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연주속도 변화와 타이밍의 상대적 비율 간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tempo changes and relative ratio of timing in music performance 이미경, 송현주, 고봉균 p. 223-245
현행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 시조(時調) 악보의 기보 체계 분석 및 효과적인 기보 방안 탐색 = Analysis of the notation system of the current elementary school music textbook Sijo(時調) score and search for effective notation method 조은숙 p. 83-102
교육대학원생의 학위논문 작성에 관한 조사 연구 = Research study of thesis writing by the graduate students of education : focused on music education major,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 university in Gyeonggi-do : 경기도 소재 A대학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을 중심으로 주성희 p. 103-124
가야금 정악 농현의 음악 음향학적 연구 = A musical acoustics study for Gayageum Jeongak vibrato : with focus on music by Choi Choong-woong : 최충웅의 음원을 중심으로 김윤지 p. 163-180
온라인 관련 해외 음악교육 연구 동향 = Analysis of international research trends in online music education 신혜경 p. 203-222
포스트휴머니즘의 관점에서 음악교육의 방향 탐색 = Exploring the direction of music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posthumanism 최은아 p. 145-161
비전형적 소나타 형식 분석의 방법론적 대안 = A methodological alternative for non-normative sonata works : based on a sonata analysis of Liszt's Sonata in B Minor : 리스트의 《B단조 소나타》를 중심으로 김유미 p. 247-267
예비초등교사의 음악과 테크놀로지 교수내용지식(TPACK)에 대한 인식 및 개선방안 탐색 = A study on the perception and improvement plans for preliminary elementary teachers' music TPACK 정진원, 이수진, 오지향, 정재은, 최미영 p. 1-23
감정을 구성하는 느낌의 음악교육 = Music education of feeling for the construction of emotion 조성기 p. 125-144
초등 음악 수업 내 창작·즉흥연주 활동 방안 모색 = Exploring creativity and improvisation class activities in elementary school music classes 홍승연 p. 63-81
예비초등교사의 일반교수효능감 및 실기효능감이 음악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Influence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general teaching efficacy and music performance efficacy on music teaching efficacy 윤문정 p. 25-38
2015 개정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의 범교과 학습 주제 반영 유형 분석 = Analysis of the types of reflection of cross-curricular learning topics in 2015 revised elementary school music textbooks 김은주 p. 39-62
동아시아 한민족 음악교육의 양상 = Practice aspects of music education among Koreans in East Asia 양종모 p. 181-202

참고문헌 (18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교육부. 2022 개정 교육과정 시안 초등학교 음악. 국민참여소통채널 탑재본(중간보고서 제출안 기준). 1-23, 2022. https://www.moe.go.kr/boardCnts/viewRenew.do 미소장
2 교육부.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해설, 초등학교. 교육부 [발간등록번호 11-1342000-000188-01]. 19-20, 2015. 미소장
3 김서경. 초등 음악 교과서 창작 영역 고찰 및 가락 짓기 방안 탐색. 음악응용연구 12. 31-75, 2020. 미소장
4 김서경. 2015 교육과정 초등 3-4 음악교과서 창작 활동 분석. 음악응용연구 10. 47-78, 2018. 미소장
5 박은실. 초등학생의 음악 창작품 평가에서 창의성 및 다른 변인 간의 관계 분석. 음악교육연구 47(4). 49-68, 2018. 미소장
6 박은실. M.Hickey와 J.Kratus의 음악창작과 음악창의성 연구 비교. 음악교육연구 39. 27-51, 2010. 미소장
7 석문주. 초등음악수업에서의 창작 포트폴리오. 음악교육연구 17. 110-113, 1998. 미소장
8 신혜경.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다른 초등학교와 중학교 음악교과서 창작영역 분석. 학습자중심교과연구 19(20). 691-710, 2019. 미소장
9 양소영. 음악역량 함양을 위한 창의적 사고과정 기반 초등음악창작수업 사례 개발. 예술교육연구 16(4). 119-138, 2018. 미소장
10 정윤정. 음악 요소 중심의 초등 음악 창작 활동을 위한 개선 방향 탐색 및 대안적 자료 분석. 음악교육공학 45. 65-83, 2020. 미소장
11 최윤경. 초등학교 음악 창작 수업에서 나타난 교사의 PCK사례 분석. 예술교육연구 10(3). 199-226, 2012. 미소장
12 한혁수. 초등학교 음악 창작 수업에서의 스캐폴딩 적용. 음악교육연구 30. 223-247, 2006. 미소장
13 함희주. 초등학교 3,4학년 음악교과서에 수록된 창작활동 유형 분석. 미래음악교육연구 3(2). 111-129, 2018. 미소장
14 홍승연. 한·미 초등 음악교과서 창작·즉흥연주 관련 교수학습 내용 비교. 음악교육연구 50(4). 199-219, 2021. 미소장
15 Caballol, O. O. Creativity in music education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the perceptions of teachers in English secondary schools. Doctorate thesis, University of London Institute of Education. 2003. 미소장
16 Elliott, David. J. Versions of Creativity. Proceedings of the Philosophy of Education Society of Great Britain 5(2). 139~152, 1971. 미소장
17 Gordon, Edwin. E. Audiation, music learning theory, music aptitude, and creativity. Suncoast Music Education Forum on Creativity. 75~89, 1989. 미소장
18 Taggart, C., Bolton, B., Reynolds, A., Valerio, W., & Gordon, E. Jump Right In The Music Curriculum, Book1 Teacher’s Guide. Chicago, IL: GIA Publication. 2000.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