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유전자 검사 기술의 발전으로 유전자 검사 비용이 절감되고 정확도가 향상되었으며 유전자 검사는 사회대중의 생활에 적용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사람들은 보험 분야에서 유전자 정보의 활용에 대해 큰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이로부터 영국, 스웨덴, 오스트레일리아, 미국 등은 보험 분야의 “유전자 차별”에 대해 전문적인 법을 만들었다. 국정의 차이로 인해 위의 4개 국가는 입법에서 서로 다른 가치관을 가지고 있다. 미국은 건강보험 분야에서 유전자 정보 사용을 전면 금지하고 있고, 영국, 스웨덴, 오스트레일리아는 일정한 금전적 한계를 설정해 보험자의 유전자 정보 사용을 제한하고 있다. 현재 중국의 입법은 미국과 유사하지만 많은 문제점이 존재하며 시급히 개정해야 한다. 이에 따라 필자는 중국의 《유전자 차별 금지법》 제정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첫째로, 보험자가 보험 가입자에게 유전자 예측 검사를 강제로 실시하는 것을 금지하며

둘째로, 생명보험 분야에서만 “유전자 차별”을 금지할 필요가 있으며, 자산, 양로보험 분야에서는 금지할 필요가 없다.

셋째로, 생명보험에서는 영국과 스웨덴의 관행을 참고하여 보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금전 한계를 설정하고, 금액 변경 시 보험자의 유전자 정보 사용을 금지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유전자 검사 산업에 대한 감독을 강화하고, 보험 회사에 대한 처벌을 강화하며, 피보험자에 대한 구제를 개선해야 한다.

伴随着基因检测技术的发展, 基因检测成本降低, 准确性提高, 基因检测开始在社会大众的生活中运用开来。 但民众却对保险领域基因信息的运用表现出极大的顾虑。 因此英国、 瑞典、 澳大利亚、 美国都针对保险领域的“基因歧视”制定专门的法律。 由于国情的差异, 上述四个国家在立法上有着不同的价值取向。 美国在健康保险领域全面禁止基因信息的使用, 英国、 瑞典和澳大利亚则通过设置一定的金钱限额, 限制保险人使用基因信息。 目前中国的立法和美国类似, 但存在诸多问题, 急需要修改。 对此, 笔者认为需要制定中国的《反“基因歧视”法》, 首先, 要禁止保险人强制投保人进行预测性基因检测;其次, 仅有必要在人寿保险领域禁止“基因歧视”, 在财产、 养老保险领域无禁止的必要;再次, 在人寿保险中借鉴英国、 瑞典的做法根据险种的不同设定不同的金钱限额, 在该金额之下禁止保险人使用基因信息;最后, 加强对基因检测行业的监管, 完善对被保险人的救济。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OECD 국가 연금개혁 분석을 통한 공적연금법 개정 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revision of the Public Pension Act through the OECD national pension reform analysis 노한장 p. 267-301

미국의 농축산물 테러 방지 법제와 우리나라의 테러방지법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ounter-agroterrorism law of the U.S. and the counter-terrorism law of South Korea 전우석 p. 303-324

일본에서의 NFT에 대한 법적 논의의 현황 = Legal overview of NFTs in Japan : 금융규제의 여부에 관한 고찰을 중심으로 박수영 p. 1-21

중국 상사유치권의 성립요건에 관한 고찰 = A study on the conditions for establishment of commercial licensure in China 역월, 신봉근 p. 23-53

동아시아 3개국의 유보통합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integrat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in three East Asian countries : focusing on the legislation of Korea, Japan, and Taiwan / 한국, 일본, 대만의 법제를 중심으로 황성일, 김선희 p. 55-94

比较、定位与出路 : 비교, 포지셔닝 및 출로 : 중국 보험에서의 유전자 정보 활용 / 基因信息在中国保险中的运用 赵鹏举 p. 95-121

建构RCEP投资争端解决机制的基本框架和主要内容 = RCEP 투자 분쟁 해결 메커니즘의 기본 틀과 주요 내용 구축 马忠法, 唐金翎 p. 123-147

인공지능에 기반한 자동화된 행정결정의 행정법적 쟁점 = Administrative legal issues of automated administrative decision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조성규 p. 149-189

암호화폐에 관한 형법상의 최근 쟁점 = Recent criminal law issues on cryptocurrency 이경렬, 배초희 p. 191-217

대향적 거래관계에서 배임죄 주체의 해석에 대한 형법 및 형사정책적 함의 : Criminal law and criminal policy implications of the concept and scope of the subject of breach of trust in transactional relationships : focusing on Prof. Ryu Ki-Cheon’s theory on the Obligation of Acts for offenders for misconduct / 유기천 교수의 '부진정부작위범의 작위의무론'에 착안하여 이흔재 p. 219-248

채용비리 사건에서 위계에 의한 업무방해죄 성부 : Crime of obstruction of business part due to a fraudulent stratagem in a recruitment corruption case : considering the attitude of the Supreme Court / 대법원의 태도를 고찰하며 류동훈 p. 249-265

참고문헌 (24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武亦文, “基因信息在保险核保中的应用及其限度”, 北方法学, 2020年第1期。 미소장
2 曹如冰, 王岳, “商业化基因检测现状调查与法律规制建议”, 中国卫生法制, 2017年第3期。 미소장
3 耿珊珊, 张莉, “商业化基因检测应用的法律规制研究”, 河南社会科学, 2019年, 第27卷 第12期。 미소장
4 Billings, P. R., Kohn, M.A., De Cuevas, M., Beckwith, J., Alper, J.S., & Natowicz, M.R, “Discrimination as a consequence of genetic testing”, (1992), American Journal of Human Genetics, Vol.50,(3). 미소장
5 I. Ngueng Feze, S. Salman & Joly Y., “Implications for Health and Life Insurances and Other Legal Aspects of Genetic Testing”, 2015, Movement Disorder Genetics, https://link.springer.com /chapter/10.1007/978-3-319-17223-1_23, (最后访问日期:2022年11月6日). 미소장
6 Nill, A., Laczniak, G. & Thistle, P, “The Use of Genetic Testing Information in the Insurance Industry:An Ethical and Societal Analysis of Public Policy Options”, 2019, J Bus Ethics, Vol.156. 미소장
7 Joly, Y., Braker, M., & Le Huynh, M., “Genetic discrimination in private insurance: global perspectives”, 2010, New genetics and society, Vol.29, (4). 미소장
8 A. E. R. Prince, Uhlmann WR, Suter SM, Scherer AM, “Genetic testing and insurance implications:Surveying the US general population about discrimination concerns and knowledge of the Genetic Information Nondiscrimination Act (GINA)”, 2021, Risk Management Insurance Review, Vol.24, (4). 미소장
9 Daykin et al., “Genetics and Insurance-Some Social Policy Issues”, 2003, BRIT. ACTUARIAL J, Vol.9. 미소장
10 Angus Macdonald & Fei Yu, “The Impact of Genetic Information on the Insurance Industry:Conclusions from the ‘Bottom-up’ Modelling Programme”, 2011, ASTIN BULLETIN, Vol.41. 미소장
11 Joly Y, Huerne K, Arych M, Bombard Y, et al. “The Genetic Discrimination Observatory: Confronting novel issues in genetic discrimination”, Trends Genet. 2021, Vol.37. 미소장
12 A. E. R. Prince, Genetic Testing And Insurance Implications (Full Report), 2022. https://www.intern ationalinsurance.org/shin-full-report-genetic-testing-and-insurance-implications#_ftn1. 미소장
13 Zhou Xuefeng, “Risk Classification in Insurance Law: Reasonable Distinction v. Discrimination”, 2014, Journal of Comparative Law, Vol.2. 미소장
14 K. Lippert-Rasmussen, “Genetic Discrimination and Health Insurance”, 2015, Res Publica, Vol.21. 미소장
15 Chetan Gulati, “Genetic Antidiscrimination Laws in Health Insurance: A Misguided Solution”, 2001, Quinnipiac Health L.J. Vol.4. 미소장
16 A. E. R. Prince, “Political economy, stakeholder voices, and saliency: lessons from international policies regulating insurer use of genetic information”, 2018, Journal of Law and the Biosciences, Vol.5, (3). 미소장
17 Mario Viola de Azevedo Cunha, “Data Protection and the Insurance, Banking and Credit Reporting Industries, in Market Integration Through Data Protection”, 2013, Law, Governance and Technology Series, Vol.9. 미소장
18 David Keays, “Genetic Testing and Insurance: When Is Discrimination Justified?”, 2000, Monash Bioethics Review, Vol.19. 미소장
19 Wendy L. McGoodwin, “Genetic Testing in Life and Disability Insurance: A New Challenge for Public Policy”, 1998, Brief, Vol.28. 미소장
20 McGuire A.L. & Majumder M.A, “Two cheers for GINA?”, 2009, Genome Med, Vol.1, (6). 미소장
21 Bunnik EM, Timmers M, Bolt IL, Ethical Issues in Research and Development of Epigenome-wide Technologies”, 2020, Epigenet Insights. Vol.13. 미소장
22 A. E. R. Prince, “Insurance Risk Classification in an Era of Genomics: Is a ‘Rational Discrimination’Policy Rational?”, 2017, NEB. L. REV, Vol.96, (3). 미소장
23 Michelle Lane, I. Ngueng Feze & Yann Joly, “Genetics and Personal Insurance: The Perspectives of Canadian Cancer Genetic Counselors”, 2015, J Genet Counsel, Vol. 24. 미소장
24 A. S. Macdonald, “Moratoria on the Use of Genetic Tests and Family History for Mortgage-Related Life Insurance”2003, British Actuarial Journal, Vol.9,(1), pp.217-237.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