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경성일보』 |
미소장 |
2 |
『남도일보』 |
미소장 |
3 |
『내일신문』 |
미소장 |
4 |
『동아일보』 |
미소장 |
5 |
『매일신보』 |
미소장 |
6 |
『부산일보』 |
미소장 |
7 |
『신한민보』 |
미소장 |
8 |
『전남일보』 |
미소장 |
9 |
『조선신문』 |
미소장 |
10 |
『조선일보』 |
미소장 |
11 |
『중외일보』, 국가기록원 → 독립운동 관련 판결문(https://theme.archives.go.kr// next/indy/viewMain.do) : |
미소장 |
12 |
「소화3년 豫제11호 예심종결서」, 광주지방법원, 1928.7.21. |
미소장 |
13 |
「장재성 등 38명 판결문」, 광주지방법원, 1930.7.26. |
미소장 |
14 |
「소화5년 刑公合 제45호(장매성 등) 판결문」, 1930.10.6. |
미소장 |
15 |
「소화5년 刑公 제880-881호 판결문」, 대구복심법원, 1931.6.13. |
미소장 |
16 |
공훈전자사료관(e-gonghun.mpva.go.kr) |
미소장 |
17 |
『사상월보』 |
미소장 |
18 |
『조선총독부관보』 |
미소장 |
19 |
『조선총독부통계연보』 |
미소장 |
20 |
『조선총독부및소속관서직원록』 |
미소장 |
21 |
강재언 편, 1979, 『조선총독부경무국 극비문서, 광주항일학생사건자료』, 풍매사. |
미소장 |
22 |
광주학생독립운동기념역사관, 2009, 『타오르는 횃불 : 광주학생독립운동 참여자의 증언』, 광주학생독립운동기념역사관. |
미소장 |
23 |
광주학생독립운동동지회, 1974, 『광주학생독립운동사』, 국제문화사. |
미소장 |
24 |
국사편찬위원회, 2002, 『한민족독립운동사자료집』50(동맹휴교사건 재판기록 2). |
미소장 |
25 |
김성민, 2013, 『1929년 광주학생운동』, 역사공간. |
미소장 |
26 |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8, 『독립운동사』9(학생독립운동사), 독립유공자사업기금운용위원회. |
미소장 |
27 |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7, 『독립운동사자료집』13(학생독립운동사자료집), 독립유공자사업기금운용위원회. |
미소장 |
28 |
독립유공자공훈록편찬위원회, 2020, 『독립유공자공훈록』25, 국가보훈처. (https://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2) |
미소장 |
29 |
송상도 지음, 강원도 등 옮김, 2014, 『기려수필』3, 문진. |
미소장 |
30 |
양동주, 1956, 『항일학생사』, 청파출판사. |
미소장 |
31 |
윤선자․윤정란, 2015, 『나주독립운동사』, 전남대출판부. |
미소장 |
32 |
전남여자중고등학교 창립30년사 편찬위원회, 1957.5.25., 『창립 30년사』, 한국인쇄공예사. |
미소장 |
33 |
전남여자고등학교, 1977, 『개교 반세기』, 삼남교육신보사 출판국. |
미소장 |
34 |
정세현, 1975, 『항일학생민족운동사연구』, 일지사. |
미소장 |
35 |
한규무, 2009, 『광주학생운동』, 독립운동사연구소. |
미소장 |
36 |
김수현, 2021, 「일제강점기 음악통제와 애국창가 탄압사례 – 신문기사를 통해-」, 『한국음악사학보』66, 한국음악사학회. |
미소장 |
37 |
김정아, 2012,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 ‘가출옥관계서류’에 대한 검토」, 『한국독립운동사연구』41,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
미소장 |
38 |
장신, 2000, 「조선총독부의 광주학생운동 인식과 대응」, 『광주학생운동연구』, 아세아문화사. |
미소장 |
39 |
한규무, 2022, 「광주학생운동과 광주여자고등보통학교 독서회」, 『한국학논총』57,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
미소장 |
40 |
황의룡․임우택, 2010, 「일제강점기의 보통학교 운동회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과학회지』19-4, 한국체육과학회. |
미소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