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극단적인 상대주의적 세계관의 득세는 민주주의에 위협이 되고 있다. 특히, 인지부조화, 집단 동조, 확증 편향에 입각한 탈진실 현상은 진실을 가르쳐야 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마르쿠스 가브리엘의 도덕실재론은 도덕을 구성이 아닌 발견의 대상으로 이해하고 사실성을 담보한 가치관을 육성할 것을 주장한다. 그는 이를 위해 의미장에 관한 존재론적 논변과 인식론적 다원주의를 전개한다. 먼저 존재론적 논변은 세계는 존재하지 않으며, 대상은 복수의 의미장에 나타난다고 주장한다. 인식론적 다원주의는 조건과 가정의 구분을 통해 내 생각이 오류에 빠질 수 있지만 사실에 대한 인식 전부를 내버리지 않아도 된다고 주장한다. 본 연구는 이를 응용한 도덕실재론의 사례로서 제러미 벤담의 육식에 대한 논의를 살펴보았다. 대학 수업에서 학생들은 벤담의 입장에 혼란을 느끼는 바, 사실과 의견의 구분, 지식의 중립성에 대한 질문을 통해 생각과 가치관의 차이를 확인한다. 가브리엘의 신실재론은 실재론적 전회 위에 형성된 담론으로서 포스트모던 교육학의 상대주의를 쇄신할 자원으로 삼을 만하다.

참고문헌 (67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곽태진(2019). 교육과학을 위한 기초작업자로서의 교육철학: 비판적 실재론에 근거한 교육과학과교육철학의 관계 설정. 『교육철학연구』 41(1). 1-23. 미소장
2 김남준(2008). 도덕실재론의 최소성립요건. 『대동철학』 43. 1-28. 미소장
3 김주환(2022). 시민교육의 한국적 특수성과 그 이율배반적 측면에 대한 검토: 시민성 개념을 중심으로. 『교육철학연구』 44(2). 31-51. 미소장
4 남미자(2022). 근대적 사유를 넘어 새로운 교육지형도 그리기: 신유물론적 논의를 중심으로. 『교육철학연구』 44(1). 27-55. 미소장
5 신우승‧김은정‧이승택(2022). 『현대 한국어로 철학하기』. 서울: 메멘토. 미소장
6 이광석(2021). 포스트코로나 시대 기술감각의 사회적 조건. 『도시인문학연구』 13(1). 109-134. 미소장
7 이윤미(2017). 전후 일본교육개혁의 정치학: 동아시아 교육발전모델의 실천적 측면. 『교육정치학연구』 24(1). 59-85. 미소장
8 진태원(2021). 거짓 문제로서의 포스트코로나: 코로나 19 팬데믹에 대한 증상적 독해. 『비평과이론』 26(3). 197-228. 미소장
9 최승현‧서범종(2022). 교육사상의 역설과 전회: 근대교육학에서 포스트휴먼 교육학으로. 『교육문제연구』 35(2). 27-52. 미소장
10 최진(2022). 우리는 왜 아직도 플라톤의 이데아론으로부터 배울 것이 있다고 믿는가: 데이터베이스 시대에 교육철학 가르치기. 『교육사상연구』 36(1). 179-205. 미소장
11 최훈(2022). 듀이의 다원적 실재론에 관한 연구: 비위계적 교사-학생 관계의 철학적 근거. 『교육철학연구』 44(3). 125-150. 미소장
12 東浩紀(2001). 『動物化するポストモダン―: オタクから見た日本社会』. 東京: 講談社. 이은미 역(2007). 『동물화하는 포스트모던: 오타쿠를 통해 본 일본 사회』. 파주: 문학동네. 미소장
13 下司晶(2016). 『敎育思想のポストモダン: 戰後敎育学を超え』. 東京: 勁草書房. 최승현 역(2020). 『포스트모던 교육사상: 일본교육학은 포스트모던을 어떻게 수용했는가』. 서울: 박영스토리. 미소장
14 篠原雅武(2018). 『新人世の哲学: 思弁的実在論以後の人間の条件』. 東京: 人文書院. 조성환‧이우진‧야규 마코토‧허남진 역(2022). 『인류세의 철학: 사변적 실재론 이후의 ‘인간의 조건’』. 서울: 모시는사람들. 미소장
15 篠原雅武(2020). 『人間以後の哲学: 人新世を生きる』. 東京: 講談社. 미소장
16 大黒岳彦(2016). 『情報社会の哲学: グーグル‧ビッグ・データ‧人工知能』. 東京: 勁草書房. 최승현 역(2021). 『정보사회의 철학: 구글‧빅데이터‧인공지능』. 서울: 박영스토리. 미소장
17 大黒岳彦(2018). 『ヴァーチャル社会の哲学: ビットコイン‧VR‧ポストトゥルース』. 東京: 靑土社. 최승현 역(2022). 『가상사회의 철학: 비트코인‧VR‧탈진실』. 부산: 산지니. 미소장
18 岩內章太郞(2019). 『新しい哲學の敎科書: 現代實在論入門』. 東京: 講談社. 이신철 역(2020). 『새로운 철학 교과서: 현대 실재론 입문』. 서울: 도서출판b. 미소장
19 横山幹子(2022). Hjørlandのドメイン分析と存在論: Putnam及Gabrielの存在論との比較.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87. 47-69. doi:10.46895/lis.87.47 미소장
20 Adam, L.(2019). Walking as Intelligent Enactment: A New Realist Approach. Open Philosophy 2(1). 49-58. 미소장
21 Bentham, J.(1780/2007). An Introduction to the Principles of Morals and Legislation. New York: Dover Publishers. 강준호 역(2013). 『도덕과 입법의 원칙에 대한 서론』. 파주:아카넷. 미소장
22 Barad, K.(2007). Meeting the Universe Halfway: Quantum Physics and the Entanglement of Matter and Meaning. Durham: Duke University Press. 미소장
23 Bhaskar, R.(1975). Forms of realism. Philosophica. 15(1). 99–127. 미소장
24 Bhaskar, R.(1989). Reclaiming Reality: A Critical Introduction to Contemporary Philosophy. London: Verso. 이기홍 역(2007). 『비판적 실재론과 해방의 사회과학』. 서울: 후마니타스. 미소장
25 Bogost, I.(2012). Alien Phenomenology, or What It’s Like to Be a Thing. MN: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김효진 역(2022). 『에얼리언 현상학, 혹은 사물의 경험은 어떠한 것인가』. 서울: 갈무리. 미소장
26 Bonnett, M.(2018). After postmodernism: retuning to the real. Educational philosophy and Theory 50(14). 1308-1309. 미소장
27 Bonnett, M.(2022). Educational Relationships Ecologized. A Pedagogy of “Touching” in the Viral Era: Re-thinking Teaching and Learning. 2022 한국교육철학학회 연차(국제)학술대회 자료집. 3-16. 미소장
28 Bryant, R. L.(2011). The Democracy of Objects. Ann Arbor: Open Humanities Press. 김효진 역(2021). 『객체들의 민주주의』. 서울: 갈무리. 미소장
29 Bryant, R. L.(2014). Onto-Cartography: An Ontology of Machines and Media. UK: Edinburgh University Press. 김효진 역(2020). 『존재의 지도: 기계와 매체의 존재론』. 서울: 갈무리. 미소장
30 Clark, J.(2018). ‘Post-truth’: political death of the expert. Educational philosophy and Theory 50(14). 1350-1351. 미소장
31 Descartes, R.(2013). Meditation on First Philosophy. New York: Richer Resources Pub. 이현복 역(2021). 『제일철학에 관한 성찰: 자연의 빛에 의한 진리 탐구』. 서울: 문예출판사. 미소장
32 Enriquez, J.(2020). Right/Wrong: How Technology Transforms Our Ethics. Massachusetts: MIT Press. 이경식 역(2022). 『무엇이 옳은가』. 서울: 세계사. 미소장
33 Floridi, L.(2010). Information: A Very Short Introduction. UK: Oxford University Press. 석기용 역(2022). 『정보철학입문』. 서울: 필로소픽. 미소장
34 Floridi, L.(2019). The Logic of Information. UK: Oxford University Press. 미소장
35 Frege, G.(1892/2019). Über Sinn und Bedeutung. Berlin: GmbH, Verlag. 김은정 외 역(2017). 『뜻과 지시체에 관하여』. 서울: 전기가오리. 미소장
36 Gergen, K. J.(2015). An Invitation to Social Construction(3rd Ed.). New York: Sage Publishers. 한유리 역(2020). 『사회구성주의로의 초대(제3판)』. 서울: 박영스토리. 미소장
37 Gabriel, M.(2015a). Fields of Sense: A New Realist Ontology. UK: Edinburgh University Press. 미소장
38 Gabriel, M.(2015b). Neutral Realism. The Monist 98. 181-196. 미소장
39 Gabriel, M.(2017a). Why the World Does Not Exist. Cambridge: Polity Press. 김희상 역 (2017). 『왜 세계는 존재하지 않는가』. 파주: 열린책들. 미소장
40 Gabriel, M.(2018a). The Meaning of Thought. Cambridge: Polity Press. 전대호 역(2021). 『생각이란 무엇인가: 인간의 생각감각에 대하여』. 파주: 열린책들. 미소장
41 Gabriel, M.(2018b). Le pouvoir de l’art. Paris: Saint-Simon. 김남시 역(2022). 『예술의 힘』. 서울: 이비. 미소장
42 Gabriel, M.(2020). 『世界史の針が卷き戾るとき「新しい實在論」は世界をどう見ているか』. 大野和基(編). 東京: PHP新書. 김윤경 역(2021). 『왜 세계사의 시간은 거꾸로 흐르는가』. 서울: 타인의사유. 미소장
43 Gabriel, M.(2021). 『つながり過ぎた世界の先に』. 大野和基(編). 東京:PHP新書. 이진아 역 (2022). 『지나치게 연결된 사회』. 서울: 베가북스. 미소장
44 Gabriel, M., 丸山俊一(2021). 『新時代に生きる道徳哲学』. 東京: PHP新書. 미소장
45 Gokce, A. T.(2018). Education in virtual age. Educational philosophy and Theory 50(14). 1420-1421. 미소장
46 Harman, G.(1965). Interference to the Best Explanation. The Philosophical Review 74(1). 88-95. 미소장
47 Harman, G.(2009). Prince of Networks: Bruno Latour and Metaphysics. Melbourne: Re.Press. 김효진 역(2019). 『네트워크의 군주: 브뤼노 라투르와 객체지향 철학』. 서울: 갈무리. 미소장
48 Harman, G.(2011). The Quadruple Object. Winchester: Zero Books. 주대중 역(2019). 『쿼드러플 오브젝트』. 서울: 현실문화. 미소장
49 Harman, G.(2018). Speculative Realism: An Introduction. Cambridge: Polity Press. 김효진 역 (2023). 『사변적 실재론 입문』. 서울: 갈무리. 미소장
50 Hill, J.(2017). Markus Gabriel Against the World. Sophia 56. 471-481 DOI 10.1007/s11841-015-0499-4 미소장
51 Hill, J.(2022). Does the World Exist?: Markus Gabriel and Absolute Generality. Philosophy Today 24. DOI: 10.5840/philtoday2022322446. 미소장
52 Kirschner, P. A., Sweller, J., Clark, R. E.(2006). Why Minimal Guidance During Instruction Does Not Work: An Analysis of the Failure of Constructivist, Discovery, Problem-Based, Experiential, and Inquiry-Based Teaching.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ist 41(2). https://doi.org/10.1207/s15326985ep4102_1. 미소장
53 Kirschner, P. A.(2009). Constructivist Instruction: Success or Failure? (Tobias, S and Duffy, T. M.) New York: Routledge. 방선욱 역(2014). 「인식론인가 교육학인가, 그것이 문제다」, 『구성주의 수업: 성공인가 아니면 실패인가?』. 서울: 박영스토리. 206-225. 미소장
54 Kleinherenbrink, A.(2018). Fields of Sense and Formal Things: The Ontologies of Tristan Garcia and Markus Gabriel. Open Philosophy 1(1). 129-142. 미소장
55 Kleinherenbrink, A.(2019). Against Continuity: Gilles Deleuze’s Speculative Realism. UK: Edinburgh University Press. 김효진 역(2022). 『질 들뢰즈의 사변적 실재론: 연속성에 반대한다』. 서울: 갈무리. 미소장
56 McIntyre, L. C.(2018). Post-truth. Massachusetts: MIT Press. 김재경 역(2019). 『포스트트루스』. 서울: 두리반. 미소장
57 Meillassoux, Q.(2010). After Finitude: An Essay on the Necessity of Contingency. New York: Bloomsbury USA Academic. 정지은 역(2010). 『유한성 이후: 우연성의 필연성에 관한 시론』. 서울: 도서출판b. 미소장
58 Mounk, Y.(2018). The People vs. Democracy: Why Our Freedom is in Danger & How to save it. Harvard University Press. 함규진 역(2018). 『위험한 민주주의: 새로운 위기, 무엇이 민주주의를 파괴하는가』. 서울: 와이즈베리. 미소장
59 O′Neil, C.(2016). Weapons of Math Destruction: How Big Data Increases Inequality and Threatens Democracy. New York: Penguin Books. 김정혜 역(2017). 『대량살상 수학무기: 어떻게 빅데이터는 불평등을 확산하고 민주주의를 위협하는가』. 서울: 흐름출판. 미소장
60 Peters, M.(2020). Posthumanism, platform ontologies and the ‘wounds of modern subjectivity’. Educational Philosophy and Theory 52(6). 579-585. 미소장
61 Pooja, C.(2018). Facts and Field(s) of Sense: Bertrand Russell and Markus Gabriel. Gauhati University Journal of Philosophy 3. 129-138. 미소장
62 Ramírez, M. T.(2021). Phenomenology of Perception and New Realism: Merleau-Ponty, Meillassoux and Markus Gabriel. Diánoia 66(86). 27-49. DOI: 10.22201/iifs.18704913e.2021.86.1778 미소장
63 Saussure, F. d.(1916/1969). Cours de Linguistique générale. Paris: Payot. 최승언 역(2006). 『일반언어학 강의』. 파주: 민음사. 미소장
64 Shaffer, C.(2019). Data Versus Democracy: How Big Data Algorithms Shape Opinions and Alter the Course of History. Berkeley: CA: Aperss. 김선 역(2020). 『데이터, 민주주의를 조작하다』. 서울: 힐데와소피. 미소장
65 Taylor, C., Dreyfus, H.(2015). Retrieving Realism. Mass: Harvard University Press. 미소장
66 https://www.alejandradeargos.com/index.php/en/all-articles/21-guests-with-art/41878-interview-with-damien-hirst 에서 2022.8.14. 발췌 미소장
67 https://www. politifact.com/personalities/donald-trump/statements/byruling/pants-fire.에서2022.12.14. 발췌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