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문학 작품 안에는 일상생활에 쓰이는 기본적인 어휘들보다는 작품의 내용과 작가의 문체를 드러낼 수 있는 문화적 어휘들이 많이 사용되기 때문에 번역하는데 어려움을 겪는다. 본 연구는 이문열 작가의 소설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의 한-영-힌 중역을 통해 문화소 어휘들의 번역 양상을 분석하고, 중역 번역에 있어 문화소 번역전략을 살펴보았다. 문화소 관련 어휘들을 고유명사, 특정문화 관련 어휘, 도량형, 비속어로 분류하였고, 이것을 6개의 번역전략 -상위어, TT표현으로 대체, 단순화, ST보존, ST보존+ 부연설명 추가, 생략-에 따라 영어, 힌디어 각각 TT1, TT2으로 번역된 양상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문화소 번역을 방안을 모색하였으며, 특히 한국어 소설을 영어로 중역을 거치면서 힌디어로 번역할 때 발생되는 문제점도 함께 분석함으로써 한국문학의 힌디어 번역에 있어 중역 전략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사회적 자본은 베트남 청년의 진로탐색활동에 영향을 미치는가? : Does social capital affect career exploration behavior of Vietnamese youth?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poverty / 빈곤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조상미, 간기현, 안지영, 김윤정 p. 1-27

해양 거버넌스와 한일 협력의 모색 : Searching for a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Japan through maritime governance : building a maritime cooperation network including ASEAN / 아세안을 포괄한 동아시아 해양 협력 네트워크 허원영 p. 29-44

코로나19와 무슬림 이주민의 종교적 실천의 디지털화 : Digitization of Muslim migrants' religious practices in the COVID-19 era : a case study on Indonesian Muslims in South Korea / 한국 거주 인도네시아 무슬림을 중심으로 신지원 p. 45-64

'Unsustainable' development practices in the history of Indonesia : 인도네시아의 '지속가능하지 않은' 발전 : 네덜란드 식민통치에서 신질서(New Order) 체제까지 기간에 대한 역사적 고찰 / from the Dutch colonial period through the Suharto regime Yekyoum Kim p. 65-78

대만에서 역사교육과 국가정체성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history education and national identity in Taiwan : focusing on the change of identity of the youth generation / 청년세대의 정체성 변화를 중심으로 임규섭 p. 79-99

일본의 디지털 아카이브 활용 현황과 시사점 =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digital archives and its implications in Japan 최승은 p. 101-115

인도국민회의 과격파의 민족주의 인식과 활동에 관한 고찰 : A study on the perception and activities of the extremists of the Indian National Congress : focusing on Aurobindo Ghosh 1893-1910 / 오로빈도 고쉬를 중심으로 1893-1910 신민하 p. 117-143

한-영-힌 중역에 나타난 문화소 번역 양상 분석 : Analysis of culture elements translation in second hand translation of Korean-English-Hindi : based on the "Our Twisted Hero" by Lee Mun-yeol / 이문열의 소설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을 중심으로 이지현 p. 145-164

한국 근대역사문화공간이 지역의 지가에 미치는 영향분석 : A study on the influence of modern history and cultural space on the land price of the region in Korea : the case of Mokpo old town / 목포 구도심 사례를 중심으로 강대영, 나주몽 p. 165-181

中國 河北省 終身學習者積極心理資本, 社會支持, 學習投入, 主觀幸福感的結構性關系 =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learning flow, social support, and subjective happiness in Chinese adult lifelong learners 朱春蕊, 徐在福 p. 183-195

留学生募集对韩国产品出口带来的影响 = The influence of international student recruitment on Korean product export 王浩阳, 牟廷烈 p. 197-212

原宇宙(Metaverse)在外语教学中的应用可行性研究 = A feasibility study on the application of metaverse in foreign language teaching 李吉莲 p. 213-225

참고문헌 (28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곽순례. 2017. “아랍어 번역에 나타난 문화 어휘에 관한 고찰-신경숙의 『엄마를 부탁해』를 중심으로-”, 『아랍어와 아랍문학』 21(3): 1-27. 미소장
2 김세정. 2003. “텍스트의 정보성-문학작품 속 어휘번역”, 『번역학연구』 4(2): 49-69. 미소장
3 김재희. 2018. “한국문학작품에 나타난 문화소 번역 방법-한영, 한아 번역을 중심으로”, 『글로벌 문화연구』 9(2): 27-48. 미소장
4 김도훈. 2006. “문화소의 부등성 보상을 위한 번역전력-부산 관광지 안내 표지판 및 책자를 중심으로”, 『번역학연구』 7(2): 31-51. 미소장
5 김현미. 2005. 『글로벌 시대의 문화번역』, 민음사 미소장
6 김효중. 2004. 『새로운 번역을 위한 패러다임』, 푸른사상 미소장
7 김효중. 2005. “문학작품 번역에서 문화 적용의 문제”, 『어문학』, 2005(3): 519-539. 미소장
8 금지아. 2015. “한중 번역에서의 문화소 번역 전략”, 『번역학연구』 16(3): 7-26. 미소장
9 남철진. 2013. “한국 신문에 나타난 문화소의 중국어 번역 고찰-단어 차원의 문화소를 중심으로”, 『통번역학연구』 17(3): 173-199. 미소장
10 노진서. 2007. “문화간 커뮤니케이션으로서의 속담 번역”, 『통역과 번역』 7(1): 19-49. 미소장
11 박지수. 2016. “한영 속담 번역에서의 은유 처리-관용적 등가로서의 번역을 중심으로”, 『통역과 번역』 18(특별호): 31-55. 미소장
12 박옥수. 2012. “한국 단편소설의 번역에서 드러난 가독성의 규범-신경숙의 ‘그 여자의 이미지’ 영역에 근거해서”, 『겨레어문학』, 165-190. 미소장
13 이근희. 2003. “문화와 밀접한 상관어의 번역 전략”, 『번역학연구』 4(2): 5-27. 미소장
14 이근희. 2005. “영한 번역에서의 효율적인 번역 교육을 위한 소고”, 『번역학연구』 6(1): 99-119. 미소장
15 이근희. 2008. “인지적 접근의 번역 모형”, 『번역학연구』 7(1): 131-154. 미소장
16 이문열. 1992.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 민음사. 미소장
17 이지현. 2019, “한국어-힌디어 번역 오류 분석: 한국어 소설 『엄마를 부탁해』의 힌디어 번역을 중심으로”, 『인문사회21』 : 1503-1513. 미소장
18 이형진. 2016. “한국문학 번역의 문화번역-한국문학의 문화번역 지점을 중심으로”, 『번역학연구』 17(3): 139-164. 미소장
19 오미형. 2011. “무녀도를 통해 본 무속문화 번역과 이미지”, 『통번역학연구』 15: 53-73. 미소장
20 정호정. 2008. “번역된 문화텍스트의 정보성 등가와 로마자 표기 방식의 문제점”, 『통역과 번역』 10(1): 161-188. 미소장
21 Aixela, J. Franco. 1997. 『Culture-Specific Items in Translation』. In R. Alvarez & M. Carmen-Africa Vidal (Eds.) Translation, power, subversion (pp. 52-78). Clevedon: Multilingual Maters. 미소장
22 Bassnett, Susan., & Lefevere André. 1990. 『Translation, history, and culture』, Burns & Oates. 미소장
23 Catford, J.C. 1965. 『A Linguistic Theory Of Translation』, Oxford Univ. Press. 미소장
24 Hall, E.T.1976. 『Beyond Culture』, Anchor Press-Doubleday. 미소장
25 Yī mun yol. 2015. (tr. Divik Ramesh). 『Khalanāyak』, Rajkamal Prakashan. 미소장
26 Newmark, Peter. 1981. 『Approaches to Translation』, Pergamon Press. 미소장
27 Nida, Eugene A., & Charles R. Taber. 1969. 『The Theory and Practice of Translation, With Special Reference to Bible Translating』, Brill. 미소장
28 Snell-Hornb. Mary. 1988. 『Translation Studies An integrated approach』,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