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논문은 임진왜란 및 병자호란의 차단 실패를 조선 내 엘리트 분열과 정권 취약성으로 인한 과소균형의 결과로 설명한다. 임란 이전 선조 정권은 내 동서 붕당 간 첨예한 대립으로 일본의 위협 자체에 대한 정파 간 합의를 이루지 못하였다. 또한 선조 정권은 내부로부터의 위협 차단을 우선시함으로써 일본에 대해서는 통신사 파견과 같은 과소균형 행태를 보였다. 호란 시기 인조 정권 내 정치세력은 후금의 위협에 대해서는 일정한 합의를 이루고 있었다. 그러나, 대명 의리라는 반정 명분을 내세운 인조 정권의 취약성은 전면적인 유화책을 통한 전쟁 차단이 아니라, 상호 모순된 대후금 정책을 초래하였다. 향후 한반도 안보 전략 수립은 안보문제의 정쟁화를 방지하고, 현실에 대한 적확한 이해와 합리적 논쟁에 기반해야 한다.

This paper explains the outbreak of the Imjin War and Qing’s Invasion of Josenon as a result of the underbalancing caused by the elite fragmentation and the internal vulnerability of the regime. Right before the Imjin war period, there was no elite consensus to Japan's threat due to intense partisanship between the Western faction and the East faction. In addition, the internal vulnerability of the Seonjo government, which prioritized blocking internal threats to the regime, led it to take an ineffective underbalancing strategy such as diplomatic mission. Meanwhile, before the Qing’s invasion in 1636, there was a broad consensus on Qing’s rising and its threat to Joseon. However, Injo government failed to carry out conflict prevention strategies such as an active appeasement policy due to its political vulnerability resulted from the pro-Ming China Injo Restoration. In event, these factors led Injo government to take ineffective half measures for preventing Qing’s invasion. In the future, the security policy needs to be sought in the basis of an accurate understanding of reality and rational debate rather than partisanship.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한중수교 이후 한국 언론의 대중(對中) 담론 연대기 = The chronicle of Korean media discourse with China after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주재원 p. 5-49

북한 주민의 일상생활과 용변의 사회기술사 : Socio-technical history of daily life and toilet of North Koreans : relocation of people-excreta-toilet network after a "march of hardship" / 고난의 행군 이후 주민-용변-화장실 연결망의 재배치 박민주 p. 263-303

사회연대경제(SSE)를 통한 두만강 유역 초국경 협력모델 탐색 = Exploring the trans-border cooperation model of the Tumen River basin through the social solidarity economy (SSE) 조성찬 p. 51-86

제2이미지를 통해 본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 Second image factors of the Imjin War and Qing's Invasion of Joseon : domestic vulnerability and the external underbalancing / 대내 취약성과 대외 과소균형 박홍서 p. 87-115

북한의 대외정세 인식과 국방력 강화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North Korea's perception of foreign situation and reinforcement of national defense power 박형준, 박성용 p. 117-153

북한의 다자협력제도 참여와 군사갈등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North Korea's participation in the multilateral cooperation system and military conflict 오종문 p. 155-188

핵무기 개발과 국가행위의 변화 : The behavior of nuclear armed states : the U.N. voting behavior before and after nuclear possession / 핵보유 전후의 UN총회 표결에 나타난 외교행태 손한별 p. 189-219

데이터마이닝을 활용한 북한 기상기후 연구 동향 분석 : Research trends in meteorology and climatology in North Korea using data mining : from 1982 to 2022 / 1982~2022년 북한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허선혜 p. 221-2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