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권성룡 (2015). 초등 예비교사의 수학수업에서의 학습과제의 인지적 수준 분석. 초등수학교육, 18(2), 61-75. | 미소장 |
2 | 김상미 (2008). 교사의 자서전을 통한 수학 수업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18(4), 435-453. | 미소장 |
3 | 김해규 (2018). 교육실습에서 수학 수업 실행 횟수에 따른 초등 예비교사의수학 수업전문성 지식 활용 양상.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2(1), 1-24. | 미소장 |
4 | 남윤석, 전평국 (2006). 교육실습 과정에서 배우는 초등 예비교사의 수학 교수학적 내용 지식에 관한 사례연구. 수학교육, 45(1), 75-96. | 미소장 |
5 | 류현아 (2020). 예비초등교사의 수학적 신념과 수업 실제의 관계.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36(2), 203-227. | 미소장 |
6 | 문효영, 권성룡 (2010). 교육실습에서의 수학 수업이 초등예비교사의 수학에관한 신념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4(2), 487-521. | 미소장 |
7 | 방정숙, 김주현, 최예원, 곽은애, 김정원 (2022). 교사 공동체를 중심으로 한초등 수학 수업 개선: 효과적인 수학적 논의를 위한 5가지 관행의 적용. 초등수학교육, 25(4), 433-457. | 미소장 |
8 | 이영혜, 권종겸, 이봉주 (2013). 교육실습 과정에서 나타난 초등 예비교사의수학에 대한 교사 효능 신념의 변화. 수학교육학연구, 23(4), 407-422. | 미소장 |
9 | 조미경 (2022). 느리게 배우는 학습자를 위한 초등예비교사의 수학수업 설계. 수학교육논문집, 36(2), 287-311. | 미소장 |
10 | Eisner, E. W. (2002), The Educational imagination: on the design and ev aluation of school programs (3rd ed.), N.J.: Pearson Education, Inc.. | 미소장 |
11 | Grossman, P., Compton, C., Igra, D., Ronfeldt, M., Shahan, E., & Williams on, P. (2009). Teaching practice: A cross-professional perspective. Teache rs College Record, 111(9), 2055–2100. | 미소장 |
12 | Lee, J. & Dumitrascu, G. (2017).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perceive d preparedness of High-Leverage Practices in mathematics teaching. 초등수학교육, 20(2), 153–162. | 미소장 |
13 | Lee, J., Lim, W., & Kim, H. (2016). Lesson planning: How do pre-service teachers benefit from examining lesson plans with mathematics teaching practices as an analytical lens?. 초등수학교육, 19(3), 211–222. | 미소장 |
14 | Levine, A. (2006). Educating school teachers: The education schools project. Retrieved from http://www.edschools.org/pdf/Educating_Teachers_Report.pdf. | 미소장 |
15 |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014). Principles to actions: Ensuring mathematical success for all. Reston, VA: Author. | 미소장 |
16 | Smith, M. S., & Stein, M. K. (2018). 5 Practices for orchestrating produc tive mathematics discussions (2nd ed.). Reston,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 미소장 |
17 | TeachingWorks (2017). Teaching Works: High-leverage practices. Univer sity of Michigan. Retrieved from: http://www.teachingworks.org/work-ofteaching/high-leverage-practices.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7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