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글에서는 시대 변화를 이해하여 한국/고전/문학의 개념을 해체적으로 재구성하는 방법에 대해 고전과 현대, 한국과 세계를 대화적으로 연결하는 교육과 연구의 큐레이션 개념을 제안하고, 소통적 고전문학의 연구와 교육이 창신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했다. 한국고전문학이라는 학술적 명명과 제도적 영역은 1950년대 이후에 확립된 국어국문학이라는 분과학문의 세부전공의 일부로 제도화된 이후,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다. 글로벌 환경과 디지털 시대에 문학 수용자의 초다양성이 활성화되고 (기계)번역을 통해 문화간 소통이 다양화되는 현재의 문학 현상을 아우르기에, 대략 70여 년 전에 제안되고 확립된 ‘(국어국)문학’ 개념으로 해당 현상을 포섭하는 것이 부적절하고 맞지 않는 부분이 있다. 이에 따라 한국문학, 또는 고전문학의 개념과 학제를 해체적으로 재구성하기 위한 방향 모색이 필요하다. 현대는 국적, 언어, 인종의 경계를 넘어선 엑소포니의 활동이 증가하고 있다. 문학과 문화, 예술 수용과 창작의 장르적 경계와 국경을 넘는 활동도 활성화된다. 이에 따라 문학의 개념의 확장적 재구성이 필요하며, 언어, 장르, 국경이라는 경계를 이월하고 연결성을 실현하는 제도적, 실천적 모색이 필요하다. 변화하는 젠더 감수성과 인권 감수성을 고려한 고전의 향유와 교육 방안도 요청된다.

In this article, we propose a curation concept of education and research that interactively connects classics and modern times, Korea and the world, and a communicative I searched for ways to innovate the research and education of classical literature. Through this, the viewpoints, perspectives, methods, and alternatives of research and education that can contribute significantly in the fields of humanities, Korean studies, and classical literature were sought. Classical literature has been institutionalized as part of the sub-major area of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established since 1950s, and continues to this day. In the global environment and the digital age, the super-diversity of literature audiences is activated and intercultural communication is diversified through (machine) translation, encompassing the current literary phenomenon, which was proposed and established about 70 years ago. There are parts that are inappropriate to cover the phenomenon with the concept.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seek a direction for the deconstructive reconstruction of the concepts and disciplines of Korean literature or classical literature. In the 21st Century, exophony activities that transcend the boundaries of nationality, language, and race are increasing. Activities that transcend genre boundaries and borders of literature, culture and art acceptance and creation are also activated. Accordingly, an expansive reconstruction of the concept of literature is required, and an institutional and practical search is needed to carry over the boundaries of language, genre, and national border and realize connectivity.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접촉과 접속, 다른 기억으로 야담 만들기 : Contact and connection, making yadam with different memories : focusing on <The Anecdote of Jo Gwang-jo> / <조광조 일화>를 중심으로 김준형 p. 7-59

조선 士人의 만남과 절교 : Meeting and breakup of Joseon scholars : focused on the cases of Lee Jeong and Jo Shik / 李楨과 曺植의 사례를 중심으로 박동욱 p. 61-87

전쟁, 영웅, 이념 : War, heroes, ideology : wars seen through Korean classic novels / 한국 고전소설에서 본 전쟁 정길수 p. 89-153

<아기장수>의 반영성과 반성성, 그리고 전설 교육 = Reflection, reflexivity, and legend education in <Baby-General> 유정월 p. 155-181

고전문학에서 소통의 장애와 극복방안 = A study on the interferences and overcoming in the communication of the classical literature 이도흠 p. 183-215

豹變의 한국고전문학, 연구와 교육 : Research and education of Korean classics with the concept of innovation : through the global digital environment, gender sensitivity, and (machine) translation / 글로벌·디지털 환경, 젠더 감수성, (기계)번역을 경유하여 최기숙 p. 217-258

조선후기 가사의 복합적 성격 규정 고찰 = A study on the complex characteristics of Ga-sa(歌辭) in the late Jo-seon(朝鮮) Dynasty 김형태 p. 261-294

을 중심으로"> 조선후기 판소리에 나타난 聖과 俗의 統攝 양상과 의미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acred and profane and its meaning of Pansori literautre in late Choson Dynasty : focusing on "Chunhyang-jeon" / <춘향전>을 중심으로 신호림 p. 295-324

한글장편소설에 나타난 여성과 종교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women and religion in Korean classical novel :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omen, Buddhism, and Taoism / 여성인물과 佛·道의 관계를 중심으로 채윤미 p. 325-362

<취미삼선록>의 시공간 구조와 파생작으로서의 의미 = The space-time structure of Chuimisamseonrok (翠微三仙錄) and its meaning as a derivative work 김강은 p. 365-398

고전소설에 나타나는 수치심의 역학 : The dynamics of shame in Korean classical novels : a focus on Ogwonjaehapgiyeon / <옥원재합기연>을 중심으로 전기화 p. 399-437

橧巢 金信謙의 隱逸 의식과 시세계 = Poetry world by Jeungso Kim Shin-gyeom's (橧巢 金信謙) seclusion (隱逸) consciousness and poetry world 이새롬 p. 439-468

표암 강세황 家 관련 筆帖 자료 탈초·번역 및 해제. The bibliographical introduction, translation, and changing the 草書(the very cursive style of writing Chinese characters) into 正字(the correct form of a character) of Pyoam Kang Sehwang's hand writing book. 2, Focus on the 『直欲泛仙槎帖』 / 2, 『直欲泛仙槎帖』을 중심으로 정은진 p. 469-526

蜜啞子 劉元杓의 1910년부터 1929년까지의 행적에 대한 고찰 = A study of Yu Wonpyo(劉元杓)'s life from 1910 to 1929 엄기영 p. 527-567

김정은 시대 북한의 고전문학 연구 현황 = On the research on Korean classical literature in Kim Jong Un period North Korea, 2012-2021 정병설 p. 569-5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