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의사소통역량 강화 수업에 참여한 대학생들의 공적말하기 (public speech)에 대한 인식과 경험 = Recognitions and experiences of public speech in university students attending the communication capacity strengthening class : a case study of Konkuk University Glocal Campus : 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의 사례를 중심으로 조영주 p. 1-14
토론문의 질문 유형 및 표현 분석 = Analysis of question types and expressions in discussion scripts : focused on the discussion scripts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onference : 한국어 교육 학술대회 토론문을 대상으로 장민정, 홍윤혜 p. 15-25
학술적 글쓰기의 효율적 교육 방안 연구 = A study on effective teaching methods of academic writing :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ep-by-step writing correction and competency development : 단계적 첨삭 지도와 역량 함양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김화경 p. 27-39
온라인 수업 준비와 수업 만족도 관계에서 온라인 수업 방법의 매개 효과와 수업 부담의 조절 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the online class method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class burde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nline class readines and class satisfactions 송영선, 염지숙 p. 145-156
비원어민 한국어 예비교사 대상 '한국어교과교재연구및지도법' 수업에서의 학습자 경험 분석 연구 = A study on the analysis of learners' experience in the TMMKFL class for non-native Korean pre-service teachers 신은경 p. 41-53
지역 기반 대학의 교양 교과 공유 추진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n the promotion of sharing liberal arts curriculum in regional-based universities 이연주, 유지성 p. 157-169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주체성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gency and adaptation to college among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acculturative stress and korean language proficiency / 문화적응스트레스의 매개효과와 한국어 능력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류루루, 김정섭, 김은지, 기희경, 김문정 p. 55-71

온라인 공유 문서를 활용한 다순환 피드백 연구 = A study on effectiveness of multi-cyclical interaction feedback using Google docs 남은혜, 안서현 p. 73-86
신석기시대 교육을 위한 콘텐츠 개발 및 활용 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contents for Neolithic education 김상훈, 안형기 p. 171-185
디지털서사 수용자의 장르 인식에 대한 질적 연구 = A qualitative study on the genre recognition of digital narrative audience : focused on HN2 hypernarrative : HN2 하이퍼서사를 중심으로 장노현 p. 87-99
메타버스를 활용한 자율적 협동학습 모형 기반 음악과 프로그램 개발 = Development of music program based on co-op co-op model using metaverse : focusing o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 2022 개정 교육과정 중심으로 박현진, 이수연 p. 101-117
영어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사례를 통한 글로벌 역량 효과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 of global competency through English extra-curriculum programme 박선영 p. 187-197
전통문화와 인공지능의 융합 = Convergence of traditional culture and artificial intelligence : AI-based translation of old books written in Chinese : 인공지능 기반 한문 고서 번역 육수화, 권경열 p. 119-128
성인 영어학습자의 성격유형에 따른 영어 글쓰기전략 사용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use of English writing strategies by personality types of adult English learners 이영림, 임희주 p. 199-207
대학의 인공지능․소프트웨어 교양교육 교과목 개발 연구 =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software education programs for liberal arts college : focusing on learners' needs analysis : 학습자 요구 분석을 중심으로 박소현, 김시정, 박현준 p. 129-143
동학과 아동교육 = Aspects of Donghak and childhood education : 방정환의 아동교육관을 중심으로 신정숙 p. 209-222
조선시대 무인(武人) 시조의 문화 교육적 고찰 = A study on the cultural education of warrior(武人)'s Sijo(時調) in the Joseon Dynasty period(朝鮮時代) 조성윤 p. 223-233
대중의 예술지원사업 공정성에 대한 인식 분석 = A study on public perception of fairness in arts support project : focused on the case of Arts Council Korea Grants for Art Project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예술과기술융합지원사업을 중심으로 박영준, 김선영 p. 275-290
종묘제례악의 축제적 놀이로서의 변용양상 = A study on the change tendency of Jongmyo-Jeryeak as a festival play 김지혜 p. 235-243
K-POP 정향과 BTS 동일시가 K-POP 만족도와 한국 국가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K-POP orientation and BTS identification on K-POP satisfaction and Korea's country brand attitude 윤영삼, 전종우 p. 291-303
조성희 영화의 공간 연구 = A study on the space of Jo Sung-hee's film :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post-apocalypse : 포스트 아포칼립스적 특징을 중심으로 이청 p. 245-261
예술가들의 직업정체성과 예술노동에 대한 인식에서 세대론 탐구 : Exploring generational theory in artists' perception of occupational identity and art labor : for the second generation around the age of 40 / 40세 전후 2세대 대상으로 백미현 p. 305-324

애니메이션 <벼랑 위의 포뇨>에 나타난 상징과 상상 = Symbol and imagination in the animation "Ponyo on the Cliff" : focusing on morphological symbol as affect and group theory : 정동(情動)으로서의 형태적 상징과 군(群) 이론을 중심으로 김영선, 김태수 p. 263-274
크리스토퍼 스몰(Christopher Small)의 "뮤지킹(Musicking)"과 음악교육의 방향성 = "Musicking" by Christopher Small and the direction of music education 김지혜 p. 325-336
Q-방법론을 활용한 마라톤대회 참가자의 축제적 의미 탐색 = An exploratory study on the festive meaning of marathon event participants 유영설 p. 435-447
지역문화콘텐츠의 공간 요소와 스토리텔링 서사 분석 = Spatial narratives and storytelling characteristics of local cultural contents : 강릉 사례를 중심으로 김자영, 권병웅, 김수용 p. 337-351
개방성, 마인드셋, 주도성이 프로티언 경력 태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openness, mindset, and proactive personality on protean career attitudes 조지연 p. 449-468
관광지 지역주민이 인식하는 제노포비아(Xenophobia)에 대한 사회연결망 분석 : Social network analysis on xenophobia recognized by local residents in tourist destinations : focusing on comparative analysis of overtourism situation and COVID-19 situation / 오버투어리즘 상황과 코비드19 상황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한진석, 임춘연 p. 353-364

도시포용성 증진을 위한 문화 거버넌스 연구 : A study on the cultural governance for enhancing urban inclusiveness : focused on the cultural city project / 문화도시 사업을 중심으로 최정은 p. 365-383

마약류 사범 재범방지를 위한 방안 연구 = A study on measures to prevent recidivism of drug offenders : 미국과 일본 사례를 중심으로 김지웅, 김상운 p. 469-479
상담학을 전공한 만학도의 박사과정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doctoral course experience of adult learners majoring in counseling 이선화, 이기순 p. 385-401
알코올 중독 회복경험에 대한 질적 메타요약 = Qualitative meta-sumary of alcholism recovery experiences 김민석 p. 495-510
경력단절여성에게 필요한 성인역량에 관한 요구분석 = A study on needs analysis of the adult competencies required for career interrupted women in Korea 김정원, 조대연, 박지원, 장은하 p. 403-416

사회적 정체성 문헌 고찰 = A literature review of social identities : focusing on the multicultural counseling approach : 다문화 상담 이론적 접근을 중심으로 곽윤정, 최나연 p. 417-433
학습자 언어 분석을 통한 한국어 보조용언 연구 = A study on Korean auxiliary verbs through learner language analysis : focusing on the analysis of the preceding verb '-Eojida' : ‘-어지다’의 선행 용언 분석을 중심으로 윤종원 p. 511-522
'우수교양강의인증제' 운영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n the operation of 'excellent liberal arts lecture certification system' 이동욱, 전종희 p. 587-598
좋음의 이데아로 헉슬리 '멋진 신세계' 다시읽기 = Re-reading Huxley's 'Brave New World' with idea of the good : the meaning of education in post-human era : 포스트휴먼 시대 교육의 의의 왕춘뢰 p. 599-610
국내 3D 프린팅 기술 응용분야 확산에 관한 연구 = The diffusion of 3D printing technology in Korean industry : implications for outdoor advertising and sculpture art industry : 조형문화예술, 광고 산업 분야를 중심으로 현은정 p. 523-540
Z세대의 디지털사회학적 시각에 대한 사례연구 = A case study on digital sociology on gen Z : focusing on qualitative research in higher education : 고등교육과정에서의 질적연구를 중심으로 노선희 p. 541-556
온라인 먹방콘텐츠에서 카메라 연출의 시각적 선호요인 분석 = Analysis on the visual preference factors of camera directing in online eating content : focused on teenagers and people in their 20s living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 수도권에 거주하는 10대, 20대를 중심으로 김대용, 유상완 p. 629-642
학습민첩성이 군사학전공 대학생의 이러닝 학습몰입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learning agility on E-learning flow in university student in the department of military studies 김승현, 최순원 p. 557-571
성덕대왕신종(聖德大王神鍾)의 음향학적 에뮬레이션 연구 = A study on the acoustical emulation of the "Sacred Bell of Great King Seongdeok" 정병규, 장민호 p. 643-653
문화예술교육으로서 국악교육의 의미와 발전 방향 = The meaning and development plan of Gugak education as culture and arts education 강선하 p. 655-664
2022년 국내 기관의 이러닝 운영 현황 및 발전 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development measures for E-learning operations in Korean institutions in 2022 윤혜림 p. 573-586
마스크 스타일 관심도에 따른 구매 선호요인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purchase preference factors on satisfaction according to mask style interest 김진일, 권기한 p. 665-678
미래인재양성을 위한 한국의 청년 니트 정책방향 탐색 = Exploring the direction of Korea's youth NEET policy for the future talent development 김은비, 김진원 p. 725-734
한국 병역제도 연구 변화 분석 = A study of the research trend on the military service system in Korea : focusing on domestic journals in the last 10 years : 최근 10년간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유병덕, 전기석 p. 679-692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이용자관계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the relationship with users on turnover intention among PAS assistants for the disabled : 고용불안, 급여만족, 직무긍지의 매개효과 김희자 p. 735-749
고령자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socio-economic status on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social activity participation and cognitive function : 사회적 활동참여와 인지기능의 순차적 매개효과 이주연 p. 693-705
기후변화 시대 관계의 미학 = Relational aesthetics in the age of climate change : the third Jeju Biennale(2022) and the representation of object-oriented ontology : 제3회 제주비엔날레(2022)에 표상된 객체 지향성 장선희 p. 751-764

전남 도서지역의 팔경에 나타난 시각과 청각의 경관자원의 분포와 특성 = Distributions and characteristics of visual and auditory resources appeared in the eight great views of island area in Jeollanam-do 한명호 p. 707-723

동료관계와 일자리 만족 = Peer relationships and job satisfaction : longitudinal study using latent growth model : 잠재성장모형을 이용한 종단연구 김혜영, 강성배, 박소연 p. 867-874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일상생활 스트레스, 심리적 건강에 대한 종단연구 = A longitudinal study on cultural adaptation stress, daily life stress, and psychological health of mother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이창현, 최나연 p. 765-778
거미줄의 의미 = The meaning of the spiderweb, with special reference to N'Guessan's Contes Agni De l'Indénié : 은게상(N'Guessan)의 코트디부아르 아니족 구전 콩트 모음집을 중심으로 유재명 p. 875-885
2022 개정 교육과정, 직업계고 학점제 운영을 위한 미용과 융합교육 교수학습 방안 연구 = A study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convergence education in beauty major to manage the 2022 revised curriculum and vocational high school credit system 이상원, 권기한 p. 779-793
아우구스토 보알의 연극적 실천과 독서교육 = Augusto Boal's theatre practice and reading education : focused on the 'questioning' reading method : '질문하기' 독서법을 중심으로 이미은, 김겸섭 p. 887-902
동북아 상고시기 신단(神壇)의 존재유형과 문화적 함의 = Types of existence and cultural implications of the spiritual altar in the ancient period of Northeast Asia 박선식 p. 903-917
여자대학생의 우울과 학업소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academic burnout in female college students 강윤심, 최보영 p. 795-806
김종기 거문고 산조 선율 고찰 = Study on Kim Jong-Gi Geomungo Sanjo melody : focused on Danmori : 단머리를 중심으로 윤유니 p. 919-935
TOE 프레임워크를 통한 온라인 연극 공연의 가능성 탐구 =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online theater performance through the TOE framework 전종우, 김동일, 이대현 p. 937-948
객관적/주관적 경제수준이 친구관계만족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the economic level on the satisfaction of friendship among older adults : focusing on gender comparison of couple : 노인부부가구의 성별비교를 중심으로 류주연, 김수진 p. 807-820
ESG 관련 연구 동향 분석 및 정보공유 가치 연계방안 탐색 = Analysis of ESG-related research trends and exploration of ways to link information sharing values 김유경, 김한집 p. 821-836
시각장애인의 영상제작프로그램 참여 경험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participation of visual impaired people in video production program 김혜경, 어윤경, 김지원 p. 837-854
그림책을 통한 심리치료 관련 연구동향 분석 = Analysis of research trends related to psychotherapy through picture book : focused on academic domestic journals published between 2013 and 2022 : 2013년~2022년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이현미, 이영림 p. 855-866
칼 필립 엠마누엘 바흐의 “구세주” 음악 스토리텔링에 관한 재조명에 대한 연구 = A research on Carl Philipp Emanuel Bach’s musical storytelling : shedding new light on “The Savior” 이선영 p. 611-628

현대의 미적 병리학 = Contemporary aesthetic pathology : fight, sublime, anger : 싸움, 숭고, 분노 : 웹툰 <싸움독학>을 중심으로 권유리야 p. 481-493

참고문헌 (16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가회광, 김진수(2014). 빅데이터 도입 의도에 미치는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전략적 가치 인식과TOE(Technology Organizational Environment)Framework을 중심으로,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24(4), 443-472. 미소장
2 권순정, 손재영(2021). 가치기반수용모델을 활용한 언택트 공연 관람의도 영향요인 연구: COVID-19 팬데믹 시기 온라인 스트리밍 공연을 중심으로, 지역과 문화, 8(2), 49-68. 미소장
3 김봉건 (2021). 포스트코로나 시대 공연예술 활성화방안 연구. 문화와 융합, 43(3), 115-130. 미소장
4 박준수, 이대현, 이동환, 전종우(2019). 공연예술 분야의 4차 산업혁명 기술 활용 방안: <미여지뱅뒤>, <맨 메이드> 사례분석과 전문가 인터뷰를중심으로, 사회과학논집, 50(2), 63-186. 미소장
5 박현주, 전종우(2023). 메타버스 공연 이용에 영향을미치는 요인: 자기표현, 캐릭터 인게이지먼트, 메타버스 유희성을 중심으로, 방송학보, 37(1), 미소장
6 서은미 (2021). 온라인 태권도 시범 공연의 플로우(Flow) 경험이 관여도 및 재관람의도에 미치는영향: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문화기술의 융합, 7(3), 415-424. 미소장
7 이규정(2016). 공간 증강현실 기반의 융합형 퍼포먼스에 관한 연구-공연예술에 사용된 이미지 영상을중심으로-, 방송공학회논문지, 21(5), 672-688. 미소장
8 이소희, 류승완(2021). 온라인 연극 공연 관객태도와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정보화연구(구 정보기술아키텍처연구), 18(4), 353-364. 미소장
9 이수영(2021). 코로나19로 본 공연 예술계 충격과 그대응 방안, 디지털융복합연구, 19(3), 453-463. 미소장
10 이창은, 이종윤, 전종우(2021). 공연 콘텐츠 영상화사업의 시장성과 소비자 효과. 정치커뮤니케이션연구, 63, 57-100. 미소장
11 전종우(2021). 코로나19 정보 이용과 소비자 특성이비대면 온라인 공연 인식에 미치는 영향, 방송문화연구, 33(1), 193-214. 미소장
12 조양희(2016), 디지털 매체 시대의 무용 작품 분석을통한 안무 방법 확장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13 황예지(2021). 포스트 코로나 시대 온라인 공연 예술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 연구, 상명대학교 문화기술대학원 공연예술경영학과 석사논문. 미소장
14 Oliveira, T. & Martins, M. F. (2010). Firms patterns of e-business adoption: evidence for the European Union-27. Electron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Evaluation, 13(1), 47 미소장
15 Tornatzky, L., & Fleischer, M. (1990). The process of technology innovation. Lexington, MA:Lexington Books, 165. 미소장
16 Zhu, K., Kraemer, K. L., & Xu, S. (2006). The process of innovation assimilation by firms in different countries: a technology diffusion perspective on e-business. Management science, 52(10), 1557-1576.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