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발해가 멸망한 후의 유민들의 디아스포라의 실상을 보여 주는 문헌자료는 많이 있으나, 고고학적 증거는 거의 주목받지 못한 상태다. 요나라의 무덤 중에서 거란인과 한인의 무덤을 변별하면서도 발해인의 무덤을 변별해 내지 못하는 이유는 문제의식과 방법론이 결여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요나라의 무덤을 일일이 조사한 결과 발해 고분과 유사한 형태의 무덤이 다수 확인되었다. 다만 장제에서 거란적인 모습도 엿보이기 때문에 발해인의 종족적 정체성이 완전하게 유지된 것은 아닌 것으로 판단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발해유민 디아스포라의 고고학적 증거들 = Archaeological evidence of the diaspora of Balhae displaced people 권오영 p. 5-36

고추의 확산과 매운맛의 세계화 = The spread of chilies and the globalization of spiciness 주경철 p. 37-60

중앙 유라시아 말의 사육화와 전차의 확산 = The domestication of the horse in Central Eurasia and the spread of the chariot 김종일 p. 61-106

성리학의 리 개념 비판과 조선후기 실학의 전개 : Criticism of the concept of Li in neo-Confucianism and the development of Silhak in the late Joseon Dynasty : focusing on Jeong Yakyong, Choi Hanki, Hong Daeyong / 홍대용, 정약용, 최한기를 중심으로 김경수 p. 109-136

일본 대중 매체 속 아이누 민족 표상 연구 : A study on the ethnic representation of the Ainu in Japanese mass media : focusing on Kawagoe Soichi’s Netsugen and Noda Satoru’s Goden Kamuy / 가와고에 소이치의 『열원』과 노다 사토루의 『골든 카무이』를 중심으로 조영준 p. 137-165

거울뉴런체계는 예술에 대한 이해의 해명에 어떻게 기여하는가 = What does the mirror neuron system reveal about our understanding of fine arts? 정혜윤 p. 167-196

시간의 흔적, 시선의 발견 : Trace du temps, découverte du regard Marcel Proust et la photographie / 마르셀 프루스트와 사진 김주원 p. 197-231

한스 요나스의 책임 윤리에서 "공포의 발견법"의 실효성 문제와 보완책 = “The heuristics of fear” in Hans Jonas’ ethics of responsibility : measures for enhancement 배희진 p. 233-260

참고문헌 (67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권오영(2022), 『부여·고구려·발해 고분과 유라시아 북부 고분의 비교』, 한국학중앙연구원. 미소장
2 권은주(2020), 「금대 발해유민 張汝猷 묘지명 검토」, 『한국고대사탐구』 34, 한국고대사탐구학회. 미소장
3 김위현(2009), 「금대 발해인의 향방」, 『한민족연구』 7, 한국민족학회. 미소장
4 김위현(2007), 「금(金) 건국과 발해유민: 중화인민공화국 학자들의 주장에 대한 토론」, 『고구려연구』 29, 고구려연구회. 미소장
5 김위현(2007), 「요대의 발해유민 연구: 중화인민공화국 학자들의 논저에 대한 토론」, 『고구려연구』 29, 고구려연구회. 미소장
6 金渭顯(1998), 「渤海遺民과 後渤海 및 大渤海」, 『발해건국 1300주년』. 미소장
7 金恩國(2011), 「南北國時代論과 渤海 Diaspora」, 『고구려발해연구』 40, 고구려발해학회. 미소장
8 金在善(2005), 「契丹의 渤海遺民 移住政策의 要因」, 『신라문화』 26,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미소장
9 나영남(2017), 『요금시대 이민족 지배와 발해인』, 신서원. 미소장
10 羅永男(2013), 「契丹의 渤海遺民에 대한 移住政策」, 『동양사학연구』 124, 동양사학회. 미소장
11 뤄스핑(2004), 「요대 묘실벽화의 발굴과 연구」, 『미술사논단』 19, 한국미술연구소. 미소장
12 바이건싱(2008), 「고구려·발해 유민 관련 유적·유물」, 『중국 학계의 북방민족·국가 연구』, 동북아역사재단. 미소장
13 박순우(2022), 「‘발해유민’인가 ‘발해인’인가?」, 『역사비평』 140, 역사비평사. 미소장
14 박순우(2020), 「요대 발해인 고모한(高模翰)관련 기록의 검토와 후손들의 활동 연구」, 『동방학지』 191,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미소장
15 박순우(2020), 「요대 발해인 정치체로서의 兀惹部 연구」, 『대동문화연구』 109,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미소장
16 박순우(2019), 「10~14세기 ‘발해인’ 정체성의 변질과 진화」, 『한국사연구』 184, 한국사연구회. 미소장
17 박홍갑(2007), 「발해 유민 대씨의 한반도 정착 과정: 영순현과 영순태씨를 중심으로」, 『동북아역사논총』 16. 미소장
18 방경일(2006), 「金代 墓誌銘에 실린 渤海遺民」, 『백산학보』 76, 백산학회. 미소장
19 徐炳國(2006), 「渤海遺民史 硏究」, 『고구려연구』 25, 고구려발해학회. 미소장
20 송영대(2017), 「디아스포라의 관점에서 본 渤海 유민의 고려 이주 양상과 특징 검토」, 『동아시아고대학』 46, 동아시아고대학회. 미소장
21 李龍範(1973), 「遼代 東京道의 渤海遺民」, 『史叢』 17, 鄭在覺博士華甲紀念論叢,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미소장
22 李龍範(1973), 「遼代 上京·中京道의 渤海遺民」, 『백산학보』 15, 백산학회. 미소장
23 이효형(2020), 「발해 유민사를 바라보는 다양한 시선」, 『역사와 세계』5 7, 효원사학회. 미소장
24 이효형(2018), 「동아시아 境界人으로서의 渤海人과 渤海遺民」, 『동아시아고대학』 52, 동아시아고대학회. 미소장
25 이효형(2015), 「발해 유민사 관련 고고학 자료의 검토」, 『고구려발해연구』 52, 고구려발해학회. 미소장
26 이효형(2007), 『발해 유민사 연구』, 혜안. 미소장
27 이효형(2006), 「발해 부흥국가와 고려의 발해 계승의식」, 『역사와 경계』 60, 부산경남사학회. 미소장
28 이효형(2006), 「발해의 멸망·유민사에 대한 연구현황과 과제」, 『부대사학』 30. 미소장
29 이효형(2005), 「渤海의 멸망과 遺民의 諸樣相: 東丹國 관련 渤海遺民을 중심으로」, 『백산학보』 72, 백산학회. 미소장
30 李孝珩(2002), 「발해 유민의 大渤海 건국과 고려와의 관계」, 『백산학보』 64, 백산학회. 미소장
31 임상선(2019), 「渤海 멸망후 건립된 東丹國의 외교활동」, 『역사와 교육』 29, 역사와 교육학회. 미소장
32 임상선 편(2019), 『새롭게 본 발해 유민사: 불굴의 사람들, 발해 유민 이야기』, 동북아역사재단. 미소장
33 林相先(2017), 「渤海國과 契丹(遼) 關係史의 硏究爭點과 向後 課題」, 『중국사연구』 106, 중국사학회. 미소장
34 임상선(2014), 「북방지역 種族의 繼承關係 검토: 靺鞨·女眞·滿洲族을 중심으로」, 『고구려발해연구』 50, 고구려발해학회. 미소장
35 임상선(2013), 「遼代 渤海人의 再遷徙 事由와 그 內容」, 『백산학보』 97, 백산학회. 미소장
36 조윤재(2021), 「요·금」, 『동북아시아 고고학개설Ⅱ: 역사시대 편』, 동북아역사재단 북방연구소편. 미소장
37 중앙문화재연구원 엮음(2021), 『발해고고학』, 학술총서46. 미소장
38 한규철(1994), 『발해의 대외관계사』, 신서원. 미소장
39 干志耿(1993), 「綏濱三號遼代五國部墓群淸理紀要」, 『探賾索隱集』, 黑龍江人民出版社. 미소장
40 靳楓毅(1980), 「遼寜朝陽前窗戶村遼墓」, 『文物』 12. 미소장
41 吉林省文物考古硏究所(1986), 「吉林雙遼縣高力戈遼墓群」, 『考古』 2. 미소장
42 金鑄(1987), 「黑龍江龍江縣李村古墓群調査」, 『北方文物』 1. 미소장
43 內蒙古文物考古硏究所(1991), 「寧城縣小塘土溝遼墓」, 『內蒙古文物考古』 1期. 미소장
44 丹化沙(1960), 「黑龍江泰來遼墓淸理」, 『考古』 4. 미소장
45 東潮(2007), 「遼代壁畫資料」, 『人文社會文化硏究』, 德島大學總合科學部. 미소장
46 武家昌(1988), 「康平海洲遼墓淸理簡報」, 『遼海文物學刊』 1. 미소장
47 龐志國(1991), 「大安市鐵西村遼代墓葬」, 『中國考古學年鑒』, 文物出版社. 미소장
48 白勁松(1989), 「陳巴爾虎旗西烏珠爾古墓淸理簡報」, 『遼海文物學刊』 2. 미소장
49 蘇日泰(1982), 「科右中旗巴扎拉嘎遼墓」 ,『內蒙古文物考古』 2. 미소장
50 孫秀仁·干志耿(1982), 「論遼 代五國部及其物質文化特徵: 遼代五國部文化類型的提出與硏究」, 『東北考古與歷史』 1. 미소장
51 芸薇·金源(1987), 「黑龍江畔的卡倫山古墓葬」, 『黑河學刊』 4. 미소장
52 遼寜省文物考古硏究所·阜新市文化局文物組·阜新縣文物管理所(1991), 「阜新海力板遼墓」, 『遼海文物學刊』 1. 미소장
53 劉謙(1984), 「遼寜錦州市張扛村遼墓發掘報告」, 『考古』 11. 미소장
54 李慶發(1986), 「遼陽隆昌兩座遼金墓」, 『遼海文物學刊』 2. 미소장
55 李慶發(1981), 「遼陽三道壕遼墓」, 『遼寜文物』 1. 미소장
56 李宇峰(1993), 「遼寜阜新縣大固本遼墓發掘簡報」, 『博物館硏究』 2. 미소장
57 李逸友(1991), 「內蒙古遼代契丹人墓葬的形制和分期」, 『北方民族文化』 增刊. 미소장
58 李陳奇·郝思德(1986), 「黑河市卡倫山遼代女眞墓葬」, 『中國考古學年鑒』, 文物出版社. 미소장
59 林楊(1981), 「泰來縣塔子城遼墓」, 『黑龍江文物叢刊』 創刊號. 미소장
60 張少靑(1988), 「遼寜康平發現的契丹,遼墓槪述」, 『北方文物』 4. 미소장
61 田華·胡秀杰·周美茹(1992), 「黑龍江省綏濱永生墓群原貌」, 『北方文物』 3. 미소장
62 陳永志(2011), 「出土文物から見た契丹人の葬送習俗」, 『草原の王朝 契丹』, 九州國立博物館. 미소장
63 崔福來·辛建(1993), 「齊齊哈爾市梅里斯長崗遼墓淸理簡報」, 『北方文物』 1. 미소장
64 巴林右旗博物館(1992), 「巴林右旗烏珠日山發現一座遼墓」, 『內蒙古文物考古』 1 ·2期. 미소장
65 郝思德(1989), 「黑龍江綏濱新城遼代墓葬」, 『博物館硏究』 3. 미소장
66 項春松(1982), 「上燒鍋遼墓群」, 『內蒙古文物考古』 2. 미소장
67 項春松(1981), 「昭盟地區的遼代墓葬: 兼談遼墓分期及其隨葬器物的斷代問題」, 『內蒙古文物考古』 創刊號.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