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니장은 흙을 다루어 궁궐이나 왕릉 등 국가적 공역에서 벽이나 천장, 바닥 따위에 흙반죽이나 회반죽 등을 바르는 전문 건축 장인 중 하나이다. 본고는 『조선왕실의궤』 전체를 대상으로 분석하여 장기간 활동한 니장들을 도출하였고, 시기별로 그들의 신분이나 직역 등의 생애사적 변화를 파악하였으며, 형제나 동료와 함께 협업하는 관계망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밝힌 내용은 다음과 같다.
17세기 궁궐을 영건할 때는 서울에 거주하는 니장들이 주로 동원되었고, 경기도 인근의 왕릉을 조성할 때에는 해당 지역의 니장들이 징발되었다. 이 시기에 오랫동안 활발하게 활동한 니장은 김줏쇠, 김계남, 안검충, 피파회 등이 서로 협업하였다.
17세기 말부터 상설아문이 정비되어 18세기의 궁궐이나 왕릉은 선공감에 소속된 관영 장인이거나 5군영에 소속된 군문 장인들이 영건하였다. 당시 니장들은 이이선, 이계선, 이승선처럼 형제가 장인 집안을 이뤄 협업하거나, 김노미, 김점동, 고억세, 이중석 등은 점차 니장의 우두머리인 변수로 성장하였다.
18세기 말에 상품 경제와 시장 유통이 활성화되면서 19세기의 니장들은 관청의 예속에서 벗어나 사적인 생산에 종사하였다. 니장들은 도급제에 의해 우두머리가 자신의 패거리를 이끌고 국역을 진 후 모두 상을 받았다. 당시 오랫동안 활동했던 니장은 박도성, 이거복, 강토리, 김순흥, 윤재근, 정명근 등이다. 그들은 협업하는 관계를 형성하거나 각자 장기를 발휘하여 특정 공역에서 활동하였다.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經國大典』 | 미소장 |
2 | 『高麗史』 | 미소장 |
3 | 『承政院日記』 | 미소장 |
4 | 『譯語類解』 | 미소장 |
5 | 『日省錄』 | 미소장 |
6 | 『朝鮮王朝實錄』 | 미소장 |
7 | 『荷齋日記』 | 미소장 |
8 | 국립문화재연구소, 『현재를 살아가는 니장』, 2020. | 미소장 |
9 | 국립문화재연구소,『영건의궤가 알려주는 니장기술』, 2021. | 미소장 |
10 | 김왕직, 『한국건축 용어사전』, 동녘, 2007. | 미소장 |
11 | 장경희, 『의궤 속 조선의 장인』1·2, 솔과학, 2013. | 미소장 |
12 | 장기인, 한국건축대계Ⅳ『한국건축용어사전』, 보성각, 2005 | 미소장 |
13 | 장기인, 『한국건축대계Ⅱ-벽돌』, 보성각, 2010. | 미소장 |
14 | 김은경, 「조선 후기 관영공사에 사용된 석회 용어 및 공법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38-5, 대한건축학회, 2022. | 미소장 |
15 | 송종택, 「조선시대의 석회 사용」, 『세리미스트』, 동북아역사학회, 2009. | 미소장 |
16 | 이권영, 「조선후기 관영건축의 미장공사 재료와 기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대한건축학회, 2008. | 미소장 |
17 | 이권영, 「산릉영건의궤 분석을 통한 조선후기 관영 건축공사의 석회에 관한연구」, 『건축역사연구』, 건축역사연구회, 2009. | 미소장 |
18 | 이권영, 「조선후기 관영건축공사의 회미장재와 공법에 관한 연구」, 『건축역사연구』, 건축역사연구회, 2009. | 미소장 |
19 | 이권영, 「산릉영건의궤 분석을 통한 조선후기 건축에서 회벽의 존재여부 고찰」, 『건축역사연구』, 건축역사연구회, 2010. | 미소장 |
20 | 장경희, 「조선후기 山陵都監의 匠人연구」, 『역사민속학』 25호, 한국역사민속학회, 2007 | 미소장 |
21 | 장경희, 「조선후기 魂殿造成木手연구」, 『한국학연구』 29호,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8. | 미소장 |
22 | 장순용, 「조선시대 의궤의 유회에 관한 고찰」, 『건축역사연구』, 건축역사학회, 2001. | 미소장 |
23 | 조영민, 「17c 이후 니장(泥匠) 기법 변천 연구」, 명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