벽사춤 전승의 현재와 미래 [좌담]
|
[좌담]: 정용진, 박순자, 김상덕, 전은경, 김남수 ; 진행: 윤지현
|
p. 15-23
|
|
|
|
국가무형문화재 제27호 승무 예능보유자 벽사 정재만(鄭在晩, 1948~2014)의 춤 생애사
|
글: 이미희
|
p. 24-27
|
|
|
|
"지금 이 시대가 요청하는 춤의 역할에 부응하기 위해서‥" : 무용예술상 작품상 수상 전미숙 [인터뷰]
|
전미숙 [인터뷰이] ; 한수민 [취재]
|
p. 30-34
|
|
|
|
"인간이라는 존재가 하나의 구조 아닌가요?" : 무용예술상 안무상 수상 이재영 [인터뷰]
|
이재영 [인터뷰이] ; 김남수 [취재]
|
p. 35-39
|
|
|
|
"개인의 '자기만의 시간'이 필요한 세대입니다" : 무용예술상 주목할 만한 시선상 수상 이가영 [인터뷰]
|
이가영 [인터뷰이] ; 김남수 [취재]
|
p. 40-44
|
|
|
|
"신명이 일어날 때는 물 위를 걷듯 몸이 붕 뜹니다" : 무용예술상 전통춤연기상 수상 복미경 [인터뷰]
|
복미경 [인터뷰이] ; 김남수 [취재]
|
p. 45-49
|
|
|
|
2023년의 문화예술정책은 어디에 위치하고 있는가
|
글: 염신규
|
p. 50-51
|
|
|
|
흰그늘. 1, 귀소성의 씻김
|
글: 김남수
|
p. 52-55
|
|
|
|
서울에서 만난 영남춤의 本鄕, 김정원의 춤, '김정원의 영남춤 나들이'
|
글: 이주영
|
p. 58-59
|
|
|
|
한빛대상의 영광 이정애(이정애무용단) [인터뷰]
|
[인터뷰이]: 이정애 ; 글: 이찬주
|
p. 60-62
|
|
|
|
60년 동안 반짝반짝 빛난 건 : 로열발레단 <다이아몬드 기념 공연>
|
글: 정옥희
|
p. 64-66
|
|
|
|
희미하게, 하지만 장대하게 : 화이트큐브 프로젝트 <Recall; 불러오기>
|
글: 박성혜
|
p. 67-69
|
|
|
|
'타자'에 대한 뜨거운 껴안기 그리고 미끄러지기 : 배효섭 <외계인간>
|
글: 이지현 ; 사진: 김동환
|
p. 70-73
|
|
|
|
"사진은 기록입니다" : 사진가 김찬복 [인터뷰이]
|
[인터뷰이]: 김찬복 ; 글: 김남수
|
p. 74-79
|
|
|
|
"급변하는 매체 환경과 동행하는 예술 마케터" : 국립현대무용단 사무국장 임소영 [인터뷰]
|
[인터뷰이]: 임소영 ; 글: 김남수
|
p. 80-85
|
|
|
|
일제강점기 라디오 방송과 춤
|
몸
|
p. 86-90
|
|
|
|
모더니스트의 전통춤, 이애주의 승무 [서평]
|
글: 윤지현
|
p. 91-94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