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곽한병(2013), 골프의 재미요인이 몰입경험과 지속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한국체육과학회지, 22(2), 99-113. | 미소장 |
2 | 김규진(2021), 현대무용전공 대학생들의 학업생활과 진로설정을 위한 개선방안 탐색: FGI와 중요도 조사를 중심으로, 한국무용교육학회지, 32(3), 145-161. | 미소장 |
3 | 김규진, 나윤빈(2021), 온라인 무용교육의 교육서비스품질이 사용자만족, 지속사용의도, 학업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19(1), 401-410. | 미소장 |
4 | 김보람(2020), 그들은 과연 중도탈락자 인가?:무용전공 대학생들의 진로에 관한 이야기, 대한무용학회논문집, 78(4), 1-25. | 미소장 |
5 | 김계주, 김덕진(2011), 고등학생이 지각한 체육 교수행동, 기본적 심리욕구만족 및 운동지속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체육교육학회지, 16(3), 77-92. | 미소장 |
6 | 김기상, 민왕식, 김우진(2012), 스키, 스노우보드 참가자의 각성추구성향이 몰입경험과 참가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안전학회지, 8(2), 171-197. | 미소장 |
7 | 김나리, 서재열(2019), 무용수업에 참여하는 대학생의 외모만족도, 외모관리행동이 무용몰입, 무용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19(5), 31-37. | 미소장 |
8 | 김명주(2013), 여대생의 교양무용 몰입경험이 수업만족 및 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교육학회지, 18(3), 193-204. | 미소장 |
9 | 김수진(2018), 관광관련 전공 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에 따라 진로신화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 학교지원의 조절효과,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호남대학교 대학원, 광주. | 미소장 |
10 | 김성화(2022), 홈트레이닝 참여자의 기대, 운동몰입, 운동지속의도와의 관계,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27(1), 107-113. | 미소장 |
11 | 김종우(2021), 뉴노멀 스포츠 산업 발전에 따른 비대면 스포츠 멘토링이 운동몰입 및 운동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60(6), 267-277. | 미소장 |
12 | 김지영, 윤정옥(2019), 무형문화재 전통무용 교육을 위한 인지적도제 기반의 보편적 학습설계(UDL). 한국무용학회지, 19(2), 61-73. | 미소장 |
13 | 김진미(2021), 도예활동 참여 동기가 지속적 여가활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몰입경험과 지각된 가치의 이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기초조형학연구, 22(5), 89-101. | 미소장 |
14 | 김효진(2013), 생활무용 참여여성의 성취목표성향이 몰입경험 및 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경기. | 미소장 |
15 | 김희진, 최은혜(2018), 대학 무용수들의 무용몰입이 무용지속 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학회지, 16(3), 657-665. | 미소장 |
16 | 노경섭(2016), 제대로 알고 쓰는 논문 통계분석, 한빛아카데미. | 미소장 |
17 | 문다예(2022), 실용무용전공자의 무용몰입경험이 무용능력성취 및 무용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광주. | 미소장 |
18 | 문지영, 김학선, 2021), 외국인 유학생의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요인, 전공 몰입도와 학업지속의도 간의 영향 관계 연구,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3(1), 253-267. | 미소장 |
19 | 박성제, 이제욱(2019), e스포츠 중계를 통한 프레즌스 경험이 즐거움, 몰입 및 지속사용의도에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0(75), 253-265. | 미소장 |
20 | 박주연(2016), 무용전공 대학생의 객체화된 신체의식이 무용수행만족 및 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서울. | 미소장 |
21 | 박혜정, 최명숙(2008), 우리나라 교육에서 e-러닝의 학습효과와 관련된 변인들의 관계분석, 교육공학연구, 24(1), 27-53. | 미소장 |
22 | 서유정(2018), 대학생의 학교만족도, 사회적지지, 전공몰입도,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학업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서울. | 미소장 |
23 | 손강숙, 조은선, 김선연, 정소미(2014), 학교 중도탈락의도를 가진 전문계 고등학생의 접근동기와 생활양식 및 정서와의 관계, 발달지원연구, 3(1), 51-70. | 미소장 |
24 | 아주경제(2017), 경성대 교육학과 등 4개 학과, 전공 폐지 결정, 2017.03.30. https://www.ajunews.com/view/20170330175023015 | 미소장 |
25 | 오마이뉴스(2021), “벚꽃 피는 순서로 대학 소멸? 상황이 심각하다”, 2021.12.29. http://www. o h m y n e w s . c o m / N W S _ W e b / S e r i e s / s e r i e s _ p r e-mium_pg.aspx?CNTN_CD=A0002796512&CMPT_CD=P0010&utm_source=naver&utm_medium=news-earch&utm_campaign=naver_news | 미소장 |
26 | 오수학, 송윤경, 김현정, 허미향, 조정환(2000), 운동지속수행 검사지의 구인타당화,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2(2), 39-52. | 미소장 |
27 | 오인수, 손지향, 조유경(2018), 근거이론적 접근을 통한 대학생들의 ‘대2병’경험 분석 연구, 교육과학연구 49(2), 27-58. | 미소장 |
28 | 오진숙(2010), 성인여성의 생활무용참가와 몰입경험 및 무용지속의도의 관계, 한국무용과학회지, 22, 1-16. | 미소장 |
29 | 윤정옥, 차은주(2019), 무용전공대학생의 진로에 관한 APIM 검증: 부모지지와 무용 지속의도의관계, 한국무용학회지, 19(3), 41-50. | 미소장 |
30 | 이건철(2018), 청소년 스포츠클럽 참여자의 몰입경험, 자아존중감, 운동지속의도 간의 관계,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9(10), 368-376. | 미소장 |
31 | 이수현(2022), 예술고등학교 무용전공생의 성취목표성향과 운동지속의도 관계에서 운동몰입의매개효과,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서울. | 미소장 |
32 | 이승택(2015), 스쿼시참가자의 몰입경험이 심리적웰빙과 지속적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서울. | 미소장 |
33 | 이영미(2019), 전문대학생의 교수지지, 자기결정성 학습동기, 학습몰입, 학습지속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 상담심리교육복지, 6(4), 95-105. | 미소장 |
34 | 이예찬(2021), MOOC에서 교수실재감이 학업적 자기효능감, 과제가치, 과제비용, 학습몰입을매개로 학습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 기대-가치이론을 중심으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서울. | 미소장 |
35 | 이한녀(2014), 예술고등학교 내 사회적지원과 무용전공자의 부정적성향 무용지속의사와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지, 23(5), 1113-1124. | 미소장 |
36 | 이혜영(2001), 학업중도탈락의 실태와 학교에서의 대처방안, 한국청소년복지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7-23. | 미소장 |
37 | 이효비, 최소빈(2022), 무용전공자의 무용환경이 학습효과 및 무용지속의사와의 관계, 영남춤학회誌, 10(1), 165-185. | 미소장 |
38 | 정민선, 김현미, 유순덕(2011), 잠재적 학업중단청소년의 학업지속 요인에 관한 질적분석, 청소년상담연구, 19(1), 87-105. | 미소장 |
39 | 정수진(2015), 무용전공 대학생의 몰입경험이 자신감 및 무용활동지속의사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경기. | 미소장 |
40 | 정용각(1997), 여가운동 참가자의 스포츠 참여동기, 각성추구, 정서의 요인이 스포츠 몰입행동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부산. | 미소장 |
41 | 정진배, 박정훈, 한대호(2015), 여가스포츠 참여대학생들의 각성추구성향이 몰입경험 및 운동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4(3), 601-610. | 미소장 |
42 | 조정환, 남은경(2000), 여자대학생 건강체력 평가 기준 및 인터넷 자료 개발, The 2000 Seoul International Sport Science Congress, 1115-1121. | 미소장 |
43 | 조희진(2013), “무용전공학생들의 자아탄력성과 무용만족도 및 무용지속의도 간 구조관계 검증”,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 미소장 |
44 | 조희진, 전현수, 권성호(2013), 무용전공학생의 자아탄력성과 무용만족도, 무용지속의도의 관계,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4(3), 39.51. | 미소장 |
45 | 주영주, 임연욱, 손현수(2010),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과제가치의 학습몰입, 교과만족도, 학습지속의향 예측, 직업능력개발연구, 13(3), 101-122. | 미소장 |
46 | 주영주, 최혜리, 이영희, 이유경(2010), 사이버학습환경에서 온라인 과제가치, 학교의 지원, 만족도, 학습지속의향 간의 구조적 관계,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4(3), 341-353. | 미소장 |
47 | 주인숙(2017), 대학생이 인지한 학교지원,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학교만족과 학습지속의향간의 구조적 관계 규명 : 조리·외식계열 전공자를 대상으로,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상명대학교 대학원, 서울. | 미소장 |
48 | 최성범, 김호순(2009), 해양레저스포츠 참가자의 재미, 몰입경험, 참가 후 지속행동의 관계,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3(2), 189-199. | 미소장 |
49 | 한수지(2017), 대학무용전공자의 무용참여동기와 무용몰입 및 무용지속의도의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상명대학교 대학원, 서울. | 미소장 |
50 | 한혜원(2010), 생활무용 참여의 재미가 몰입경험과 참여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과학회지, 22(0), 1-16. | 미소장 |
51 | 황농문(2007), 몰입 인생을 바꾸는 자기 혁명, 서울: 랜덤하우스코리아. | 미소장 |
52 | 황성우, 최석환(2014), 무용전공대학생에게 인지된 교수유형, 자기관리, 무용몰입 및 무용지속의도의 관계, 코칭능력개발지, 16(1), 17-25. | 미소장 |
53 | Baron, R. M., & Kenny, D. A(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 | 미소장 |
54 | Corbin, C. B., & Lindsey, R(1994), Concepts of Physical Fitness, Dubuque, LA: Wm. C. Brown Communications. | 미소장 |
55 | Csikszentmihalyi, M.(1990), Flow : The psychology of optimal experience. New York : Harper and Row. | 미소장 |
56 | Holder, B(2007), An investigation of hope, academics, environment, and motivation as predictors of persis-tence in higher education online programs, Internet and Higher Education, 10, 245-260. | 미소장 |
57 | Kozak, M.(2001), Repeaters’ behavior at two distinct destinations, Annals of Tourism Research 28(3), 784-807. | 미소장 |
58 | Nakamura, J., & Csikszentmihalyi, M(2002), The concept of flow, In S, J. Lopez(Ed.),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89-105. | 미소장 |
59 | Nunnally, J. C., & Bernstein, I. H(1994), Psychometric theory, Columbia: McGraw-Hill. | 미소장 |
60 | Scanlan, T. K., & Simons, J. P(1992), The construct of Sports enjoyment, In G. C. Roberts(ED.), Motivation in sport and exercise, 199-215. | 미소장 |
61 | Ulrich, D.(1989), Tie the corporate knot: gainig complete customer commitment, Sloan Management Review 29, 19-27.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3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