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고경화(2007). “교육의 평등성과 수월성 관계 논의”. 「교육의 이론과 실천」 12(2), 1-22. |
미소장 |
2 |
고점복(2016). “1990년대 중국의 인문정신논쟁과 인문의 자리”. 「열린 정신 인문학연구」17(2), 45-67. |
미소장 |
3 |
교육인적자원부(2004). 「창의적 인재 양성을 위한 수월성 교육 종합대책」.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
미소장 |
4 |
김경근(2006). “한국 중등교육의 수월성과 평등성의 조화를 위한 과제”. 「교육학연구」44(1), 1-21. |
미소장 |
5 |
김경자(2002). “교육과정 측면에서 본 세계화‧정보화 환경에서의 학교교육의 수월성”. 「교육학연구」 40(3), 21-46. |
미소장 |
6 |
김대식(2014). “교육사, 어떻게 가르쳐야 할까: 서사로의 전환”. 「한국교육사학」 36(1), 161-182. |
미소장 |
7 |
김인희, 이혜진(2016). “한국 교육에서 수월성의 의미와 실현 조건 탐색”. 「교육정책연구」3, 39-81. |
미소장 |
8 |
김임순, 김성훈(2015).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이 교육에 주는 함의. 「인문학연구」 49, 395-422. |
미소장 |
9 |
김헌(2013). “‘아레테’를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호메로스에서 아리스토텔레스까지”. 「비교문학」 61, 39-71. |
미소장 |
10 |
김희봉(2013). “최적성 추구의 교육목적론적 함의”. 「교육철학연구」 35(3), 1-20. |
미소장 |
11 |
남지원, 심진용(2023.01.05.). 윤 대통령 “교육도 경쟁시장”…대학규제 2026년에 ‘제로화’. 경향신문. https://www.khan.co.kr/national/education/article/202301052102015/?nv=stand&utm_source=naver&utm_medium=newsstand&utm_campaign=top_image&utm_content=202301052102015&C (2023.01.06. 열람) |
미소장 |
12 |
네이버 지식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508967&cid=40942&categoryId=31501 (2022.05.05. 열람) |
미소장 |
13 |
박기순, 송유레(2017). 「덕의 귀환: 동서양 덕의 역사(서양편)」.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
미소장 |
14 |
박종필(2005). “수월성 교육 정책의 문제와 발전 방향 탐색: 수월성의 개념을 중심으로”. 「열린교육연구」 13(3), 29-46. |
미소장 |
15 |
박휴용(2012). “다문화교육의 형평성과 수월성에 대한 비판적 고찰”. 「다문화교육연구」5(2), 147-172. |
미소장 |
16 |
류지은(2007). “교육적 관점에서 본 평등성과 수월성에 대한 고찰”. 「교육연구논총」 28(2), 1-16. |
미소장 |
17 |
양승태(2006). 「앎과 잘남: 희랍 지성사와 교육과 정치의 변증법」. 서울: 책세상. |
미소장 |
18 |
이유진(2022.03.23.). 자사고・일제고사 부활 예고…“사교육・불평등 더 키울 것”. 한겨례. https://www.hani.co.kr/arti/society/schooling/1035880.html (2023.01.05. 열람) |
미소장 |
19 |
이윤미(2001). “교육사 서술 방식과 ‘근대’의 문제”. 「한국교육사학」 23(2), 245-262. |
미소장 |
20 |
이정우(2016). 「소은 박홍규와 서구 존재론사」. 서울: 길. |
미소장 |
21 |
이태수(2013). “호메로스의 영웅주의 윤리관”. 「서양고전학연구」 50, 5-32. |
미소장 |
22 |
정규영(2015). “계보학적 교육 연구의 가능성 탐색”. 「교육사상연구」 29(4), 103-127. |
미소장 |
23 |
최승현(2017). “벤야민의 역사철학이 교육사에서 인문주의 서술에 주는 시사점”. 「한국교육사학」 39(4), 117-136. |
미소장 |
24 |
최은순(2014). “교육의 내재적 관점에서 본 수월성의 의미”. 「교육철학연구」 36(1), 119-138. |
미소장 |
25 |
한기철(2016). “인문주의의 형성과 전개: 고전적 맥락을 중심으로”. 「도덕교육연구」 28(3), 163-196. |
미소장 |
26 |
한혜정(2008). “수월성의 교육적 의미”. 「교육학연구」 46(4), 187-206. |
미소장 |
27 |
Aristoteles. Ethica Nicomachea. 이창우, 김재홍, 강상진 역(2006). 「니코마코스 윤리학」. 서울: 이제이북스. |
미소장 |
28 |
Aristoteles. Politica. 천병희 역(2009). 「정치학」. 고양: 숲. |
미소장 |
29 |
Greenblat, S. The Swerve: How the World Became Modern. New York: W. W. Norton & Co Inc. 이혜원 역(2013). 「1417년, 근대의 탄생: 르네상스와 한 책 사냥꾼이야기」. 서울: 까치. |
미소장 |
30 |
Ferrari, M.(2002). The Pursuit of Excellence Through Education(Ferrari, M. Ed.). New York: Routledge. 이영만 역(2011). 「수월성 교육」. 서울: 아카넷. |
미소장 |
31 |
Gardner, H.(1983). Frames of Mind: The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s. New York: Basic Books. 이경희 역(1993). 「마음의 틀」. 서울: 문음사. |
미소장 |
32 |
Gardner, H.(1993). Multiple Intelligence: The Theory in practice. New York: Basic Books. 김명희, 이경희 역(1993). 「다중지능의 이론과 실제」. 서울: 양서원. |
미소장 |
33 |
Gardner, H.(1999). Intelligence Reframed. New York: Basic Books. 문용린 역(2004). 「다중지능: 인간 지능의 새로운 이해」. 서울: 김영사. |
미소장 |
34 |
Heater, D.(2007). A History of Education for Citizenship. New York: Routledge. 김해성 역(2007). 「시민교육의 역사」. 파주: 한울아카데미. |
미소장 |
35 |
Machiavelli, N.(1512). Il Principe. 강정인, 김경희 역(2008). 「군주론」. 서울: 까치. |
미소장 |
36 |
Plato. Grgias. 김인곤 역(2014). 「고르기아스」. 서울: 이제이북스. |
미소장 |
37 |
Plato. Politeia. 박종현 역(2005). 「국가‧政體」. 파주: 서광사. |
미소장 |
38 |
Spinoza, B.(1925). Opera, hrsg. von C. Gebhardt, Heidelberg: Carl Winters Universitaetsbuchhandlung. 박기순, 송유레 역(2017). 「스피노자」. 「덕의 귀환:동서양 덕의 역사(서양편)」.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350-366. |
미소장 |
39 |
Williams, R.(1988). Keywords: A Vocabulary of Culture and Society. UK: Fontana Press. 김성기, 유리 역(2010). 「키워드」. 서울: 민음사. |
미소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