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학상담이 고유한 입지를 다지려면 기존의 상담과 다른 방법론을 제시하는 일이 중요하다. 그러나 이것만으로는 사람들을 철학상담으로 이끌기 힘들다. 사람들은 자신의 문제가 정신과나 심리상담에서가 아니라 철학상담에서 다루기에 적합하다고 생각할 때 철학상담사를 찾을 것이다. 필자는 이 논문에서 ‘피상적 피로’가 아니라 ‘실존적 피로’가 철학상담에 적합한 대상이라고 주장할 것이다. 이 주장을 입증하기 위해 필자는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작업을 수행할 것이다.

첫째, 현대사회를 ‘피로사회’로 규정하는 한병철의 주장이 비판적으로 검토될 것이다. 둘째, 개인이 자신의 고유한 존재인 실존에 대한 의미나 가치를 느끼지 못하고 또한 그것을 실현할 가능성도 발견하지 못한 채 지친 상태가 ‘실존적 피로’로 규정될 것이다. 셋째, 필자는 ‘실존적 피로 증후군’을 허무주의의 맥락에서 탐구함으로써 실존적 피로의 시대적 배경과 존재론적 근원을 밝힐 것이다. 끝으로 필자는 실존적 ‘불안’이 아니라 실존적 ‘피로’를 철학상담의 대상으로 삼아야 하는 이유와 그로 인한 강점에 대해 간략히 언급할 것이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인공 지능은 상식을 배울 수 있을까? = Can artificialin intelligence learn common sense? 박명관 p. 294-312

한국어교사의 글로벌 역량 요소 설정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setting of global competency factors for Korean teachers 박선옥 p. 313-335

KSL 조응표현에서의 대조의 역할 = The role of contrast in anaphoric expressions of KSL 박현준 p. 336-358

'교수법 문법'에 의한 전공과목 수업 방안 : Major Chinese education based on "academic grammar" : with a focus on major Chinese classes / 중국어 심화 관련 전공과목 수업을 중심으로 신지안 p. 359-376

타이완 원주민 신화의 동·식물 상징 의미와 문화 = Symbolic cultural significance of animals and plants in Taiwanese indigenous mythology 이명아 p. 377-394

AI 음성 인식 기술을 활용한 중국어 발음 교육 연구 : A study on Chinese pronunciation education using AI voice recognition technology : focused on ITS for Chinese language education / 중국어 교육용 ITS를 중심으로 이서이, 한용수 p. 395-411

유해류 역학서에 수록된 근대중국어 문화어휘 연구 : A study on modern Chinese culture words in classification lexicon : based on 『譯語類解』 and 『方言類釋』 / 『譯語類解』와 『方言類釋』을 중심으로 최병선 p. 412-442

中韩起名文化的计量统计对比研究 = A comparative study on naming culture of China and Korea by quantitative statistics 钱兢 p. 443-460

Non-deictic past and sequence of tense in Korean Ko, Hoonjoo, Yoo, Yong Suk p. 461-478

아감벤의 등록과 수용소 문제 연구 = A study on Agamben’s political concepts of registration and camp 김지혜 p. 1-21

칸트의 이율배반론을 통해서 본 갈등 해결 = Conflict resolution in Kant’s view of antinomies 박경남 p. 22-52

역사와 의미의 구성 : History and the constitution of meaning : a critical examination of Derrria’s interpretation on Husserl / 데리다의 「기하학의 기원」에 대한 비판적 독해를 중심으로 손영창 p. 53-80

『주역』에 대한 왕충의 이해 : Wang-chong's understanding of the Book of Changes : focusing on criticism of fortune-telling, prophecy and apocryphal texts / 점서와 참위설에 대한 비판을 중심으로 이오륜 p. 81-99

피상적 피로와 실존적 피로 : Superficial fatigue and existential fatigue : subject study for philosophical counseling / 철학상담 대상 탐색 이진오 p. 100-125

『에우노미우스 논박』(Contra Eunomium)에서 니사의 그레고리우스의 그리스도교적 언어관 : Gregory of Nyssa’s Christian view of language : the problem of divine ineffability and divine name / 신의 표현 불가능성(ineffability)과 신의 이름 문제를 중심으로 임형권 p. 126-148

감정을 느끼지 못하는 인공지능의 예술도 진정한 예술이 될 수 있을까? = Can AI that cannot feel emotions create true artworks? 정혜윤 p. 149-170

기후위기 시대 철학의 전환 : The philosophical turn in the era of climate crisis : the dialogue between anthropocene philosophy and Qi-Philosophy / 인류세철학과 기학(氣學)의 대화 조성환 p. 171-193

생태적 응답과 타자현상학 = Ecological responses and the phenomenology of the other 현남숙, 김영진 p. 194-216

한국어 호칭 사용을 통해서 본 위계성과 억압의 문제 = An essay on hierarchical characteristics and repression under circumstances of Korean address terms 박성진 p. 217-240

사람의 뜻. The senses of people in the cases of class, labor, friend, chairman and the reds / 4, 계층/계급, 근로/노동, 친구/동무의 대립과 기피 정세근 p. 241-256

프랑스 웅변의 귀환 : Return of eloquence in France : education, culture, engagement / 교육, 문화, 참여 조경희 p. 257-276

영어권 아동 도서의 일반 상식 평가 : Evlauation[실은 Evaluation] of commonsense knowledge in children's book : using neural language model / 신경망 언어 모델을 활용하여 구건우, 이재민, 김유희 p. 277-293

참고문헌 (26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수돌, 「성과사회, 자기착취, 그리고 피로사회」, 『진보평론』 제52집, 뉴 래디컬 리뷰, 2012. 미소장
2 강지은, 「피로사회 담론의 주체성과 탈근대적 주체성 분석」, 『시대와 철학』 제28권 3호,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17. 미소장
3 김선희, 「‘피로사회’에 나타난 주체들의 병리적 유형화와 치료적 접근: 미메시스 개념과의 관계를 토대로」, 『철학연구』 제107집, 철학연구회, 2014. 미소장
4 김정현, 「로고테라피와 실존분석의 임상방법 및 철학상담에서의 함의」, 『철학논구』 제120집, 대한철학회, 2011. 미소장
5 알베르 카뮈 저, 김화영 옮김,『시지프 신화』, 책세상, 2009. 미소장
6 이진오, 「하이데거의 현존재분석론과 형식적 지시에 근거한 상담-치료」, 『의철학연구』 제31집, 한국의철학회, 2021. 미소장
7 정용수, 「호모루덴스로 살펴보는 인간 규정」, 『대동철학』 제82집, 대동철학회, 2018. 미소장
8 프랑클·크로이저 저, 김영철 옮김, 『태초에 의미가 있었다: 정신분석에서 로고테라피에로』, 분도출판사, 2006. 미소장
9 하종수·최희봉, 「성과사회와 철학적 병: 샌델의 정의론으로 치유하기」, 『인문과학연구』 제55집,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미소장
10 한병철 저, 김태환 옮김, 『피로사회』, 문학과 지성사, 2012. 미소장
11 한지윤·강보선, 「실존적 공허에 대처하기 위한 빅터 프랭클의 자생교육론」, 『한국교육학 연구』 제21권 제4호, 안암교육학회, 2015. 미소장
12 Achenbach, G. B., Philosophische Praxis, Schriftenreihe zur Philosophischen Praxis, Bd. I, Köln, 1987. 미소장
13 Anderson, L. R., ed. Janaway, C. & Robertson, S., "What is a Nietzschean Self?", in Nietzsche, Naturalism and Normativit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미소장
14 Andren, M., "Nihilism and Resposibility in the Writings of Karl Jaspers", in European Review Vol.22, No.2,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4. 미소장
15 Böhme, H., "Das Gefühl der Schwere: Historische und phänomenologische Ansichten der Müdigkeit, Erschöphung und verwandter Emotion", in figulation Vol.16, Zürich, 2015. 미소장
16 Creasy, K., "On the Problem of Affective Nihilism", in Journal of Nietzsche Studies Vol.49 No.1, Penn State University Press, 2018. 미소장
17 Danieli, E., "Gedanken zur Müdigkeitsgesellschaft", in Editores Medicorum Helveticorum Vol.92, 2011. 미소장
18 Frankl, V. E., Man’s Searching for Meaning, London, Rider, 2004. 미소장
19 Han, B. C., Duft der Zeit. Ein philosophischer Essay zur Kunst des Verweilens, Transcript, Bielefeld, 2009. 미소장
20 Handke, P., Versuch über die Müdigkeit, Frankfurt a. M., Surhkamp, 1989. 미소장
21 Heidegger, M., Sein und Zeit:15. Aufl, Tübingen: Max Niemeyer, 1986. 미소장
22 Heidegger, M., Grundbegriffe der Metaphysik; Welt-Endlichkeit-Einsamkeit, Gesamtausgabe, II Abteilung: Vorlesungen 1923-1944, Bd. 29/30, VITTORIO KLOSTERMANN, Frankfurt a. M., 1983. 미소장
23 Jaspers, K., Philosophie II Existenzerhellung, Berlin, Springer Verlag, 4. Auflage, 1973. 미소장
24 Nietzsche, F. W., Die frohliche Wissenschaft, 1882,Verlag: GRIN Verlag, 2007. 미소장
25 Reginster, B., The Affirmation of Life, Cambridge, Havard University Press, 2006. 미소장
26 Stelter, R. & Böning, U., Coaching als mitmenschliche Begegnung: Kunst zu Verweilen, Springer Wieweg, Wiesbaden, 2019.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