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이 연구는 국립중앙도서관 소장자료 중 고서를 제외하고 1945년 이전에 간행된 140,245책을 대상으로 서지적 특징과 장서 관리 현황을 분석한 것이다. 연구의 결과 조선총독부도서관에서 수집한 동서(東書)가 88.0%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고 1920-1940년대에 일본에서 일본어로 간행한 자료가 주를 이루고 있었다. 자료는 대부분 NDL도서서고에 보관되어 있었으나 나머지 자료들은 관리부서가 분산되어 있음을 확인하였고 70.9%의 자료는 원문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어 있었다. 근대문헌의 장서관리를 위해서는 자료의 물리화학적 측면을 분석하여 자료에 맞는 서고 환경을 유지하고 자료 관리의 일원화를 도모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또한 기 구축된 서지정보의 수정 보완 작업이 필요하였고 중장기적인 측면에서는 근대문헌에 대한 전문 인력의 충원과 자료의 수집 확대를 고려해야 함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bibli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collection management for 140,245 books published before 1945, excluding rare books in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The result shows that Eastern books collected by the Joseon Government-general Library accounted for 88.0%, making up most of the total. The publication period was from the 1920s to the 1940s, and most books were published in the Japanese language in Japan. The vast majority of books were stored in the NDL library, but the remaining books were distributed to each management department, and 70.9% had an image database. For the collection management of modern publications, it was suggested that the book’s physical and chemical aspects be analyzed to maintain a preservation environment suitable for the collection and promote unified collection management.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necessary to revise and supplement the already-built bibliographic information. In the mid-to-long term, it was required to consider recruiting additional professionals for modern publications and expanding the collection’s acquisition.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강원대학교 산학협력단 (2023). 근대고문헌 수집 및 관리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 미소장 |
2 | 국가기록원 (2021). 기록관 및 특수기록관의 시설 환경 표준. 대전: 국가기록원. | 미소장 |
3 | 국립중앙도서관 (1973). 국립중앙도서관사.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 미소장 |
4 | 국립중앙도서관 (2006). 국립중앙도서관 60년사.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 미소장 |
5 | 국립중앙도서관 (2013). 국내 고문헌 소장 실태 기초조사 및 수집 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 미소장 |
6 | 국립중앙도서관 (2016). 국립중앙도서관 70년사.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 미소장 |
7 | 국립중앙도서관 (2018). 한국 고문헌 관리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 미소장 |
8 | 국립중앙도서관 (2021). 국립중앙도서관 고문헌의 성격과 범주에 대한 새로운 접근.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 미소장 |
9 | 국립중앙도서관 (2023). 국립중앙도서관 장서개발지침.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 미소장 |
10 | 여지숙, 오동근 (2004). 조선총독부 도서관 분류표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5(3), 293-319. | 미소장 |
11 | 옥영정 (2021). 한국 古文獻의 현황과 기준 설정에 대한 검토. 서지학연구, 87, 5-29. | 미소장 |
12 | 유춘동, 오영식 (2021). 시대 변화에 따른 근대문헌 범주의 재설정 문제와 방안. 서지학연구, 87, 51-65. | 미소장 |
13 | 윤희윤 (2014). 대학도서관 공동 보존 서고 설립․운영모형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5(3), 37-61. | 미소장 |
14 | 이귀복, 현혜원, 정희수, 박소연 (2009). 국립중앙도서관 소장자료 연대별 섬유분석집.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 미소장 |
15 | 李春熙 (1980). 國立中央圖書館의 資料整理現況과 그 方向에 관한 硏究. 圖書館學, 7(1), 3-67. | 미소장 |
16 | 이혜은 (2021). 국립중앙도서관 고문헌의 시기적 추이와 범주. 서지학연구, 87, 31-49. | 미소장 |
17 | 이혜은, 김효경 (2013). 조선총독부도서관의 안정복 장서 수집과 자료적 특징. 고문서연구, 3, 181-203. | 미소장 |
18 | IFLA Rare Books and Special Collections Section (2020). Competency Guidelines for Rare Books and Special Collections Professionals. Netherlands: IFLA. | 미소장 |
19 | 국가자료종합목록. https://www.nl.go.kr/kolisnet. | 미소장 |
20 | 한국고문헌종합목록. https://www.nl.go.kr/korcis. | 미소장 |
21 | WorldCat. https://www.worldcat.org. | 미소장 |
22 | 日本国立国会図書館 NDL ONLINE. https://ndlonline.ndl.go.jp/#!/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6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