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초등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 동향 분석 = An analysis on the research trends of elementary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이기용 p. 1-22
다문화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n school adaptation of adolesc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achievement motivation : 성취동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철희, 문선혜, 송진영 p. 23-39
외국인 근로자의 공동체 의식과 자아존중감이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n the effect of foreign migrant workers’ sense of community and self-esteem on acculturation stress 남부현, 최석규 p. 41-67
북한이탈여성의 가족 이산과 재구성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family separation and reorganization of North Korean refugee women 김선숙, 김서영 p. 69-90
상담자가 경험한 다양성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A phenomenological study on counsellor’s experience of diversity : focusing on multicultural counselling : 다문화상담을 중심으로 황수경, 김은영 p. 91-111
한국 청소년의 다문화수용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급 공동체역량·글로벌 공동체역량과 관련 변인 탐색 = The effects of both school-based sense of community and global sense of community on Korean adolescents’ multi-cultural competency 박혜숙, 원미순 p. 113-141
결혼이민자 자녀의 이중언어 교육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 A qualitative meta-analysis on bilingual education of married migrant women’s children 남정연, 황해영 p. 143-178

법무부 사회통합프로그램의 사회참여교육과 시민교육에 관한 탐색적 연구 = An exploratory study on social participation education and civic education of the ministry of justice’s Korea immigration and integration program 허숙 p. 179-214
북한이탈주민의 담화 전략 특성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n defectors’ discourse strategies : focusing on the discourses on the YouTube videos of Yoon Seolmi TV : 윤설미TV 유튜브 방송 담화를 중심으로 조위수 p. 215-236
한 난민 R의 생애경험에 나타난 정치적 주체의 의미 탐색 = Exploring the meaning of political subject in the life experience of a jumma refugees R. 권미영, 김영순 p. 237-263
독거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연구 = Analysis of ecological factors of suicidal thoughts in elderly living along : focusing on risk factors and protection factors : 생태학적 접근 중심으로 윤태경, 임현승, 김옥임, 정선화, 조정배, 전온주 p. 265-294
세종학당 한국어 쓰기 교재 개발의 원리와 실제 = Principles and practice of developing a Korean writing textbook for King Sejong Institute 최권진, 김명권, 진대연 p. 295-319
한국어 교육에서 시 텍스트의 문화적 해석에 관한 고찰 = A study on the cultural interpretation of poetry text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 focusing on the intertextuality between poetry and painting : 시와 그림 간 상호텍스트성을 중심으로 오지혜 p. 321-339
한국어교육을 위한 보조사 '도'와 '도' 중출 구문의 교수-학습 내용 연구 = A study on teaching and learning contents of auxiliary particle ‘do (도)’ and multi-‘do (도)’ construct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정해윤 p. 341-362
한국어 문법 용어의 중국어 표준화 연구 = A study of Chinese standardization of Korean grammatical terms 최윤곤 p. 363-381

센터시험의 한국어시험에 관한 연구 = Research on the Korean language test of center test : focusing on the questions from 2019 to 2022 : 2019년부터 2022년까지 출제 문항을 중심으로 강민아 p. 383-408
대학 교양교육에서 ESG(Environment, Social, Governance) 교육 동향 및 실행 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trends and implementation of ESG (environment, social, and governance) education in university liberal arts education : focusing on field expert interviews : 해당 분야 전문가 인터뷰를 중심으로 전종희, 한승훈 p. 437-461
이주 무슬림의 불안증 치료를 위한 분열분석 실행연구 = An action research of schizoanalysis for immigrant Muslim anxiety patient 권요셉 p. 463-488
여가스포츠 참가자의 여가소비성향이 여가만족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the leisure consumption tendency on leisure satisfaction among leisure sports participants : the mediation effect of recreation specialization : 레크리에이션전문화의 조절효과 김미혜, 문동혁, 황대한, 신규리 p. 489-504
장자의 사상과 그 다문화적 함의 = The philosophy of Zhuangzi and its multicultural implications 손태호 p. 505-522
여성작가 히라바야시 다이코의 문학 연구 = The study of female writer Hirabayashi Taiko’ literature : focusing on the consciousness of women in the proletariat : '프롤레타리아 여성'에 관한 의식을 중심으로 이승신 p. 523-537

1970년대 콩고 시문학의 언어와 글쓰기 그리고 정체성의 문제 = Language, writing, identity issues in 1970's Congolese poetry : for Jean-Baptiste Tati Loutard and Sony Labou Tansi : 장-바티스트 타티 루타르와 소니 라부 탄시의 경우 황미영 p. 539-561
국가 교육과정 개정방식에 대한 논쟁 다시 돌아보기 = Revisiting the debate on how to revise the national curriculum : focusing on the full revision and the occasional partial revision : 전면 개정과 수시부분 개정을 중심으로 이혁규 p. 409-4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