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임시의정원 여성의원의 시기별 일고찰 = A study on the female members of the Korean Provisional Assembly in different times / 복보경 1

국문초록 1

I. 서론 2

II. 임시의정원 여성의원 명단의 재고 4

III. 상해임시정부 시기 (1919~1932) 8

1. 김마리아 의원 8

2. 양한나 의원 10

3. 최혜순 의원 12

IV. 임시정부의 이동시기 (1932~1940) 14

V. 중경임시정부시기 (1940~1945) 16

1. 지경희 의원 17

2. 신정완 의원 21

VI. 결론 21

별첨 23

참고문헌 27

Abstract 30

초록보기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입법기관인 임시의정원은 여성의 피선거권과 참정권을 인정하고 총 6인의 여성을 오늘날 국회의원에 해당하는 임시의정원 의원으로 선출하였다. 한국 역사상 처음으로 여성이 입법부의 주체로 진출한 것이다. 하지만 상해임시정부시기에는 여성의원 스스로도 대의원으로서의 역할, 즉 정책반영을 위한 의정활동에 나서려 하지 않았고, 중일전쟁 이후의 여성 독립운동이 광복군 입대 등의 직접적 투쟁으로 변화하면서 임시정부 이동시기에 선출된 방순희와 중경임시정부시기의 지경희, 신정완 등의 의원은 앞선 여성의원들과는 한층 변모된 활동 양상을 보였다. 이러한 시기별 변화를 통해 본고는 독립운동을 넘어 평등한 정치적 대표성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였던 근대 여성의 정치참여사 일면을 살피고자 한다.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which recognized women's eligibility of election and suffrage, elected a total of six women as members of the Provisional Assembly, equivalent to today's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from liberation to dissolution. For the first time in Korean history, a woman became the subject of the legislature. However, during the Shanghai Provisional Government period, female lawmakers themselves did not try to act as a representative, that is, to participate in parliamentary activities to reflect policies. After the Sino-Japanese War, the women's independence movement was no longer confined to the support from outskirts, but changed into a direct struggle, such as enlisting in the Liberation Army. Female lawmakers such as Soonhee Bang, Kyunghee Ji and Jeongwan Shin showed a further transformation of parliamentary activities compared to those of the early days. This study aims to examine an aspect of the history of women's political participation in modern times, which tried to secure equal political representation beyond the independence movement.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임시의정원 여성의원의 시기별 일고찰 = A study on the female members of the Korean Provisional Assembly in different times 복보경 p. 5-34

보기
대통령선거 교육공약 형성과정 연구 : Analyzing presidential platforms : how college admission programs are established within a political party / 대입제도를 중심으로 이경아, 박현석, 박대권 p. 35-61

보기
경계미획정 수역에 대한 법적 쟁점 = Legal issues about undelimited maritime areas 정민정 p. 63-89

보기
교원양성체제 개편과 대학교육 만족도 = Teacher education reform and student satisfaction with teacher preparation program : 교육대학교와 국가거점국립대학교 사범대학 비교·분석 감지혜 p. 91-125

보기
과학기술분야 국제협력 촉진법 제정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enactment of the Act on Promotion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Science and Technology 권성훈, 김나정 p. 127-151

보기
한국과 일본의 장애인학대 관련 법률 비교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n the abus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Korea and Japan 김경란, 김재연 p. 153-183

보기
지역사회 갈등조정과 민원배심제 : Community conflict mediation and the civil complaints jury system : experiences in the operation of the Daegu Suseong-gu civil complaints jury system / 대구 수성구 민원배심제 운영의 경험 박종화, 신경섭, 김선영 p. 185-216

보기
대형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사전평가과정에서 위험요인 분석 : Analysis of risk factors in the preliminary evaluation process of large-scale national R&D projects : focusing on the experience of a project manager (PM) in a pre-feasibility studies / 예비타당성조사 사업관리자(PM)의 경험을 중심으로 이철주, 이승룡, 주기완 p. 217-248

보기

참고문헌 (41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국사편찬위원회. 2005.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 제1권. 공보. 미소장
2 국사편찬위원회. 2005.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 제2권 임시의정원1. 미소장
3 국사편찬위원회. 2005.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 제5권 임시의정원4. 미소장
4 국사편찬위원회. 2009.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 별책2 – 조선민족운동연감. 미소장
5 국회입법조사처. 2019. 7. “대한민국 임시의정원의 헌법적 의미와 대한민국에 남긴유산”. ‘임시의정원 헌법적 의미’ 공동학술대회. 한국공법학회・국회입법조사처 주최. 서울. 대한민국 미소장
6 김성은. 2008.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여성들의 독립운동:1932-1945.” 『역사와경계』 68. p.253. 미소장
7 김성은. 2018, 12. “상해 임정시기 여성 독립운동의 조직화와 특징.” 『여성과 역사』29. p.288. 미소장
8 김희곤. 1991. “대한민국 임시의정원의 성격: 1919년 정부수립기를 중심으로.”『한국민족운동사연구』 5. 미소장
9 김희곤. 2003. “대한민국 임시의정원과 대한민국 국회.” 『국회보』 440. pp.51-54. 미소장
10 김희곤. 2008. 『대한민국임시정부 Ⅰ-상해시기』.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미소장
11 김현정. 2019. “1932-1945년 대한민국 임시의정원의 모습과 그 헌정사적 의의.”『공법연구』 제48-1호. p.112. 미소장
12 박용옥. 2003. 『김마리아: 나는 대한의 독립과 결혼하였다』. 홍성사. 미소장
13 손병권. 2019. “임시의정원과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시작: 임시의정원의 역사적 의의와 역할.” 『국회입법조사처보』 40. pp.19-22. 미소장
14 양동숙. 2010. “해방후 독립촉성애국부인회의 조직과 활동 연구.” 『한국민족운동사연구』 62. pp.375-430. 미소장
15 양영석. 1987. “대한민국 임시의정원 연구, 1919-1925.” 『한국독립운동사연구』 1. pp.210-223. 미소장
16 양영석. 1988. “대한민국 임시의정원 연구, 1925-1945.” 『한국독립운동사연구』2. pp.333-378. 미소장
17 오세창. 1981. “대한민국임시의정원의 역할.” 『한국사론』 10. p.53. 미소장
18 윤선자. 2010. 『김철: 영원한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요인』. 역사공간. 미소장
19 이가연. 2019. “방순희의 생애와 독립운동.” 대한민국역사문화원 3.1운동 100주년기념학술심포지움. 대한민국. pp.149-162. 미소장
20 이명화. 2004. “독립운동기 인물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 『한국인물사연구』. pp.137-173. 미소장
21 이명화. 2014. “방순희선생:대한의 여성과 청년들이여, 모두 일어나라!” 『순국』280. pp.28-59. 미소장
22 이송희. 2002. “양한나의 삶과 활동에 관한 일고찰.” 『여성연구논집』 13. pp.5-37. 미소장
23 이준식. 2009. “대한민국임시정부와 여성 독립운동.” 『한국민족운동사연구』 61집. pp.107-141. 미소장
24 이준식. 2015. “일제강점기 여성 독립운동의 재인식.” 『내일을 여는 역사 59』. pp.86-102. 미소장
25 이재호. 2011, 8. “윤기섭의 대한민국임시의정원 참여와 활동.” 『한국독립운동사연구』 39. p.157. 미소장
26 이재호. 2011. “대한민국 임시의정원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27 전경옥. 2003. “한국 여성의 정치참여와 여성정책에 관한 연구: 1960년대부터 현재까지 – 정치참여 관련 정책부문.” 『한국정치학회보』 37. pp.135-158. 미소장
28 정혜숙. 2007. “여성의 정치참여와 국민의식의 연관성: 여성국회의원에 대한 국민들의 평가를 중심으로.” 『지역사회연구』 15-4. pp.103-125. 미소장
29 하영애. 1989. “女性의 議會進出에 관한 考察: 중화민국의 여성 당선 보장제를 중심으로.” 『政正』. pp.7-30. 미소장
30 한국여성의정. 2018. 『세상을 바꾼 여성 정치인들: 개척기편』. 한국여성의정. 미소장
31 한상도. 2008. 『대한민국임시정부 Ⅱ-장정시기』.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미소장
32 한시준. 2009. 『대한민국임시정부 Ⅲ-중경시기』.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미소장
33 한시준. 2009. 8. “중경시기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위상과 역할.” 『한국독립운동사연구』 33. pp.61-99. 미소장
34 한시준. 2019. “임시의정원 의원으로 활동한 여성들.” 『국회보』 635. pp.60-62. 미소장
35 한시준. 2020. “대한민국 임시의정원과 국회의 관계.” 『한국독립운동사연구』 71. pp.227-253. 미소장
36 황묘희. 1992, 8. “重慶臨時政府의 議政院 硏究:臨時議政院의 議政活動을 中心으로.” 『誠信史學』 10. 미소장
37 국사편찬위원회 전자사료관 http://archive.history.go.kr/image/viewer.do? system_id=000000668470 미소장
38 한국사데이터베이스 일본외무성기록 http://db.history.go.kr/item/imageVie wer.do?levelId=haf_077_0250 미소장
39 공훈전자사료관 독립유공자 공훈록 https://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2 미소장
40 한국사데이터베이스 경성지방법원 검사국문서 미소장
41 대한민국임시정부공보 제79호 중요기사. 한국사데이터베이스 http://db.history.go.kr/item/imageViewer.do?levelId=had_197_0360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