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목적: 안외상 후 후방인공수정체가 결막하 공간으로 이탈한(인공수정체 전위) 증례를 살펴보고자 한다.

증례요약: 우안 포도막염 녹내장으로 섬유주절제술, 방수유출장치삽입술, 공막경유모양체광응고술, 백내장수술을 받은 66세 남자가 쇠막대기에 우안을 찔린 후 통증과 시력저하로 방문하였다. 우안의 시력은 안전수동, 안압은 3 mmHg였고, 결막하 출혈과 전방출혈이 관찰되었다. 이후 출혈 감소 후 시행한 검사에서 비측 각막윤부 뒤쪽 포도막 탈출, 후낭에 있던 인공수정체가 비측 결막하 공간으로 이탈된 모습이 관찰되었다. 외상 전과 비교해서 녹내장수술 여과포 및 튜브의 양상에는 변화가 없었다. 환자가 적극적인 처치를 원하지 않아서 결막 절개 후 인공수정체만 제거하고 경과 관찰하였다.

결론: 녹내장수술, 백내장수술 및 레이저 치료를 받은 눈에서 외상 후 발생한 후낭인공수정체 전위의 증례를 경험하였다. 외상 직후에는 결막하 출혈과 전방출혈 때문에 수정체의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기 어려웠다. 외상 후 수정체의 위치가 확실히 관찰되지 않거나 탈구된 상태로 판단될 때, 유리체강으로의 탈구뿐만 아니라 결막하 공간으로 전위의 가능성도 고려해야 할 것이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안구위축 또는 무안구에 동반된 안구함몰 교정을 위한 눈뒤 필러 주입술의 효과 = Efficacy of retrobulbar filler injections for correcting enophthalmos associated with phthisis bulbi or anophthalmos 한솔아, 양민규, 최영아, 사호석 p. 1-8

네 가지 기기를 이용하여 측정한 수평각막윤부직경 비교 = Comparison of horizontal white-to-white diameter measured using four devices 윤다은, 조수창, 김현진, 한경은 p. 9-15

플랜지형 인공수정체 공막내고정술에서 Double-needle Stabilizer의 효과 = Effect of double-needle stabilizer during flanged intrascleral fixation of intraocular lens 박준영, 문종원 p. 16-24

강화된 단초점인공수정체와 단초점인공수정체, 삼중초점인공수정체의 임상 결과 비교 = Comparative analysis of clinical outcomes after placement of enhanced monofocal, monofocal, and trifocal intraocular lenses 김부기, 정영택 p. 25-34

치료 경험이 없는 중심망막정맥폐쇄안과 나이 및 성별 매칭 정상안의 맥락막혈관지수 비교 = The choroidal vascularity indices of treatment-naïve patients with central retinal vein occlusion and age-/sex-matched controls 주혜준, 김하경, 마대중, 문용석 p. 35-42

비디오 영상을 이용한 녹내장 환자의 안약 점안 실태 분석 = Video-recording the eyedrop instillation techniques of glaucoma patients 조영리, 이태은 p. 43-50

근시가 동반된 간헐외사시 환자에서 근시전교정이 외편위에 미치는 영향 = Clinical effects of myopia correction on the angle of exodeviation in patients with intermittent exotropia 남푸르메, 하석규, 김승현 p. 51-57

결막 광범위큰B세포림프종 = Conjunctival diffuse large B-cell lymphoma 김영은, 장규윤, 유인천 p. 58-61

유리체절제술 및 공기-액체교환술과 함께 시행된 플랜지 형태의 공막고정술 2예 = Two cases of flanged intrascleral fixation performed with vitrectomy and air-fluid exchange 강은진, 이송민, 권윤형 p. 67-72

안외상 후 후방인공수정체가 결막하 공간으로 이탈한 증례 = Traumatic posterior chamber intraocular lens dislocation into the subconjunctival space 이홍원, 신정화, 이종욱, 박지석, 김경남, 황영훈 p. 73-77

체위에 따른 시력 변화를 보인 낭내 혈종 환자 1예 = Visual acuity changes with a position shift in a patient with an endocapsular hematoma 황규은, 인정희, 조인환 p. 62-66

참고문헌 (16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Biedner B, Rothkoff L, Blumenthal M. Subconjunctival dislocation of intraocular lens implant. Am J Ophthalmol 1977;84:265-6. 미소장
2 Sassani JW, Nichols C, Kimball R, Yanoff M. Subconjunctival phacocele: an unusual complication of cataract surgery. Can J Ophthalmol 1982;17:128-31. 미소장
3 Sathish S, Chakrabarti A, Prajna V. Traumatic subconjunctival dislocation of the crystalline lens and its surgical management. Ophthalmic Surg Lasers 1999;30:684-6. 미소장
4 Mandal AK, Anand R. Traumatic pseudophacocele. Indian J Ophthalmol 2003;51:177-8. 미소장
5 Bhattacharjee K, Bhattacharjee H, Deka A, Bhattacharyya P. Traumatic phacocele: review of eight cases. Indian J Ophthalmol 2007;55:466-8. 미소장
6 Prakash G, Ashokumar D, Jacob S, et al. Anterior segment optical coherence tomography-aided diagnosis and primary posterior chamber intraocular lens implantation with fibrin glue in traumatic phacocele with scleral perforation. J Cataract Refract Surg 2009;35:782-4. 미소장
7 Kooner KS, Zhuk S. Delayed traumatic phacocele following trabeculectomy. Ophthalmic Surg Lasers Imaging 2012;43:e55-7. 미소장
8 Vodapalli H, Murthy SI, Jalali S, et al. Comparison of immersion ultrasonography, ultrasound biomicroscopy and anterior segment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in the evaluation of traumatic phacoceles. Indian J Ophthalmol 2012;60:63-5. 미소장
9 Chandravanshi SL, Dwivedi A, Tirkey ER, Choudhary P. Golden half ring sign for identification of pseudophacocele. Indian J Ophthalmol 2015;63:259-61. 미소장
10 Sindal MD, Mourya D. A rare case of traumatic posterior phacocele with retinal detachment. Indian J Ophthalmol 2016;64:89-90. 미소장
11 Chaniyara MH, Rathi A, Pujari A, Urkude JS. Traumatic phacocele:a rare but unique scenario. BMJ Case Rep 2017;2017:bcr2017220755. 미소장
12 Mohan A, Kaur N, Sharma V. Inferior subconjunctival dislocation of posterior chamber intraocular lens after blunt trauma. Indian J Ophthalmol 2017;65:521-3. 미소장
13 Narang P, Agarwal A. Clinical outcomes in traumatic pseudophacocele:a rare clinical entity. Indian J Ophthalmol 2017;65:1465-9. 미소장
14 Bawankar PM, Lahane T, Parekh R. Pseudophacocele. Indian J Ophthalmol 2018;66:1191. 미소장
15 Neupane S, Das D, Korgaonkar S. Migrated subconjunctival crystalline lens: a traumatic phacocele. BMJ Case Rep 2020;13:e237014. 미소장
16 Kumar A, Nainiwal SK, Dada T, Ray M. Subconjunctival dislocation of an anterior chamber intraocular lens. Ophthalmic Surg Lasers 2002;33:319-20.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