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무용 전공 대학생의 몰입경험이 무용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 How affect immersion experience on the intention of continuing among college students who major in dance : the mediating effects of school supports / 학교지원의 매개효과 김규진 p. 1-19

성폭력 피해 생존자의 심리적 외상 회복을 위한 소매틱 표현예술치료 현상학적 연구 = A phenomenological study of somatic expressive arts therapy for the psychological trauma recovery of sexual violence survivors 김정향 p. 21-41

지젝을 통해 본 로이드 뉴슨의 예술세계 : Approach to Lloyd Newson's art world through Slavoj Žižek : focusing on Strange Fish / 「스트레인지 피쉬」를 중심으로 김현남 p. 43-60

국내 무용교육학 연구동향 분석 :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dance pedagogy in South Korea : focusing on The Korean Journal of Dance / 대한무용학회지를 중심으로 문영, 이성희, 천혜미, 양유진 p. 61-75

장소특정적 무용공연 논의 : A study of site specific dance performance : focused on 「Feel the Rhythm of Korea: Seoul」 / 「Feel the Rhythm of Korea」 서울편 중심으로 박성혜 p. 77-90

매체이론을 통한 아드리안 몬도(Adrien Mondot)의 「씨네마틱(Cinematique)」에 내재된 인터랙티브 퍼포먼스의 확장성 연구 = An analysis of Adrien Mondot's interactive performance 「Cinematique」 through Benjamin and McLuhan's media theory 송승희, 김나이 p. 91-114

무용학과 대학생의 진로장벽,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 : The relationships among university dance students' career-related barriers, decision levels, and preparation behaviors : a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grit / 그릿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이대원 p. 115-131

앙줄랭 프렐조카주(Angelin Preljocaj)의 『Blanche Neige』 작품에 내재된 콜라보레이션의 효과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collaboration in 「Blanche Neige」 works in the state of Angelin Preljocaj 이시연 p. 133-146

대학교 춤동아리 활동 경험과 초등체육 표현영역 교사역량 = College dance club activity experience and teacher competency in the domain of expression in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이정연 p. 147-160

메타버스를 활용한 무용교육 적용 가능성 탐색 = Exploring the applicability of dance education using metaverse 이주형, 문영 p. 161-176

댄스스포츠 지도자의 오센틱 리더십이 리더-구성원 교환관계(Lmx) 및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authentic leadership of dance sport leaders on Lmx and innovative behavior 탕탕, 민현주 p. 177-194

참고문헌 (61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곽한병(2013), 골프의 재미요인이 몰입경험과 지속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한국체육과학회지, 22(2), 99-113. 미소장
2 김규진(2021), 현대무용전공 대학생들의 학업생활과 진로설정을 위한 개선방안 탐색: FGI와 중요도 조사를 중심으로, 한국무용교육학회지, 32(3), 145-161. 미소장
3 김규진, 나윤빈(2021), 온라인 무용교육의 교육서비스품질이 사용자만족, 지속사용의도, 학업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19(1), 401-410. 미소장
4 김보람(2020), 그들은 과연 중도탈락자 인가?:무용전공 대학생들의 진로에 관한 이야기, 대한무용학회논문집, 78(4), 1-25. 미소장
5 김계주, 김덕진(2011), 고등학생이 지각한 체육 교수행동, 기본적 심리욕구만족 및 운동지속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체육교육학회지, 16(3), 77-92. 미소장
6 김기상, 민왕식, 김우진(2012), 스키, 스노우보드 참가자의 각성추구성향이 몰입경험과 참가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안전학회지, 8(2), 171-197. 미소장
7 김나리, 서재열(2019), 무용수업에 참여하는 대학생의 외모만족도, 외모관리행동이 무용몰입, 무용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19(5), 31-37. 미소장
8 김명주(2013), 여대생의 교양무용 몰입경험이 수업만족 및 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교육학회지, 18(3), 193-204. 미소장
9 김수진(2018), 관광관련 전공 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에 따라 진로신화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 학교지원의 조절효과,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호남대학교 대학원, 광주. 미소장
10 김성화(2022), 홈트레이닝 참여자의 기대, 운동몰입, 운동지속의도와의 관계,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27(1), 107-113. 미소장
11 김종우(2021), 뉴노멀 스포츠 산업 발전에 따른 비대면 스포츠 멘토링이 운동몰입 및 운동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60(6), 267-277. 미소장
12 김지영, 윤정옥(2019), 무형문화재 전통무용 교육을 위한 인지적도제 기반의 보편적 학습설계(UDL). 한국무용학회지, 19(2), 61-73. 미소장
13 김진미(2021), 도예활동 참여 동기가 지속적 여가활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몰입경험과 지각된 가치의 이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기초조형학연구, 22(5), 89-101. 미소장
14 김효진(2013), 생활무용 참여여성의 성취목표성향이 몰입경험 및 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경기. 미소장
15 김희진, 최은혜(2018), 대학 무용수들의 무용몰입이 무용지속 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학회지, 16(3), 657-665. 미소장
16 노경섭(2016), 제대로 알고 쓰는 논문 통계분석, 한빛아카데미. 미소장
17 문다예(2022), 실용무용전공자의 무용몰입경험이 무용능력성취 및 무용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광주. 미소장
18 문지영, 김학선, 2021), 외국인 유학생의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요인, 전공 몰입도와 학업지속의도 간의 영향 관계 연구,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3(1), 253-267. 미소장
19 박성제, 이제욱(2019), e스포츠 중계를 통한 프레즌스 경험이 즐거움, 몰입 및 지속사용의도에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0(75), 253-265. 미소장
20 박주연(2016), 무용전공 대학생의 객체화된 신체의식이 무용수행만족 및 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서울. 미소장
21 박혜정, 최명숙(2008), 우리나라 교육에서 e-러닝의 학습효과와 관련된 변인들의 관계분석, 교육공학연구, 24(1), 27-53. 미소장
22 서유정(2018), 대학생의 학교만족도, 사회적지지, 전공몰입도,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학업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서울. 미소장
23 손강숙, 조은선, 김선연, 정소미(2014), 학교 중도탈락의도를 가진 전문계 고등학생의 접근동기와 생활양식 및 정서와의 관계, 발달지원연구, 3(1), 51-70. 미소장
24 아주경제(2017), 경성대 교육학과 등 4개 학과, 전공 폐지 결정, 2017.03.30. https://www.ajunews.com/view/20170330175023015 미소장
25 오마이뉴스(2021), “벚꽃 피는 순서로 대학 소멸? 상황이 심각하다”, 2021.12.29. http://www. o h m y n e w s . c o m / N W S _ W e b / S e r i e s / s e r i e s _ p r e-mium_pg.aspx?CNTN_CD=A0002796512&CMPT_CD=P0010&utm_source=naver&utm_medium=news-earch&utm_campaign=naver_news 미소장
26 오수학, 송윤경, 김현정, 허미향, 조정환(2000), 운동지속수행 검사지의 구인타당화,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2(2), 39-52. 미소장
27 오인수, 손지향, 조유경(2018), 근거이론적 접근을 통한 대학생들의 ‘대2병’경험 분석 연구, 교육과학연구 49(2), 27-58. 미소장
28 오진숙(2010), 성인여성의 생활무용참가와 몰입경험 및 무용지속의도의 관계, 한국무용과학회지, 22, 1-16. 미소장
29 윤정옥, 차은주(2019), 무용전공대학생의 진로에 관한 APIM 검증: 부모지지와 무용 지속의도의관계, 한국무용학회지, 19(3), 41-50. 미소장
30 이건철(2018), 청소년 스포츠클럽 참여자의 몰입경험, 자아존중감, 운동지속의도 간의 관계,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9(10), 368-376. 미소장
31 이수현(2022), 예술고등학교 무용전공생의 성취목표성향과 운동지속의도 관계에서 운동몰입의매개효과,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서울. 미소장
32 이승택(2015), 스쿼시참가자의 몰입경험이 심리적웰빙과 지속적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서울. 미소장
33 이영미(2019), 전문대학생의 교수지지, 자기결정성 학습동기, 학습몰입, 학습지속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 상담심리교육복지, 6(4), 95-105. 미소장
34 이예찬(2021), MOOC에서 교수실재감이 학업적 자기효능감, 과제가치, 과제비용, 학습몰입을매개로 학습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 기대-가치이론을 중심으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서울. 미소장
35 이한녀(2014), 예술고등학교 내 사회적지원과 무용전공자의 부정적성향 무용지속의사와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지, 23(5), 1113-1124. 미소장
36 이혜영(2001), 학업중도탈락의 실태와 학교에서의 대처방안, 한국청소년복지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7-23. 미소장
37 이효비, 최소빈(2022), 무용전공자의 무용환경이 학습효과 및 무용지속의사와의 관계, 영남춤학회誌, 10(1), 165-185. 미소장
38 정민선, 김현미, 유순덕(2011), 잠재적 학업중단청소년의 학업지속 요인에 관한 질적분석, 청소년상담연구, 19(1), 87-105. 미소장
39 정수진(2015), 무용전공 대학생의 몰입경험이 자신감 및 무용활동지속의사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경기. 미소장
40 정용각(1997), 여가운동 참가자의 스포츠 참여동기, 각성추구, 정서의 요인이 스포츠 몰입행동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부산. 미소장
41 정진배, 박정훈, 한대호(2015), 여가스포츠 참여대학생들의 각성추구성향이 몰입경험 및 운동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4(3), 601-610. 미소장
42 조정환, 남은경(2000), 여자대학생 건강체력 평가 기준 및 인터넷 자료 개발, The 2000 Seoul International Sport Science Congress, 1115-1121. 미소장
43 조희진(2013), “무용전공학생들의 자아탄력성과 무용만족도 및 무용지속의도 간 구조관계 검증”,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44 조희진, 전현수, 권성호(2013), 무용전공학생의 자아탄력성과 무용만족도, 무용지속의도의 관계,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4(3), 39.51. 미소장
45 주영주, 임연욱, 손현수(2010),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과제가치의 학습몰입, 교과만족도, 학습지속의향 예측, 직업능력개발연구, 13(3), 101-122. 미소장
46 주영주, 최혜리, 이영희, 이유경(2010), 사이버학습환경에서 온라인 과제가치, 학교의 지원, 만족도, 학습지속의향 간의 구조적 관계,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4(3), 341-353. 미소장
47 주인숙(2017), 대학생이 인지한 학교지원,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학교만족과 학습지속의향간의 구조적 관계 규명 : 조리·외식계열 전공자를 대상으로,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상명대학교 대학원, 서울. 미소장
48 최성범, 김호순(2009), 해양레저스포츠 참가자의 재미, 몰입경험, 참가 후 지속행동의 관계,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3(2), 189-199. 미소장
49 한수지(2017), 대학무용전공자의 무용참여동기와 무용몰입 및 무용지속의도의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상명대학교 대학원, 서울. 미소장
50 한혜원(2010), 생활무용 참여의 재미가 몰입경험과 참여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과학회지, 22(0), 1-16. 미소장
51 황농문(2007), 몰입 인생을 바꾸는 자기 혁명, 서울: 랜덤하우스코리아. 미소장
52 황성우, 최석환(2014), 무용전공대학생에게 인지된 교수유형, 자기관리, 무용몰입 및 무용지속의도의 관계, 코칭능력개발지, 16(1), 17-25. 미소장
53 Baron, R. M., & Kenny, D. A(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 미소장
54 Corbin, C. B., & Lindsey, R(1994), Concepts of Physical Fitness, Dubuque, LA: Wm. C. Brown Communications. 미소장
55 Csikszentmihalyi, M.(1990), Flow : The psychology of optimal experience. New York : Harper and Row. 미소장
56 Holder, B(2007), An investigation of hope, academics, environment, and motivation as predictors of persis-tence in higher education online programs, Internet and Higher Education, 10, 245-260. 미소장
57 Kozak, M.(2001), Repeaters’ behavior at two distinct destinations, Annals of Tourism Research 28(3), 784-807. 미소장
58 Nakamura, J., & Csikszentmihalyi, M(2002), The concept of flow, In S, J. Lopez(Ed.),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89-105. 미소장
59 Nunnally, J. C., & Bernstein, I. H(1994), Psychometric theory, Columbia: McGraw-Hill. 미소장
60 Scanlan, T. K., & Simons, J. P(1992), The construct of Sports enjoyment, In G. C. Roberts(ED.), Motivation in sport and exercise, 199-215. 미소장
61 Ulrich, D.(1989), Tie the corporate knot: gainig complete customer commitment, Sloan Management Review 29, 19-27.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