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중국의 고등학교 한국어교육 현황을 자세히 소개하고 앞으로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현재 중국에서 한국어교육은 주로 대학에서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반면 본 연구에서는 대학 중심의 연구에서 벗어나 중국 내 고등학교에서 운영되고 있는 한국어교육을 살펴보고자 한다. 고등학교 한국어교육 사례로 중국 하남성 초작시 제일고등학교 한국대학 진학반의 한국어교육에 초점을 두었다. 아울러 초작시 제일고등학교 한국대학 진학반 학생들의 진로 동기, 한국어교육 등에 관한 인터뷰 내용 결과 몇 가지 문제점과 개선 방향을 찾을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논문은 하남성 초작시 제일고등학교 한국대학 진학반의 한국어교육 현황을 살펴보고 중국 내 고등학교의 한국어교육 활성화 방안에 대해 기초 연구를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in detail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high schools in China and to suggest future directions for improvement. Currently, in China, the first city in Henan Province, China, which is receiving attention as a Korean language education area in high schools rather tha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universities. As a result of interviews with students who wish to enter Korean universities, some problems and improvement plans were found. The focus of this thesis is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at NO.1 High School. Therefore, this thesis aims to do a basic research on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t NO.1 High School in Jiazuo City, Henam.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중국 내 고등학교의 한국어교육 현황과 활성화 방안 = Current status of Chinese high school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promotional measures : focused on Korean university entrance class of NO.1 High School in Jiaozuo City, Henan Province, China : 하남성 초작시 제일고등학교 한국대학 진학반을 중심으로 권영은, 권대혁, 황미혜 p. 1-29

창조적분석과정 기술법에 대한 고찰 : A review of the creative analytic processes ethnography : the significance in multicultural research / 다문화연구에의 의의 류영진 p. 31-53

학습 환경에 따른 외국어 불안과 즐거움 비교 분석 = A comparative study on foreign language anxiety and enjoyment according to learning environment : 중국인 KFL와 KSL 학습자를 중심으로 범금구, 조윤경, 류승의 p. 55-77

타자를 범주화하는 문화적 태도에 대한 현상학적 비판 : A phenomenological criticism of cultural attitude categorizing others : focusing on René Girard’s mimesis theory / 르네 지라르의 모방이론을 중심으로 신용식 p. 79-105

한센인의 '요양소 가는 길' 연구 = A study on Hansen’s “the way to the leprosy sanatorium” : 장편소설 『낙화유수』와 재일교포 환우수기 『형극의 반생기』를 중심으로 오현석 p. 107-142

충청남도 다문화정책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Chungcheongnam-do’s multicultural policy : focusing on the 2021 local government immigration polic[y] / 2021 지방자치단체 외국인정책 시행계획을 중심으로 이성순 p. 143-173

‘다문화가정’ 용어에 내재된 차별과 편견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discrimination and prejudice inherent in the term ‘multicultural family’ 조숙정 p. 175-213

서울시 거주 이주민의 사회적 자본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on living satisfaction of migrants in Seoul 황향화, 김옥녀 p. 215-2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