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경영자-감사인 간 의견불일치의 대용치로 감사보고시차를 사용하여 여러 가지 경영자 특성 중 경영자 능력과 과신성향이 감사보고시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 데에 있다.

경영자와 감사인 간에 갈등이 존재한다면 이를 합의하기 위한 시간이 걸리고 감사지연으로 이어져 감사보고서 발행이 늦어질 수 있다. 결국 감사보고시차는 경영자-감사인 간 의견불일치를 반영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2017에서 2020년까지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Demerjian et al. (2012)에 기초하여 국내의 실정에 맞게 재구성한 고창열 외 (2013)의 연구방법론으로 산출한 경영자 능력과 과대투자 및 자본적지출 여부를 활용하여 추정한 경영자 과신성향이 감사보고시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능력이 우수한 경영자일수록 감사보고시차는 감소함을 보였다. 반면에 과신성향이 있는 경영자가 있는 기업일수록 감사보고시차는 증가함을 나타냈다. 즉, 경영자 특성에 따라 감사인이 인지하는 감사위험이 달라질 수 있고, 이것이 경영자와 감사인의 의견불일치 정도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업이 경영자를 선임할 때 이러한 경영자의 특성이 기업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할 수 있도록 제안할 수 있고, 규제기관이나 외부투자자들이 기업을 이해하는 데 참고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플랫폼 경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of platform economy : focusing on the platform business profit model framework / 플랫폼 비즈니스 수익모델 프레임워크를 중심으로 양재용, 박광태 p. 1-30

(The) effect of empowering leadership on followers’ withdrawal behaviors : 임파워링 리더십이 부하직원의 철회행동에 미치는 영향 : 조직기반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및 역할 명료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focusing on the role of organization-based self-esteem as a mediator and role clarity as a moderator Minseo Kim, Yong Jae Shin p. 31-47

임파워링 리더십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empowering leadership on job performance : mediating effect of work overload and moderating effect of job resourcefulness / 업무과부하의 매개효과와 직무자원동원성의 조절효과 추미나, 이준호 p. 49-79

경영자 능력과 과신성향이 감사보고시차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 of managerial ability and overconfidence on audit report lag 유한결, 김응길 p. 81-104

Improvements of corporate internal control system to prevent embezzlement of funds = 자금횡령 근절을 위한 기업의 내부통제제도 개선방안 Yoo In-Chil, Park Hyung-Geun, Ju Myung-Soo, Lee Jae-Choon p. 105-124

「기업경영연구」 학술지 연구동향 분석 = Research trends of Korean Corporation Management Review 최우재 p. 125-138

머신러닝 기반의 OTT 플랫폼 서비스 이용 예측모형 개발과 결정요인 탐색 = Development of OTT platform service usage prediction model and exploration of determinants using machine learning 최진, 박준식, 이성호 p. 139-162

회계정보 가치관련성의 추세변화 : Trends in accounting information value relevance : before and after the Covid 19 crisis / Covid 19 위기를 전후로 최정미, 백상미 p. 163-180

참고문헌 (46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내철, 김성환. (2008). 연결실체의 복잡성으로 인한 재무보고 지연에 관한 연구. 회계 세무와 감사 연구, 47, 281-307. 미소장
2 고창열, 박준호, 정훈, 유관희. (2013). DEA 를 이용한 경영자 능력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관리회계연구, 13(1), 165-200. 미소장
3 고창열, 김봉현, 고봉조. (2016). 경영자능력이 정보비대칭에 미치는 영향. 글로벌경영학회지, 13(1), 77-94. 미소장
4 김상미, 신희정, 김수인. (2018). 경영자 과신성향이 감사보수에 미치는 영향. 회계 세무와 감사 연구, 60(1), 67-95. 미소장
5 김상미, 최수영. (2020). 경영자 능력이 재무제표의 비교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회계저널, 29(4), 71-102. 미소장
6 김새로나, 최준혁. (2021). 경영자능력이 원가비대칭성에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기업경영연구, 28(2), 1-27. 미소장
7 김새로나, 최준혁. (2022). 경영자 지분율이 과신성향과배당정책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 기업경영연구, 29(5), 175-199. 미소장
8 김은, 김진태. (2012). 감사인 지정과 감리지적이 감사시차에 미치는 영향. 기업경영연구, 19(4), 239-260. 미소장
9 김응길, 이시내. (2021). 경영자 능력과 감사 전 재무제표에 관한 연구. 국제회계연구, 95, 135-154. 미소장
10 남혜정. (2019). 경영자의 과신성향이 세무위험에 미치는 영향. 세무와 회계연구, 8(1), 57-91. 미소장
11 노희천, 임규한, 전영준. (2012). 감사보고서 발행시차와재무보고품질 사이의 관계. 세무와회계저널, 13(3), 249-279. 미소장
12 라기례, 박상봉. (2016). 경영자 과신성향과 수익비용대응 정도 및 비용인식 패턴. 대한경영학회지, 29(10), 1527-1547. 미소장
13 박민경, 김정은. (2020). 경영자능력이 개발비 회계처리에 미치는 영향. 경영학연구, 49(3), 685-715. 미소장
14 박범진. (2022). 감사위원회 활동성과 감사보고시차. 회계정보연구, 40(2), 117-138. 미소장
15 박종성, 오윤숙, 조은주, 조은혜. (2011). 감사인과 경영자 간 갈등상황이 존재할 때 감사보고서 발행이지연되는가?. 회계와 정책연구, 16(4), 73-99. 미소장
16 반혜정, 정인희. (2017). 경영자 능력과 기업수명주기 단계별 회계정보의 질. 한국산업경영학회, 32(4), 91-119. 미소장
17 손성규, 정기위, 배창현. (2013). 회계오류에 대한 외부감사의 역할. 회계저널, 22(3), 71-99. 미소장
18 신보선, 우용상. (2020). 감사인의 규모와 감사보수 및 감사시간이 경영자의 과신성향과 경영자-감사인간의 의견불일치간의 상관관계에 미치는 영향. 회계정보연구, 38(2), 71-99. 미소장
19 안수경, 이병철. (2016). 외부감사인은 감사계약을 위한감사위험 평가 때 경영자의 이익조정을 예측하는가?. 회계정보연구, 34(4), 123-163. 미소장
20 이건, 김현아. (2018). 경영자 능력이 초도감사보수에 미치는 영향. 회계 세무와 감사 연구, 60(2), 65-92. 미소장
21 이윤경, 이우재. (2016). 경영자능력이 기업의 재무평점및 신용평점에 미치는 영향. 회계연구, 21(5), 1-23. 미소장
22 장석진, 이세철, 인창열. (2016). 불성실공시와 감사보고시차. 회계 세무와 감사 연구, 58(4), 87-116. 미소장
23 정경철, 이건. (2017). 경영자 능력과 감사노력 및 감사보수 프리미엄의 관계. 회계정보연구, 35(3), 301-331. 미소장
24 정기위, 손성규. (2009). 외국인 투자자의 지분율이 감사보고시차에 미치는 영향. 연세경영연구, 46(1), 45-70. 미소장
25 정기위. (2020). 경영자 능력이 감사인의 감사의견 형성에 미치는 영향 : 발생액 특성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자료분석학회, 22(4), 1553-1567. 미소장
26 정남철, 김현아, 최진욱. (2019). 감사보고서의 강조사항유형별 감사보고시차. 경영학연구, 48(3), 683-714. 미소장
27 조은정, 정주렴, 김범준. (2016). 경영자 능력이 경영자-감사인간 의견불일치에 미치는 영향: 감사 전재무제표의 증권선물위원회 제출의무화를 중심으로. 회계저널, 25(4), 37-65. 미소장
28 황국재, 박진모, 김기범. (2012). 경영자와 감사인간 의견불일치가 외부감사에 미친 영향 감사보고시차를중심으로. 국제회계연구, 46, 219-240. 미소장
29 황국재, 차명기, 김수성. (2016). 경영자의 자기과신 성향과 조세회피. 회계정보연구, 34(4), 441-485. 미소장
30 Ahmed, A. S., & Duellman, S. (2013). Managerial Overconfidence and Accounting Conservatism. Journal of Accounting Research, 51(1), 1-30. 미소장
31 Alicke. M. D. 1985. Global self-evaluation as determined by the desirability and controllability of trait adjectiv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9(6), 1621-1630. 미소장
32 Ashton, R. H., Willingham, J. J., & Elliott, R. K. (1987). An empirical analysis of audit delay. Journal of Accounting Research, 25(2), 275-292. 미소장
33 Baik, B., Farber, D., & Lee. S. (2011). CEO Ability and Management Earnings Forecasts. Contemporary Accounting Research, 28(5), 1645-1668. 미소장
34 Ball, R., & Shivakumar, L. (2005). Earnings quality in UK private firms: comparative loss recognition timeliness. Journal of Accounting and Economics, 39(1), 83-128. 미소장
35 Bamber, E. M., Bamber, L. S., & Schoderbek, M. P. (1993). Audit structure and other determinants of audit report lag: An empirical analysis. Auditing: A Journal of Practice & Theory, 12(1), 1-23. 미소장
36 Bouwman. (2014). Managerial Optimism and Earnings Smoothing. Journal of Banking and Finance, 41(C), 283–303. 미소장
37 Carslaw, C. A. P. N., & Kaplan, S. E. (1991). An examination of audit delay:Further evidence from New Zealand. Accounting and Business Research, 22(85), 21-32. 미소장
38 Chambers. J. R., & Windschitl, P.D. (2004). Biases in Social Comparative Judgments: The Role of Nonmotivated Factors in Above-Average and Comparative Optimism Effects. Psychological Bulletin, 130(5), 813-838. 미소장
39 Demerjian, P., Lev, B., & McVay, S. (2012). Quantifying managerial ability: A new measure and validity tests. Management Science, 58(7), 1229-1248. 미소장
40 Demerjian, P., Lev, B., Lewis, M., & McVay, S. (2013). Managerial ability and earnings quality. The Accounting Review, 88(2), 463-498. 미소장
41 Francis, J., Huang, A. H., Rajgopal, S., & Zang, A. Y. (2008). CEO reputation and earnings quality. Contemporary Accounting Research, 25(1), 109-147. 미소장
42 Hribar, P., & Yang, H. (2013). CEO overconfidence and Management Forecasting. Contemporary Accounting Research, 33(1), 204-227. 미소장
43 Judd, J.S., Olsen, K.J. & Stekelberg, J. (2017). How Do Auditors Respond to CEO Narcissism? Evidence from External Audit Fees. Accounting Horizons, 31(4), 33-52. 미소장
44 Schrand, C. M., & Zechman, S. L. C. (2012). Executive Overconfidence and the Slippery Slope to Financial Reporting. Journal of Accounting and Economics, 53(1-2), 311-329. 미소장
45 Schwartz, K. B., & Soo, B. S. (1996). The association between auditor changes and reporting lags. Contemporary Accounting Research, 13(1), 353-370. 미소장
46 Watts, R. L. (2003a). Conservatism in accounting part I:Explanations and implications. Accounting Horizons, 17(3), 207-221.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