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강선영·이나영·이재경.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플립러닝 최근 연구 동향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10). 129-142, 2021. |
미소장 |
2 |
교육부. 고등교육법 시행령 제14조의 2 관련 일반대학의 원격수업 운영 기준. 교육부 대학학사제도과. 2018. |
미소장 |
3 |
김건우·한서희·이재석·김나영·옥지원. COVID-19 이후 국내 교육 동향 분석: 비대면 교육 중심으로.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기술논문지 9(4). 377-390, 2020. |
미소장 |
4 |
김경태·정지연. 원격수업을 위한 교육용 가야금 애플리케이션 개발. 음악교육공학 46. 61-79, 2021. |
미소장 |
5 |
김민정·최서현·이수정·김동식.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온라인 협력학습 동향 탐색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5). 753-766, 2022. |
미소장 |
6 |
김상미. 코로나19 관련 온라인 교육에 관한 국내 언론보도기사 분석. 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21(6), 1091-1100. 2020. |
미소장 |
7 |
김준성·최문영. 계량서지 분석을 이용한 해외 온라인 수업 관련 해외 연구동향 탐색. 고등교육 5(1). 89-108, 2022. |
미소장 |
8 |
김지혜. 음악교사 정체성 연구 동향 고찰. 미래음악교육연구 5(2). 23-46, 2020. |
미소장 |
9 |
김현희. 다중 학습자의 협업을 장려하는 음악 이러닝 시스템의 디자인과 구현에 관한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16(6). 139-149, 2015. |
미소장 |
10 |
박상용·신혜선. 간호・보건계열 대학생의 비대면 원격 수업 운영 관련 연구 동향 분석. 한국간호연구학회지 5(2). 39-54, 2021. |
미소장 |
11 |
박은실a. 음악교육에서 국내외 학술지 비교를 통한 창작 교육 연구 동향 분석. 예술교육연구 19(2). 153-168, 2021. |
미소장 |
12 |
박은실b. 음악교육 국제학술지를 중심으로 살펴본 발달연구 동향. 음악교육연구 50(3). 79-97, 2021. |
미소장 |
13 |
방성원. 온라인 한국어 교육 관련 연구 동향 분석 -토픽 모델링과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화학 18(1). 1-30, 2021. |
미소장 |
14 |
서미옥. 플립드 러닝의 효과성에 대한 메타분석. 교육공학연구 32(4). 707-741, 2016. |
미소장 |
15 |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교육학용어사전. 하우동설. 1995. |
미소장 |
16 |
신지혜. 실행공동체를 활용한 교사 전문성 개발 연구 동향 분석: 음악교사 전문성 개발 연구의 시사점을 중심으로. 음악교육연구 44(3). 69-89, 2015. |
미소장 |
17 |
신혜경.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음악 창작교육 연구 동향. 음악교육공학 43. 129-146, 2020. |
미소장 |
18 |
윤문정. 테크놀로지 관련 음악교육 연구 동향. 음악교육공학 46. 23-40, 2021. |
미소장 |
19 |
이광재·이영주. ‘교육정보미디어연구’에 나타난 온라인 협력학습에서의 학습자간 상호작용분석 방법 동향.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3(1). 57-81, 2017. |
미소장 |
20 |
이수연. 포스트 코로나 시대 대응 방안을 위한 온라인 음악교육 연구 고찰. 예술교육연구 19(3). 183-200, 2020. |
미소장 |
21 |
이은숙·박양주. 플립드러닝에 관한 국내 연구의 일반 현황 및 주제 분석.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9(5). 74-81, 2019. |
미소장 |
22 |
임희주. 대학 교양수업에서 플립러닝의 최근 연구 동향 분석. 인문사회 21 13(3). 2379-2388, 2022. |
미소장 |
23 |
장용규·김동식.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체육수업에 관한 연구 동향. 한국초등체육학회지 27(4). 1-15, 2022. |
미소장 |
24 |
장진아·송진웅·정용재. “온라인 학습 공동체” 관련 국내 연구동향 분석: 초·중등 온라인 과학 학습 공동체 구성을 위한 시사점을 중심으로. 교과교육학연구 22(4). 274-291, 2018. |
미소장 |
25 |
주현정·박효진. 텍스트 마이닝을 통한 코로나19 발생 이후 대학에서 비대면 교육 관련 연구 동향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6). 321-333, 2022. |
미소장 |
26 |
한국기업교육학회. HRD 용어사전. 중앙경제. 2010. |
미소장 |
27 |
현진용·박한우. 한국과 중국의 블렌디드 러닝 분야의 연구동향 비교.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22(9). 339-348, 2022. |
미소장 |
28 |
Abeles, H., Hafelib, M. & Searsc, C. Musicians crossing musical instrument gender stereotypes: a study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Music Education Research 16(3). 346-366, 2014. |
미소장 |
29 |
Ayyıldız, E. & Zahal, O. Instructor experiences with online guitar lesson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in Turkey. International Journal of Music Education. OnlineFirst, https://doi.org/10.1177/02557614221123078. 2022. |
미소장 |
30 |
Bayley, J. & Waldron, J. “It’s never too late”: Adult students and music learning in one online and offline convergent community music school. International Journal of Music Education 38(1). 36-51, 2020. |
미소장 |
31 |
Biasutti, M., Frate, S. & Concina, E. Music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assessing a three-year collaborative online course. Music Education Research 21(1). 116-133, 2019. |
미소장 |
32 |
Brändström, S., Wiklund, C. & Lundström, E. Developing distance music education in Arctic Scandinavia: electric guitar teaching and master classes. Music Education Research 14(4). 448-456, 2012. |
미소장 |
33 |
Byrne, C. & Macdonald, R. The Use of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in the Scottish Music Curriculum: A focus group investigation of themes and issues. Music Education Research 4(2). 263-273, 2002. |
미소장 |
34 |
Candel, E. & Colmenero, M. Gamification and mobile learning: innovative experiences to motivate and optimise music content within university contexts. Music Education Research 24(3). 377-392, 2022. |
미소장 |
35 |
Cayari, C. Connecting music education and virtual performance practices from YouTube. Music Education Research 20(3). 360-376, 2018. |
미소장 |
36 |
Cheng, L. & Lam, C. The worst is yet to come: the psychological impact of COVID-19 on Hong Kong music teachers. Music Education Research 23(2). 221-234, 2021. |
미소장 |
37 |
Daugvilaite, D. Exploring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students, parents and teachers on their online instrumental lessons. Music Education Research 23(2). 179-193, 2021. |
미소장 |
38 |
Lilliedahl, J. Visually communicating exclusiveness: how specialist music secondary schools in England represent themselves on the web. Music Education Research 24(4). 430-441, 2022. |
미소장 |
39 |
Nethsinghe, R., Joseph, D., Mellizo, J. & Cabedo-Mas, A. Teaching songs from diverse cultures to pre-service teachers using a “Four Step Flipped” method. International Journal of Music Education, Online First. DOI: 10.1177/02557614221110952 |
미소장 |
40 |
Salvador, K., Knapp, E. & Mayo, W. Reflecting on the ‘Community’ in Community Music School after a transition to all-online instruction. Music Education Research 23(2). 194-210, 2021. |
미소장 |
41 |
Seddon, F. & Biasutti, M. Strategies students adopted when learning to play an improvised blues in an e-Learning environment. Journal of Research in Music Education 58(2). 147-167, 2010. |
미소장 |
42 |
Veblen, K., Kruse, N., Messenger, S. & Letain, M. Children’s clapping games on the virtual playground. International Journal of Music Education 36(4). 1-13, 2018. |
미소장 |
43 |
Yarbrough, C. Editor's report: The status of the JRME, 2006. Journal of Research in Music Education 54(2). 92-96, 2006. |
미소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