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립연정국악단 '신춘음악회' 외, 관객의 발걸음을 전통예술로 이끌다 : 예술감독 이승훤이 그린 올해 조감도는? [인터뷰]
|
[인터뷰이]: 이승훤 ; 글: 허서현
|
p. 34
|
|
|
|
음악으로 답하기 위한 수많은 질문들 : 메조소프라노 조이스 디도나토 [인터뷰]
|
[인터뷰이]: 조이스 디도나토 ; 글: 임원빈
|
p. 46-51
|
|
|
|
시대가 기억해야할 이름들 : 미국과 유럽의 메조소프라노 계보
|
글: 유형종
|
p. 52-53
|
|
|
|
자연 속 인간을 그리다 : 작곡가 토드 마코버 [인터뷰]
|
[인터뷰이]: 토드 마코버 ; 글: 이의정
|
p. 54
|
|
|
|
모차르트 본고장 악단이 온다! : 지휘자 아담 피셰르 [인터뷰]
|
[인터뷰이]: 아담 피셰르, 레이 첸 ; 글: 류태형, 이지영
|
p. 58-60
|
|
|
|
봄을 알리는 프랑스의 바람 : 클라리네티스트 폴 메이어 [인터뷰]
|
[인터뷰이]: 폴 메이어 ; 글: 홍예원
|
p. 62-63
|
|
|
|
체코 르네상스를 향하여 : 밤베르크 심포니 오케스트라 수석 지휘자 야쿠프 흐루샤
|
글: 송현민
|
p. 66-67
|
|
|
|
카라얀이 사랑한 공연장 : 도쿄 산토리홀 대표 쓰쓰미 쓰요시 [인터뷰]
|
[인터뷰이]: 쓰쓰미 쓰요시 ; 글: 박선민
|
p. 70-73
|
|
|
|
자신만의 온전한 무대를 준비하는 시간 : 바이올리니스트 최예은 [인터뷰]
|
[인터뷰이]: 최예은 ; 글: 양경원
|
p. 74-76
|
|
|
|
더 이상 우리를 '식스(Six)'로 엮지 마! : 뮤지컬 '식스 더 뮤지컬'
|
글: 허서현
|
p. 80-83
|
|
|
|
21세기 창작자들의 시선에서 본 여성국극은? 웹툰 & 창극 '정년이' [인터뷰]
|
[인터뷰이]: 서이레, 나몬, 남인우 ; 글: 김옥란
|
p. 84-87
|
|
|
|
도르트문트 콘체르트하우스 '시간의 섬' : 작곡가 소피아 구바이둘리나
|
글: 박찬미
|
p. 88-90
|
|
|
|
왜 '지젤'인가?
|
글: 정옥희
|
p. 95-96
|
|
|
|
'지젤'로 30년 만에 한국을 찾는 이유 : 파리 오페라 발레의 새 예술감독 호세 마르티네즈 [인터뷰]
|
[인터뷰이]: 호세 마르티네즈 ; 글: 허서현
|
p. 97-98
|
|
|
|
철의 여인이 가진 따뜻한 진정성 : 세아이운형문화재단 이사장 박의숙
|
글: 허서현
|
p. 102-103
|
|
|
|
사유(思惟)와 여유(餘裕), 그 사이로 낸 피리의 길 : 피리 연주자 진윤경 [인터뷰]
|
[인터뷰이]: 진윤경 ; 글: 송현민
|
p. 106-108
|
|
|
|
노련한 절제로 베토벤에 다가가다 : 노부스 콰르텟 리사이틀
|
글: 류태형
|
p. 115
|
|
|
|
과잉 속에 사라진 삶과 음악 : 뮤지컬 '베토벤'
|
글: 정수연
|
p. 116
|
|
|
|
완등이라는 삶의 도전, 혹은 또 다른 인간의 욕망 : 모든 컴퍼니 'On the Rock(온더락)'
|
글: 한석진
|
p. 117
|
|
|
|
새로운 춤이 보인 순간 : 서울남산국악당·무용역사기록학회 '코리아그라피'
|
글: 윤대성
|
p. 118
|
|
|
|
1945년산 총이 들려준, 장황한 역사와 현실 : 연극 '빵야'
|
글: 배선애
|
p. 119
|
|
|
|
음악평론가가 제작에 직접 뛰어든 이유 : 마장뮤직앤픽처스 대표 하종욱 [인터뷰]
|
[인터뷰이]: 하종욱 ; 글: 임원빈
|
p. 129-131
|
|
|
|
밀실에서의 음악을, 광장으로! : 45년간 모은 음반 기증한 건축가 김영섭 [인터뷰]
|
[인터뷰이]: 김영섭 ; 글·사진: 임원빈
|
p. 132-133
|
|
|
|
지금, 여기, 우리가 즐기는 현대음악 : 음원 차트 속 인기 작곡가들
|
글: 이민희
|
p. 136-138
|
|
|
|
우리 시대 보편적 현대음악의 표상 : '막스 리히터 레볼루션'
|
글: 송주호
|
p. 139
|
|
|
|
모든 것이 가능한 번잡의 시대 : 작곡가 라이언 로트 [인터뷰]
|
[인터뷰이]: 라이언 로트 ; 글: 이의정
|
p. 140-141
|
|
|
|
피아노의 새로운 수도, 루체른 : '르 피아노 심포니크' 페스티벌
|
글: 전윤혜
|
p. 148-149
|
|
|
|
흙 속의 진주를 발견한 마음으로 : 하겐 극장 '서부의 아가씨'
|
글: 오주영
|
p. 150-151
|
|
|
|
과감한 삭제와 압축이 성공의 원인 : 린츠 주립극장 '운명의 힘'
|
글: 김운하
|
p. 152-153
|
|
|
|
베토벤, 그는 대체 어떤 인물인가?
|
글: 노먼 레브레히트 ; 번역: Evener
|
p. 154-156
|
|
|
|
낙관과 비관 사이를 가로지르며 : 퀴네공드
|
글: 오주영
|
p. 172-175
|
|
|
|
음악과 미술의 만남 : 아르놀트 쇤베르크와 화가들
|
글: 홍승찬
|
p. 176-177
|
|
|
|
도심을 풍요롭게 만드는 거리예술
|
글: 김승국
|
p. 180-181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