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나빌레라〉와 〈눈이 부시게〉는 노년과 청년 세대를 나란히 주인공으로 소환하여 두 세대를 동등하게 그리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이 글은 '노년과 청년 드라마'로서 두 드라마가 치매 소재를 신파적으로 소비하지 않은 방식, 노년과 청년을 연결하고 두 세대의 소통과 공감을 그리는 방식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나아가 두 드라마가 왜 노년과 청년을 함께 호출하고 있는지 그 이유와 의미를 고찰하는 것이 이 글의 궁극적인 목표이다.

분석 결과, 〈나빌레라〉와 〈눈이 부시게〉는 치매의 노출을 의도적으로 지연하고 은폐함으로써 치매 노인 이야기를 넘어 노년과 청년을 함께 담아내고 있다. 두 드라마는 노년과 청년을 ‘잉여 세대’와 약자로서 동일시하고, 두 세대의 소통과 공감을 통해 연대와 그 가능성을 그리고 있다. 노인의 치매를 소재로 하면서도 두 드라마는 비극적인 노년 드라마를 지양하고, 노년과 청년 세대의 연대와 그 가능성을 보여주는 희망적이고 판타지적인 노년과 청년 드라마를 지향한다. 그렇게 〈나빌레라〉와 〈눈이 부시게〉는 노년과 청년으로 대변되는 이 시대 약자들을 위로하는 드라마가 될 수 있었다. 이것이 두 드라마가 노년과 청년 두 세대를 함께 소환한 이유이자 의미이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조선 후기 장편소설에 나타난 강(江)의 형상과 소설사적 의미 : The shape and its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river in the full-length novels of the late Joseon Dynasty : focused on <Wanwolhyemaengyeon(玩月會盟宴)> / <완월회맹연(玩月會盟宴)>을 중심으로 서정현 p. 133-169

<살아있는 이중생 각하>의 문학 재판 : Literary trial of <Living Lee Jungsaeng> : breaking the boundaries between law and literature / 법과 문학의 경계 허물기 강진우 p. 171-197

편지(들)의 지리학 : The geography of letter(s) : Mujin, a memory of persecution and drift / 무진, 박해와 표류의 기억 한순미 p. 369-394

『전운옥편』 한자음의 구개음화 실현 양상 연구 = A study on the palatalization realization pattern of Chinese consonants in Jeonunokpyeon 이길경, 배영환 p. 45-69

김기림의 시에 나타난 고향의 의미 = Changes in the meaning of hometown in Kim Ki-rim's poems 이미순 p. 343-367

이민자 대상 특수목적 한국어 교재를 위한 언어문화 통합 교육 연구 : A study on the language and culture integration education of special purpose textbooks for immigrants : targeting German social integration program textbooks / 독일 사회통합프로그램 교재를 대상으로 이미향 p. 71-98

'자유'로운 연애와 현실의 발견 : ‘Free’ love and discovery of reality : focus on Lee Ik-Sang’s Trampled Pearl / 이익상의 「짓밟힌 진주」를 중심으로 김상모 p. 199-229

북한 문법의 형용사 연구 : A study on adjectives of North Korean grammar : focused on the analysis of Joseoneorironmunbeop and Joseoneohakjeonseo / 조선어리론문법과 조선어학전서를 중심으로 김건희 p. 7-43

2015-2020년 신어의 사회문화적 특성 연구 = '사회·경제·정치' 영역 신어를 중심으로 = A study of 2015-2020 neologisms in Korean language : focusing on neologism of ‘society’, ‘economy’, and ‘politics/policies’ 이수진 p. 99-131

비유의 초월적 유사성에 대한 현대시의 수사학적 대응 = The rhetorical response of modern poetry to the transcendental resemblance of metaphors 박현수 p. 257-281

1980년대 황지우 시의 전위 맥락과 실천 = Context and practice of avant-garde for Hwang Ji-woo poetry in 1980s 박성근 p. 231-255

근대 문예지의 광고 연구 : A study on advertising in modern literary magazines : focusing on book advertisements in literary magazines in the 1920s / 1920년대 문예지 소재 서적 광고를 중심으로 손동호 p. 309-342

텔레비전드라마 속 노년과 청년의 연대와 그 가능성 : The solidarity and its possibility between the elderly and the young in television-dramas : focusing on <Navillera(Like a Butterfly)> and <Nooni Booshige(The Light in Your Eyes)> / <나빌레라>와 <눈이 부시게>를 중심으로 백경선 p. 283-307

『가곡원류(歌曲源流)』를 통해 본 19세기 가곡 문화의 담론적 이해 : 강경호, 『조선후기 가곡원류 계열 가집의 전개』(보고사, 2021) 이승준 p. 397-408

한국 아방가르드 문예의 기원에 대한 새로운 시각 : 김민수, 『한국 구축주의의 기원』(그린비, 2022) 이성혁 p. 409-416

한국어 문법의 교육 방향성과 내용 톺아보기 : 강현화, 『한국어문법교육론』(소통, 2022) 조형일 p. 417-4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