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학상담이 고유한 입지를 다지려면 기존의 상담과 다른 방법론을 제시하는 일이 중요하다. 그러나 이것만으로는 사람들을 철학상담으로 이끌기 힘들다. 사람들은 자신의 문제가 정신과나 심리상담에서가 아니라 철학상담에서 다루기에 적합하다고 생각할 때 철학상담사를 찾을 것이다. 필자는 이 논문에서 ‘피상적 피로’가 아니라 ‘실존적 피로’가 철학상담에 적합한 대상이라고 주장할 것이다. 이 주장을 입증하기 위해 필자는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작업을 수행할 것이다.
첫째, 현대사회를 ‘피로사회’로 규정하는 한병철의 주장이 비판적으로 검토될 것이다. 둘째, 개인이 자신의 고유한 존재인 실존에 대한 의미나 가치를 느끼지 못하고 또한 그것을 실현할 가능성도 발견하지 못한 채 지친 상태가 ‘실존적 피로’로 규정될 것이다. 셋째, 필자는 ‘실존적 피로 증후군’을 허무주의의 맥락에서 탐구함으로써 실존적 피로의 시대적 배경과 존재론적 근원을 밝힐 것이다. 끝으로 필자는 실존적 ‘불안’이 아니라 실존적 ‘피로’를 철학상담의 대상으로 삼아야 하는 이유와 그로 인한 강점에 대해 간략히 언급할 것이다.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강수돌, 「성과사회, 자기착취, 그리고 피로사회」, 『진보평론』 제52집, 뉴 래디컬 리뷰, 2012. | 미소장 |
2 | 강지은, 「피로사회 담론의 주체성과 탈근대적 주체성 분석」, 『시대와 철학』 제28권 3호,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17. | 미소장 |
3 | 김선희, 「‘피로사회’에 나타난 주체들의 병리적 유형화와 치료적 접근: 미메시스 개념과의 관계를 토대로」, 『철학연구』 제107집, 철학연구회, 2014. | 미소장 |
4 | 김정현, 「로고테라피와 실존분석의 임상방법 및 철학상담에서의 함의」, 『철학논구』 제120집, 대한철학회, 2011. | 미소장 |
5 | 알베르 카뮈 저, 김화영 옮김,『시지프 신화』, 책세상, 2009. | 미소장 |
6 | 이진오, 「하이데거의 현존재분석론과 형식적 지시에 근거한 상담-치료」, 『의철학연구』 제31집, 한국의철학회, 2021. | 미소장 |
7 | 정용수, 「호모루덴스로 살펴보는 인간 규정」, 『대동철학』 제82집, 대동철학회, 2018. | 미소장 |
8 | 프랑클·크로이저 저, 김영철 옮김, 『태초에 의미가 있었다: 정신분석에서 로고테라피에로』, 분도출판사, 2006. | 미소장 |
9 | 하종수·최희봉, 「성과사회와 철학적 병: 샌델의 정의론으로 치유하기」, 『인문과학연구』 제55집,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 미소장 |
10 | 한병철 저, 김태환 옮김, 『피로사회』, 문학과 지성사, 2012. | 미소장 |
11 | 한지윤·강보선, 「실존적 공허에 대처하기 위한 빅터 프랭클의 자생교육론」, 『한국교육학 연구』 제21권 제4호, 안암교육학회, 2015. | 미소장 |
12 | Achenbach, G. B., Philosophische Praxis, Schriftenreihe zur Philosophischen Praxis, Bd. I, Köln, 1987. | 미소장 |
13 | Anderson, L. R., ed. Janaway, C. & Robertson, S., "What is a Nietzschean Self?", in Nietzsche, Naturalism and Normativit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 미소장 |
14 | Andren, M., "Nihilism and Resposibility in the Writings of Karl Jaspers", in European Review Vol.22, No.2,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4. | 미소장 |
15 | Böhme, H., "Das Gefühl der Schwere: Historische und phänomenologische Ansichten der Müdigkeit, Erschöphung und verwandter Emotion", in figulation Vol.16, Zürich, 2015. | 미소장 |
16 | Creasy, K., "On the Problem of Affective Nihilism", in Journal of Nietzsche Studies Vol.49 No.1, Penn State University Press, 2018. | 미소장 |
17 | Danieli, E., "Gedanken zur Müdigkeitsgesellschaft", in Editores Medicorum Helveticorum Vol.92, 2011. | 미소장 |
18 | Frankl, V. E., Man’s Searching for Meaning, London, Rider, 2004. | 미소장 |
19 | Han, B. C., Duft der Zeit. Ein philosophischer Essay zur Kunst des Verweilens, Transcript, Bielefeld, 2009. | 미소장 |
20 | Handke, P., Versuch über die Müdigkeit, Frankfurt a. M., Surhkamp, 1989. | 미소장 |
21 | Heidegger, M., Sein und Zeit:15. Aufl, Tübingen: Max Niemeyer, 1986. | 미소장 |
22 | Heidegger, M., Grundbegriffe der Metaphysik; Welt-Endlichkeit-Einsamkeit, Gesamtausgabe, II Abteilung: Vorlesungen 1923-1944, Bd. 29/30, VITTORIO KLOSTERMANN, Frankfurt a. M., 1983. | 미소장 |
23 | Jaspers, K., Philosophie II Existenzerhellung, Berlin, Springer Verlag, 4. Auflage, 1973. | 미소장 |
24 | Nietzsche, F. W., Die frohliche Wissenschaft, 1882,Verlag: GRIN Verlag, 2007. | 미소장 |
25 | Reginster, B., The Affirmation of Life, Cambridge, Havard University Press, 2006. | 미소장 |
26 | Stelter, R. & Böning, U., Coaching als mitmenschliche Begegnung: Kunst zu Verweilen, Springer Wieweg, Wiesbaden, 2019.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1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