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보육교직원 윤리강령 개발 = Development of a code of ethics for childcare staff 한유미, 이완정, 장영인, 김정화 p. 1-16
북한이탈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가 유아기 자녀의 자아존중감 및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parenting stress of North Korean refugee mothers in early parenthood on their children’s self-esteem and self-regulation ability 장우심, 김래은, 구상미 p. 17-37
학대피해아동쉼터 종사자가 인식하는 근무환경, 직무만족, 소진과 이직의도의 인과구조 분석 = Causal relationships of work environment, job satisfaction,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workers at shelters for the abused children 김미숙, 이은주, 황아리영, 배화옥 p. 39-60
유아기 아버지의 부모역할신념과 아버지-유아 놀이상호작용과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parental role belief and father-child play interaction : the moderating effect of fathers’ belief in young children’s learning : 아버지의 유아학습신념의 조절효과 신소은, 김지현 p. 61-81
아동권리교육 프로그램 현황분석을 위한 기초연구 = Basic research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children’s rights education programs : focusing on data structuring : 데이터 구조화를 중심으로 이지현, 성윤희 p. 83-113
아버지 상(像) 관련 국내 연구동향 분석 = Domestic research trends related to images of fathers : focusing on perception of father’s image : 아버지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이상선, 임민정 p. 115-134
가정 및 지역사회의 신체활동 지원환경과 미디어 매체 사용 시간이 유아의 신체역량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the home and community environment for physical activity and media use time on children's physical literacy 윤혜영, 김지연 p. 135-153
사회적 지지가 가정위탁아동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career maturity of children in foster care :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and stigma : 자기효능감과 낙인감의 매개효과 정윤미, 강현아 p. 155-171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교사 전문성에 대한 유아교사 인식 연구 =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on teacher professionalism in the post-corona era 김하경, 정혜영 p. 173-201
가정위탁지원센터 자립지원전담요원의 직무구조와 특성에 관한 질적연구 = A qualitative study of the job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self-reliance support staff at foster care center 좌현숙, 정정호 p. 203-240
'친권자 징계권' 관련 뉴스 기사의 이슈 분석 = Issue analysis of news articles on the "parental right to take disciplinary action" 김선희 p. 259-276

아동기 결핍경험이 성인기 우울,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childhood deficiency experiences on depression,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in adulthood 김해인 p. 241-258

참고문헌 (10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김성경 (2019). 시설보호청소년을 위한 외부 자립체험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청소년학연구, 24, 8-38. doi:10.21509/KJYS.2019.09.26.9.247 미소장
2 김예성, 이경상 (2015). 시설청소년의 자립준비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청소년문화포럼, 42, 7-32. doi:10.17854/ffyc.2015.04.42.7 미소장
3 김인숙 (2016). 사회복지연구에서 질적방법과 분석. 서울: 집문당. 미소장
4 보건복지부, 아동권리보장원 (2022). 2021 아동자립지원 통계현황보고서. https://www.ncrc. or.kr/temp/dnd.do?fileKey=969f60e05061368df06db1fb0762ae54 에서 2022년 11월30일인출. 미소장
5 이상정, 류정희, 김지연, 김무현, 김지민. 2019. 가정외 보호 아동의 자립준비실태와 자립지원체계개선방안연구. 세종: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미소장
6 장정은, 전종설 (2018). 양육시설 퇴소 청소년의 초기 자립경험. 청소년복지연구, 20(2), 95-125. doi:10.19034/KAYW.2018.20.2.05 미소장
7 정선욱, 강현주, 김진숙, 정익중 (2019). 보호종료아동 자립지원 강화방안. 세종: 보건복지부, 서울: 덕성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소장
8 정선욱, 김진숙, 강지영, 정선영 (2021). 아동일시보호시설의 보호 상황에 대한 탐색적 이해. 학교사회복지, 54, 79-102. doi:10.20993/jSSW.54.4 미소장
9 정정호, 좌현숙 (2021). 아동양육시설 자립지원전담요원의 자립지원 업무경험. 학교사회복지, 56, 1-30. doi:10.20993/jSSW.56.2 미소장
10 정정호, 좌현숙 (2020). 공동생활가정 자립지원전담요원 및 종사자 직무 수립연구 http://grouphome.kr/pages/download.php?fname=board/m165/2105/18/20210518_fb332a0395cab49674f3ae1bbe57050f&sn=12079 에서 2022년 11월30일 인출.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