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본 연구는 기독교상담사의 효과성 있는 상담수행을 위해 요구되는 역량모형을 개발하고, 정체성 확립을 위한 핵심역량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방법은 문헌연구와 임상 경험자들의 심층면접과 개방형 설문조사를 통하여 초안을 구안하였고, 전문가 13명을 대상으로 3차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최종 3개의 역량군, 9개의 역량요소, 43개의 역량지표를 구축하였다. 상대적 가중치(AHP조사) 산정 결과 역량군은 태도⁃자질, 이론 지식, 기술 직무수행 순이였으며, 역량요소는 신앙적 태도⁃자질, 전문적 태도⁃자질, 성찰 및 자기계발, 기독교상담에 대한 지식, 일반상담에 대한 지식, 기독교에 대한 지식, 기독교상담 통합 기술, 상담수행 기술, 상담심화 기술 순이었다. 역량지표는 영혼에 대한 사랑, 하나님만 의지, 그리고 공동으로 영적 중재자, 소명의식, 지혜였으며, 영혼 구원의 사명감, 영적 훈련과 성장, 헌신이 공동순위였고, 다음으로 인내 순이였으며, 그 외 34개의 우선순위가 산정되었다. 결과적으로 기독교신앙과 심리학, 그리고 영성 역량의 통합적 적용이 내담자에게 효과성 있는 상담이 이루어지며, 신앙적 태도⁃자질이 기독교상담사의 정체성 확립을 위한 핵심역량이었음을 확인한 이론과 실제에 근거한 연구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competency model required for a Christian counselor to pursue an effective counseling and figure out the essential competency needed to establish his or her identity. Literature research, depth interviews and open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And three competency groups, nine competency components, and forty three competency indexes were constructed by conducting the 3th Delphi method with thirteen experts. As a result of calculating the relative weights (AHP), the competency group showed the order of attitude and qualification, theoretical knowledge, and performance of technical jobs. For the competency components, the group revealed the order of faith attitude and qualification, professional attitude and qualification and self-examination and self-improvement, knowledge of Christian counseling, knowledge of general counseling, knowledge of Christianity, integrated technique of Christian counseling, technique of counseling performance, and technique of advanced counseling. The priority of competency indicators is the love of souls, reliance on God alone, spiritual counselor, sense of calling, wisdom, sense of duty of soul salvation, spiritual training and growth, sacrifice, and endurance. Thirty-four others have been confirmed. As a result, this study shows that it is based on theory and practice in that Christian faith and psychology and integrated application of spiritual competency make counseling effective for counselees and that faith attitude and qualification are the essential competency for Christian counselors to establish their identity.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강연정 (2019). 기독교상담의 통합적 원리와 특징. 복음과 상담, 27(2), 7-33. http://dx.doi.org/10.17841/jocag.2019.27.2.7 | 미소장 |
2 | 강용원 (2004). 기독교교육의 과제와 전망. 서울: 기독한교. | 미소장 |
3 | 강용원 (2013b). 복음주의 기독교상담의 전개: 사마리아 여인과의 대화를 중심으로. 성경과 신학, 65, 37-73. | 미소장 |
4 | 권수영, 이신형, 황진태, 손재구 (2016). 전문상담사의 국가자격화 논의를 위한 연구: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중심으로.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27(4), 9-29. | 미소장 |
5 | 김경미 (2018). 기독교상담자의 정체성과 딜레마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고신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6 | 김경희 (2018). 기독교상담자의 정체성: 영적 자질을 중심으로. 복음과 상담, 26(1), 33-64. http://dx.doi.org/10.17841/jocag.2018.26.1.33 | 미소장 |
7 | 김규보, (2019). 헤르만 바빙크(H. Bavinck)의 언약 이해와 가정사역: 성경적 가족생활교육을 위한 언약의 실천신학적 함의. 복음과 상담, 27(1), 81-120. http://dx.doi.org/10.17841/jocag.2019.27.1.81 | 미소장 |
8 | 김동현 (2021). 게임중독 상담자 역량모형 개발. 부경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9 | 김미경 (2005a). 슈퍼비전이 기독상담자 발달과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10 | 김미경 (2005b). 기독상담자의 정체감 형성과 영향요인.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10, 141-170. | 미소장 |
11 | 김미숙 (2006). 기독교상담에 나타난 통합운동에 관한 연구. 고신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12 | 김용태 (2013). 종합적이고 통합적 성격의 기독교상담학: 학문의 구조를 중심으로. 복음과 상담, 21, 9-32. http://dx.doi.org/10.17841/jocag.2013.21..9 | 미소장 |
13 | 김용태 (2019). 기독교상담의 이해와 원리. 서울; 학지사. | 미소장 |
14 | 김재훈 (2019). 미술치료사의 역량모형 개발. 연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15 | 김 준 (2021). 성경적 상담과 하나님 관점의 이야기. 서울: 그리심 | 미소장 |
16 | 나고은, 허난설, 이상민 (2021). 심리상담 법제화 방향성:미국의 전문상담사(LPC)와 인증프로그램(CACREP) 사례를 중심으로. 상담학 연구, 22(65), 1-15. http://dx.doi.org/10.15703/kjc.22.6.202112.1 | 미소장 |
17 | 박기영 (2008). 기독교상담학의 성향 분류에 따른 신학과 심리학의 통합 모델: 성경관, 인간이해, 심리학 개방성을 중심으로. 성결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18 | 박선웅 (2022). 정체성의 심리학. 경기도: 북이십일 21세기북스. | 미소장 |
19 | 성현모, 이상민 (2022). 심리상담 법제화의 방향성. 입법과 정책, 14(1). 195-219. http://dx.doi.org/10.22809/nars.2022.14.1.007 | 미소장 |
20 | 안경승 (2016). 기독교상담과정의 독특성. 복음과 상담, 24(2), 221-253. http://dx. doi.org/10.17841/jocag.2016.24.2.221 | 미소장 |
21 | 안영식 (2012). 평생교육사의 평생학습상담 역량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동의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22 | 안점식 (2018). 세계관 종교 문화. 서울:죠이선교회. | 미소장 |
23 | 양정하 (2019). 도박중독상담자 역량모형 개발. 경성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24 | 유현실 (2009). 진로상담전문가의 역량모형 개발. 서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25 | 윤정일, 김민성, 윤순경, 박민정(2007). 인간능력으로서의 역량에 대한 고찰: 역량의 특성과 차원. 교육학연구, 45(3), 233-260. | 미소장 |
26 | 윤진희 (2022). 전문상담교사의 역량모형개발. 경희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27 | 이관직 (2007). 개혁주의 목회상담학. 서울: 대서. | 미소장 |
28 | 이관직 (2010). 성경적 수퍼비젼. 서울: 대서. | 미소장 |
29 | 이관직 (2017). 성경으로 본 기독교상담. 경기도: 지혜와 사랑. | 미소장 |
30 | 이보라 (2018). 기독교상담자의 소진 극복을 위한 기독교상담 방안: 이야기치료를 중심으로. 성결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31 | 이승진 (2016). 교육분야 국제개발협력 전문가 역량모형 개발. 부산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32 | 이영란 (2019). 다문화상담자 역량모형 개발. 숙명여자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33 | 이지영 (2019). 기독상담자의 영성이 상담장면에 미치는 영향-Q방법론을 통한 상담자 인식 연구. 횃불트리니티신학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34 | 이현절 (2018). 교회학교교사, 어떻게 가르칠것인가?. 서울: 생명의 양식. | 미소장 |
35 | 이홍민 (2014). 역량평가 인적자본 역량모델 개발과 역량평가. 서울: 리드리드. | 미소장 |
36 | 임경수 (2008). 신학자 폴 틸리히의 “중심된 자기”의 존재론적 양극성 관점에서 본 기독교상담의 정체성.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15, 335-362. | 미소장 |
37 | 전요섭 (2012). 효과적인 기독교 상담기법. 서울: CLC기독교문서선교회. | 미소장 |
38 | 조남정 (2016). 상담전공 학부생의 핵심역량에 대한 탐색적 연구. 상담학연구, 17(3), 23-43. http://dx.doi.org/10.15703/kjc.17.3.201606.23 | 미소장 |
39 | 조명기 (2019). 대학 직업상담사의 직업상담 역량모델 개발. 동신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40 | 조성국(2019). 기독교학교교육의 역사와 철학. 서울: 생명의 양식. | 미소장 |
41 | 주수현 (2019). 상담수퍼바이저의 역량모형개발. 숙명여자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42 |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2019). 기독상담의 이해. 서울: 학지사. | 미소장 |
43 | 함정화 (2018). 기독교상담사의 정체성 형성 경험연구. 국제신학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44 | 보건복지부 (2021). 온국민 마음건강 종합대책-제2차 정신건강복지 기본계획. 관계부처합동. | 미소장 |
45 | Benner, D. G. (2000). 정신치료와 영적 탐구 (이만홍 역, Psychotherapy and the spiritual quest). 서울: 하나의학사. (원전 1988 출판). | 미소장 |
46 | Bufford, R. K. (1997). Consecrated counseling: Reflections on the distinctives of Christian counseling, Journal of Psychology and. Theology, 25, 111-122. | 미소장 |
47 | Cheetham, G., & Chivers, G. (1996). Towards a holistic models of professional competence. Journal of European Industrial Training, 20, 20-30. | 미소장 |
48 | Collins, G. R. (1993). The biblical basis of Christian counseling for people helpers. Colorado Springs. CO: Nav Press. | 미소장 |
49 | Collins, G. R. (1996). 기독교상담의 성경적 기초 (안보현 역. The biblical basis of Christian counseling for people helpers). 서울: 생명의말씀사. (원전 1993 출판). | 미소장 |
50 | Corey, G. (2003). 심리상담과 치료의 이론과 실제 (조현춘, 조현재 역. Theory and practice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서울: 시그마프레스. (원전 2000 출판) | 미소장 |
51 | Corey, G. (2011). Theory and practice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8th ed.). Belmont, CA: Books/Cole. | 미소장 |
52 | Crabb, L. J. (1977). Effective biblical counseling. Grand Rapids: Zondervan. | 미소장 |
53 | Grant, S., & Davis, L. L.(1997). Focus on quantitative methods: Selection and use of content experts for instrument development. Research in Nursing & Health, 20, 269-274. | 미소장 |
54 | Greggo, S., & Lawrence, K. (2012). Clinical appraisal of spirituality: In search of rapid assessment instruments for Christian counseling. Journal of Psychology and Christianity, 31, 253-266. | 미소장 |
55 | Honeycutt, R. L. (1997). Pastoral counseling in theological education. Review and Expositor, 94(4), 539–542. | 미소장 |
56 | McClelland, D. C. (1973). Testing for competence rather than for intelligence. American Psychologist, 28(1), 1-14. | 미소장 |
57 | McLagan P. A. (1989). Great Ideas revisited: Job competency models. Training & Development, 50(1), 60-65. | 미소장 |
58 | McMinn, R. M. (2011). 죄와 은혜의 기독교상담학 (전요섭, 박성은 역, Sin and grace in Christian counseling),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원전 2008 출 판). | 미소장 |
59 | Mirabile, R. J. (1997). Everything you wanted to know about competency modeling. Training & Development, 51(8), 73-77. | 미소장 |
60 | Nessel, W. J. (1973). Book review: “Effective counselling” by G. Collins. The Thomist, 37(1), 262. | 미소장 |
61 | Osborn, B., & Jones, I. (2020). Evaluating counseling student competence: The Christian counseling supervision instrument (CCSI). Journal of Psychology and Christianity, 39(3), 214-228. | 미소장 |
62 | Pretorius, F. J., & Van, K. H. (2003). The need for more Christian counsellors. Koers: Bulletin for Christian Scholarship, 68(2 & 3), 279-293. | 미소장 |
63 | Rothwell, W. J., & Lindholm, J. E. (1999). Competency identification modelling and assesement in the USA. International Journal of Training and Development, 3(2), 90-105. | 미소장 |
64 | Spencer, L. M., & Spencer, S. M. (1993). Competence at work: Models for superior performance. New York: John Wiley & Sons. | 미소장 |
65 | Spencer, L. M., & Spencer, S. M. (1998). 핵심역량모델의 개발과 활용 (민병모, 박동건, 박종구, 정재창 공역. Competence at work). 서울: PSI컨설팅. (원전 1993 출판). | 미소장 |
66 | Sperry, L. (2010). Highly effective therapy: Developing essential clinical competencies in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NY: Routledge. | 미소장 |
67 | Tan, S. Y. (1987). Intrapersonal integration: The servant’s spirituality. Journal of Psychology and Christianity, 6(1), 34-39. | 미소장 |
68 | Tan, S. Y. (2014). 상담과 심리치료. (정동섭, 김영근, 김형선, 유재성, 전요섭 공역, Counseling and psychoterapy: A Christian perspective). 서울: 이레서원. (원전 2011 출판). | 미소장 |
69 | Thurneysen, E.(1980). Die Lehre von der seelsorge (5 Aufl). Zuerich: Theologischer Verlag. | 미소장 |
70 | Tim, C., & Ron, H. (2019). 기독교상담사전 (장보철 역. The popular encyclopedia of Christian counseling).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원전 2011 출판). | 미소장 |
71 | White, R. W. (1959). Motivation reconsidered: The concept of competence. Psychological Review, 66(5), 297-333.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