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고는 조선시대 흥해 최씨 가문의 거창 정착과 家學의 정립을 살펴보고, 특히 終慕堂 崔胤貞(1630~1684)의 생애와 향촌 사회의 활동을 고찰하였다.

흥해 최씨는 崔繼潼 때부터 거창에 거주하기 시작하였으며, 최계동의 아들 崔淑梁이 거창의 吾道山에서 김굉필·정여창과 강학함으로써 도학과의 인연을 공고히 하였다. 이후 柱巖 崔後遠-終慕堂 崔胤貞-愚溪 崔海斗-釜齋 崔泰演으로 이어지는 四世四賢을 통해, 세속적 영리에 뜻을 두지 않고 전원에 은거하여 학문에 정진하는 한편, 향촌 사회 활동에 적극적으로 기여하는 가학이 정립되었다.

특히 최윤정은 세속적 영리와 거리를 두고 도학을 공부하면서도 道山書院의 영건 및 사액, 대동법의 영남 시행과 같은 지역의 현안을 해결하는 데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최윤정의 향촌 사회 활동은 오늘날 지역학을 연구하는 이들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In this paper, I explored the process of settling in Geochang of the Heunghae Choi family during the Joseon Dynasty and establishing the family tradition after that. In particular, I focused on Choi Yoon-jung's life, consciousness, and activities that contributed to the local community.

Heunghae Choi's family began to live in Geochang from the time of Choi Gye-dong. Choi Sook-ryang, the son of Choi Gye-dong, discussed his studies while interacting with Kim Goong-pil and Jeong Yeo-chang at Odosan Mountain in Geochang. Since then, the family tradition has been established over the four generations leading to Choi hoo-won, Choi Yoon-jung, Choi Hae-doo, and Choi Tae-yeon. They did not have a will for secular profit, lived in the hometown, devoted themselves to learning, and actively contributed to community activities.

In particular, while studying Neo-Confucianism, Choi Yun-jeong actively participated in solving local issues such as the establishment of Dosanseowon Confucian Academy and the implementation of the Daedong Law in Yeongnam. In this regard, Choi Yoon-jung's activities have great implications for those who study regional studies today.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居昌 道山書院 營建에 대한 고찰 =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Dosan Seowon(道山書院) in Geochang 姜玟求 p. 7-45

흥해 최씨 일가의 거창 정착과 終慕堂 崔胤貞의 향촌 사회 활동 = Heunghae Choi's family settled in Geochang and Choi Yoon-jung's contribution to the community 安世鉉 p. 47-77

道山書院과 寒暄堂 金宏弼 : Geochang and Dosanseowon Confucian Academy : on the historical value and meaning of the center of the Seowon Confucian academy ritual / 서원 主享으로서의 의미와 가치를 중심으로 金英珠 p. 79-104

一蠹 鄭汝昌의 사상과 문학 : Thoughts and literature of Ildoo Jeong Yeo-chang : focusing on compilation and publication of literature collections / 문집의 편찬과 간행을 중심으로 崔植 p. 105-149

桐溪 鄭蘊의 삶과 문학 : A study on Donggye(桐溪) Jeongon(鄭蘊)'s study and literature : with a special focus on the meaning and value of enshrinement in Dosanseowon Confucian Academy / 도산서원 배향의 의미와 가치를 중심으로 朴貞珉 p. 151-181

道山書院의 복원과 개발 과제 제안. Proposal for the restoration and development of Dosanseowon. 1, Focusing on the review of reference cases for establishing the restoration plan of Dosanseowon in Geochang / 1, 거창 도산서원 복원 계획 수립을 위한 참고 사례 검토를 중심으로 河廷沅 p. 183-207

道山書院의 복원과 개발 과제 제안. Proposal for the restoration and development of Dosanseowon. 2 / 2 金鮮花 p. 209-239

조선시대 南海 錦山 유람과 현실 인식 = Excursion to Geumsan Mountain in the South Sea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and perception of reality 姜貞和 p. 241-269

로컬리티의 관점에서 본 생육신 : From locality's point of view, Saeng Yuk Sin : focusing on the EoGye Jo-Ryeo / 漁溪 趙旅를 중심으로 姜彰圭 p. 271-296

17세기 백제 회고시 연구 = A study on retrospective poems in the 17th century Baekje 李東宰 p. 297-333

『번역소학』과 『소학언해』 번역의 특징 비교 연구 = A study compa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nslation between『Beonyeoksohak(飜譯小學)』 and 『Sohakeonhae(小學諺解)』 李奎泌 p. 335-363

'空山無人, 水流花開'의 의미와 한국에서의 수용 양상 = The meaning of '空山無人(empty mountain no person), 水流花開(water flows and flowers blossom)' and the aspect of acceptance of the phrase in Korea 李國鎭 p. 365-411

朴趾源과 朴齊家의 우정론 비교 = Pak Chiwŏn and Pak Chega's different perspectives on friendship 朴熙秀 p. 413-440

茶山 丁若鏞 解配 이후 교유관계에 대한 고찰. A review of the relationship after the escape from exile of Dasan(茶山) Jeong Yak-yong(丁若鏞) : limited to the latter(1827~1836) / 2 後期(1827~1836)에 限하여 金奉楠 p. 441-492

端磎 金麟燮 문학 연구 시론 = An essay of literary research of Dangye Kim Insup 尹載煥 p. 493-522

裕齋 宋基冕의 義理思想 : Yoojae(裕齋) Song Ki-Myeon(宋基冕)'s idea of righteousness(義理思想) : focused on 「Mang-Eon(妄言)」 / 「妄言」을 중심으로 陳晟秀 p. 523-552

민간 전통 작명서 연구 = The traditional naming books of Korea 張裕昇 p. 553-578

20세기 초 '두문동 72현' 현양사업의 주체와 성격 = The participants and their intention of the commemoration movement for '72 loyalists of Tumung-tong' in early 20th century Korea 李松熙 p. 579-599

중학교 교육용 기초한자 대표훈 설정을 위한 제안 = The suggestions for establishing Korean translation of a Chinese character for middle school education : focusing on revised Chinese textbooks for middle school at 2015 : 2015 개정 중학교 한문교과서를 중심으로 崔晟燁 p. 601-6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