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아담, 레오나르도. 『원시미술』. 김인환 역. 서울: 동문선, 2001. [Adam, Leonhard. Primitive Art. Trans. In-whan Kim. Seoul: Dongmunseon, 2001. Print.] |
미소장 |
2 |
정병호·서대석. 『통영오귀새남굿』. 서울: 영화당, 1989. [Chung, Byeong-ho. Tongyeong Ohgwisaenamgut. Seoul: Youlhwadang, 1989. Print.] |
미소장 |
3 |
프레이저, 제임스 조지. 『황금 가지』. 이용대 역. 서울: 한겨례출판, 2003. [Frazer, James George. The Golden Bough. Trans. Yong-dae Lee. Seoul: Hanibook, 2003. Print.] |
미소장 |
4 |
하우저, 아놀드.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 서울: 창비, 2016. [Hauser, Arnorld. The Social History of Art. Seoul: Changbi Publishers, 2016. Print.] |
미소장 |
5 |
임석재. 「韓國巫俗硏究序說」. 『비교민속학』 7 (1991): 9-111. [Im, Seokjae. “An Introduction to Korean Shamanism.” Asian Comparative Folklore 7 (1991): 9-111. Print.] |
미소장 |
6 |
김지아. 「아브젝시옹에 점령당한 주체: 영화 <곡성>의 서사구조와 서사적 주체에 관하여」. 『이화어문논집』 51 (2020): 478-502.[Kim, Gia. “The Subject Beset by Abjection: Focusing on the Narrative Structureand Narrative Subject in the Slasher Film “The Wailing”.” The Journal ofEwha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51 (2020): 478-502. Print.] |
미소장 |
7 |
김진. 『종교란 무엇인가』. 울산: UUP, 2008. [Kim, Jin. What is religion? Ulsan: UUP, 2008. Print.] |
미소장 |
8 |
김정민. 『샤먼 바이블』. 서울: 글로벌콘텐츠, 2023. [Kim, Jeong-min. Shaman Bible. Seoul: Global Contents, 2023. Print.] |
미소장 |
9 |
강준수. 「생태주의 관점에서 본 샤머니즘」. 『문학과 종교』 23.1 (2018): 1-8. [Kang, Junsoo a. “Shamanism from Ecological Viewpoint.” Literature and Religion 23.1 (2018): 1-8. Print.] |
미소장 |
10 |
Kang, Junsoo. “A Study on the Influence of Shamanism on the Thai Film Rang Zong.” The Journal of East-West Comparative Literature 59 (2022): 137-63. Print. |
미소장 |
11 |
김민규. 「영화 <곡성>의 좀비영화코드 연구」. 『영상기술연구』 27 (2017): 151-71. [Kim, Minkyu. “Research of Zombie Movie Code Analysis for ‘The Wailing.’” Journal of the Moving Image Technology Association of Korea 27 (2017): 151-71. Print.] |
미소장 |
12 |
김융희. 『예술, 세계와의 주술적 소통』. 서울: 책 세상, 2000. [Kim, Yoong-hee. Art, magical communication with the world. Seoul: Chaeksesang, 2000. Print.] |
미소장 |
13 |
임지은·강재완. 「공포영화 촬영지의 정서적 이미지가 관광의도에 미치는 영향: 영화 ‘곡성’과 전라남도 곡성군 사례를 중심으로」. 『관광학연구』 42.8 (2018): 29-43. [Lim, Jeeeun·Kang, Jaewan. “The Effects of Horror Filming Location’s Emotional Image on Travel Intention: A Case of the Movie “Gokseong” and the Location Gokseong(Jeollanam-do).” Journal of tourism sciences 42.8 (2018): 29-43. Print.] |
미소장 |
14 |
노부스, 대니. 『라캉 정신분석의 핵심 개념들』. 문심정연 역. 서울: 문학과지성사, 2013. [Nobus, Dany. Key concepts of Lacan psychoanalysis. Trans. Jeongyeon Moonshim. Seoul: Moonji, 2013. Print.] |
미소장 |
15 |
오강남. 『종교란 무엇인가』. 파주: 김영사, 2012. [Oh, Gang-nam. What is religion? Paju: Gimmyoungsa, 2012. Print.] |
미소장 |
16 |
박인환. 『문화와 미술』. 서울: 미진사, 2013. [Park, In-whan. Culture and Art. Seoul: Mijinsa, 2013. Print.] |
미소장 |
17 |
박상현. 「영화 <곡성>에 나타난 원형적 여성성」.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76 (2021): 39-50. [Park, Sanghyun. “The Feminity Archetype on the Film .” CDAK of Society of Communication Design 76 (2012): 39-50. Print.] |
미소장 |
18 |
웬틴크, 찰스. 『원시미술과 현대미술』. 김준형 역. 서울: 문화출판 문화, 1995. [Wentinck, Charles. Moderne und primitive Kunst. Trans. Jun-hyeong Kim. Seoul: Moonwha Publishers, 1995. Print.] |
미소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