김진희 p. 345-373

장애유아교사들의 2019 개정 누리과정 경험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 The experiences o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of preschool teachers for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 a qualitative meta-analysis focusing on Foucault's subjectivation : Foucault의 주체화를 중심으로 김소희, 이연우, Chlaihani Basma p. 375-397

지방대학 학생의 대학생활만족도에 관한 잠재계층 분류 및 관련요인 분석 = Latent classes in the campus life satisfaction of local university students and testing the effects of related factors 백상현 p. 399-423

다행복학교 운영의 성과와 촉진요인 및 한계와 저해요인 분석 : Performance and facilitating factors in the operation of Dahaengbok School and analysis of limitations and impediments : based on teacher experience / 교사 경험을 중심으로 김혜영, 홍창남 p. 111-140

초등학생의 자기결정성동기 잠재프로파일에 따른 친사회적 행동, 친구지지, 수업참여 및 수업이탈의 차이 = Differences in pro-social behavior, friend support, class participation, and class departure according to the latent profile of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염혜선, 임성애, 정유지 p. 425-446

신유물론의 행위성 담론을 통해 바라본 유아교사의 얽힌 되기 = Entangled becoming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rough the agency discourse of new-materialism 김지현, 최고은, 정혜영 p. 141-173

전문상담교사의 청소년 성소수자 상담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School counselors' experience of counseling with LGBT youth : a qualitative study 유성아, 김희정 p. 447-484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유아교육과정 평가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Analysis of research trends related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evaluation through network analysis 손유진, 강승지 p. 175-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