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버는 안 되고, 기자는 되나' : 무분별한 표절 및 베끼기 보도 실태
|
안수찬
|
p. 8-12
|
|
보기
|
|
저작권 침해 방지 노력 이뤄지나, 적용 범위 논란 확산될 것 : 해외의 저작권법과 뉴스
|
배수영
|
p. 13-15
|
|
보기
|
|
출처 명시는 저널리즘의 기본 원칙 : 베끼기 보도의 법적 문제
|
조연하
|
p. 16-21
|
|
보기
|
|
탈플랫폼 위해선 퍼스트파티 데이터 필요해 : 저물어가는 트위터와 페이스북, 인스타그램도?
|
이덕주
|
p. 24-27
|
|
보기
|
|
기존 양식 답습한 후발 주자, 현재 소셜미디어 생태계 대체하긴 어려워
|
최순욱
|
p. 28-31
|
|
보기
|
|
플랫폼과 헤어질 결심, 먼저 할 일은 구태의연한 자신과의 거리두기 : 탈플랫폼 시대 한국 언론 시장의 역설
|
이지형
|
p. 32-36
|
|
보기
|
|
정치 보도 의존과 리더십의 한계, 예고된 위기에 대처 못해 : 다시 위기에 빠진 워싱턴포스트
|
이성규
|
p. 38-42
|
|
보기
|
|
불확실성 가득한 채 시작된 2023년, 저널리즘 가치로 뉴스 이용자 설득해야 : 2023 로이터저널리즘연구소 보고서로 본 2022년의 기록, 2023년의 전망
|
장희수
|
p. 43-48
|
|
보기
|
|
유료화로 인한 뉴스 콘텐츠 시장의 품질 양극화 가능성, 공적 지원 제도 필요성 증대
|
이현우
|
p. 49-53
|
|
보기
|
|
반복되는 참사의 고리를 끊기 위해 : 한겨레 <참사가 앗아간 당신과 함께… 오늘, 가족사진을 찍었습니다> 제작기
|
박종식
|
p. 55-57
|
|
보기
|
|
지면에 이름 새긴 편집기자, 신문이 정보 전달 넘어 문화 플랫폼으로 자리잡도록 : 강원도민일보 주말 특집판 <펀(FUN)집숍> 제작기
|
안영옥
|
p. 58-62
|
|
보기
|
|
첫발 뗀 위성사진 분석 보도, 의미 있는 후속 보도 이어갈 것 : KBS <[단독] 동창리 서해위성발사장 '증축' 포착… 발사 준비 본격화> 취재기
|
윤진
|
p. 63-65
|
|
보기
|
|
디지털 기술을 현명하게 사용하기 위한 가이드 [서평]
|
구본권 [평]
|
p. 67-70
|
|
보기
|
|
기자 중심 조직문화, 볼품없는 위상, 이직 의사 절반 넘어 : 2022 언론사 IT 종사자 인식 조사
|
최진순
|
p. 71-76
|
|
보기
|
|
미디어 연구자의 눈높이로 컴퓨테이셔널방법론 이해와 경험 공유 : 한국언론학회 컴퓨테이셔널 방법론 세미나
|
이종혁
|
p. 77-79
|
|
보기
|
|
시의적절한 토론 이끌어내는 공론장을 만들다 : 정준희 한양대 겸임교수
|
김수아
|
p. 84-89
|
|
보기
|
|
지역 언론 재건을 위해 미국 지역 언론 연구자가 한데 모이다
|
최재원
|
p. 91-95
|
|
보기
|
|
대통령령으로 준비 중인 인도네시아식 포털 뉴스 편집 금지법
|
배동선
|
p. 96-100
|
|
보기
|
|
언론 신뢰도는 상승, 뉴스에 대한 피로감 해결이 과제 : 프랑스
|
최지선
|
p. 101-105
|
|
보기
|
|
세계 최초로 시행한 뉴스미디어협상법, '성공적' : 호주
|
이지영
|
p. 106-108
|
|
보기
|
|
언론 활동 관행의 부조리와 시대착오성 진단·개선해야 : 김만배 로비 사건과 언론 윤리
|
임영호
|
p. 110-113
|
|
보기
|
|
누구나 바른 결과를 빠르게 얻을 수 있게 : 뉴스 기반 형태소 분석기 '바른'
|
황재
|
p. 115-117
|
|
보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