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논문에서는 유라시아의 민주주의 이행과 EU 민주주의 프로그램과의 연관성을 제시하고, 유라시아 국가의 EU 가입 가능성을 타진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고 있다. 이를 위해 유라시아에서의 민주주의 이행 상황을 검토하고 민주주의 이행이 부진한 이유를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인권과 민주주의에 관한 EU 행동 계획, 민주주의를 위한 유럽 파트너쉽 등 EU 차원의 주요 민주주의 프로그램의 내용을 살펴보고 있다. EU는 민주주의의 일반 원칙과 필요 요건을 제시하면서, 이에 부합하는 EU 확장 정책의 가이드라인을 일관되게 적용하고 있다. 이를 통해 EU에서 요구하는 민주주의 및 기타요건을 유라시아 지역에서 EU 가입을 원하는 국가들이 갖추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임을 파악할 수 있다. 다만 우크라이나 전쟁 같은 외생 변수의 등장은 EU 가입을 촉진할 수 있는 요인이 될 수 있다는 점을 함께 지적할 수 있다. 우크라이나, 조지아, 몰도바 등 유라시아의 세 국가는 민주주의 제도 개혁을 꾸준히 시도하면서 법의 지배 원칙을 확립시키려는 노력을 지속한다면 시간이 걸리더라도 EU 가입은 가능하다고 보면서, 이같은 전망은 민주주의 경험과 법의 지배 전통이 없는 국가에서도 민주주의 이행 의지와 더불어 적절한 외부 압력이 작용한다면 민주주의 공고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입증해 줄 것이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유라시아에서의 민주주의 이행과 유럽연합의 민주주의 프로그램 = Implementation of democracy in Eurasia and the European Union’s democratic program 우평균 p. 1-44

우크라이나전쟁과 러시아문명의 변화 = The war in Ukraine and the change of the Russian civilization 이진현 p. 45-79

무기대여법은 소비에트 연방의 승리에 얼마나 이바지했는가? : What role did the lend-lease aids play in the vitory of the Soviet Union? : issues in the historiography on America’s economic aid to the USSR in the Second World War / 제2차 세계대전 시기 미국의 대(對)소련 군수물자 원조를 둘러싼 쟁점과 역사서술의 동향 류한수 p. 81-119

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중앙아시아의 對러 수출허브화 : Central Asia’s export hub to Russia after Ukraine crisis : current status and requirements / 현황과 필요조건 박지원 p. 121-143

1월 소요사태 이후 카자흐스탄의 경제정책 방향과 시사점 = Kazakhstan’s economic policy direction and implications after the January unrest 변현섭 p. 145-179

생리학에서 노동사회학으로 : From physiology to labor sociology : origins and differentiation of biomechanics / 생체역학의 기원과 분화 백승무 p. 181-216

스베틀라나 보임의 오프모던(Off-Modern) 프로젝트 : Svetlana Boym’s off-modern project and architecture of the off-modern / 『오프모던의 건축』을 중심으로 김수환 p. 217-254

경동사 구문 의미와 은유적 의미전이 : Semantics and metaphorical extension of light verb constructions : focusing on the Russian verb DAT’ / 러시아어 동사 ДАТЬ를 중심으로 이수현 p. 255-284

잘못된 어휘 선택으로 인한 '말실수'(речевые ошибки) 연구 : A study of speech errors due to incorrect choice of words : focusing on paronymic verb and synonymic verb in Russian / 러시아어 동원어와 유의어 동사를 중심으로 손현익 p. 285-312

참고문헌 (45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김연규. “탈공산체제 이행과 민주주의 공고화.” 『세계정치 13』 제31집 1호. 서울: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2010. 미소장
2 김태환. 『탈사회주의 25년의 경험과 북한의 체제전환: 함의와 정책 방향』 . 서울:국립외교원 외교안보연구소, 2015. 미소장
3 김 훈. “EU의 유럽근린정책이 동방 파트너십 국가의 거버넌스 증진에 미치는영향: 우크라이나, 조지아, 몰도바 사례를 중심으로.” 『유럽연구』 제40권1호. 서울: 한국유럽학회, 2022. 미소장
4 박명호. “서발칸 국가의 EU 가입과 중국.” 『EU학 연구』 제26권 제2호. 서울:한국EU학회, 2021. 미소장
5 송병준. “우크라이나의 EU 가입 멀지만 반드시 가야 할 길.” 『공공정책』 제199호. 서울: 한국자치학회, 2022. 미소장
6 우평균. “2013년 푸틴의 압박과 우크라이나의 EU 접근 좌절 과정.” e-Eurasia, 제49호. 서울: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2013. 미소장
7 이선우. “민주주의 공고화에 있어 ‘법의 지배’의 우선성: 탈공산 러시아의 사례.”『한국정치학회보』 제51집 제1호. 서울: 한국정치학회, 2017. 미소장
8 송병승. “EU 회원국 확대 정체...가입 현상은 지지부진.” 「연합뉴스」, 2021년10월 8일. 미소장
9 정세진. “조지아 대외정책의 방향성 : 조지아의 對 EU, 러시아 관계 및 나토가입 이슈를 중심으로.” 『중소연구』 제44권 4호. 서울: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2021. 미소장
10 조흥식. “탈 냉전기 EU의 우크라이나 정책.” 『통합유럽연구』 제6권 1호. 서울:서강대학교 국제지역문화원, 2015. 미소장
11 채형복. “EU와 회원국, 가입 조건이 왜 이리 까다로워.” https://www.newsmin. co.kr/news/20927 (검색일: 2022.11.2). 미소장
12 홍완석. “우크라이나의 EU 가입 전망: 가능성과 한계.” 『국제정치논총』 제48집1호, 서울: 한국국제정치학회, 2008. 미소장
13 Britannica, “Mikheil Saakashvili, president of Georgia,” https://www.britannica. com/biography/Mikheil-Saakashvili (검색일: 2022.11.8). 미소장
14 Delegation of the European Union to Georgia. “The European Union and Georgia.” https://www.eeas.europa.eu/georgia/european-union-and-georgia_en?s=221 (검색일: 2022.11.3). 미소장
15 EIU, Democracy Index 2021, The China Challenge. London: Economist Intelligence, 2022. 미소장
16 Emerson, Michael, Denis Cenusa, Steven Blockmans, Tinatin Akhvledian. OPINION ON MOLDOVA’S APPLICATION FOR MEMBERSHIP OF THE EUROPEAN UNION. Brussels: CEPS, 2022. 미소장
17 EU Neighbourseast. “The European Union and Moldova.” July 21, 2022. https://euneighbourseast.eu/news/publications/the-european-union-andmoldova (검색일: 2022.11.5). 미소장
18 EU. “REGULATIONS REGULATION (EU) 2021/1529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of 15 September 2021establishing the Instrument for Pre-Accession assistance (IPA III).”Official Journal of the European Union, 2021.9.20. 미소장
19 European Commisssion. “Accession criteria, European Commission - Enlargement - Accession criteria.” https://neighbourhood-enlargement.ec.europa.eu/en largement-policy/glossary/accession-criteria_en (검색일: 2022.10.30). 미소장
20 Fix, Liana and Michael Kimmage, “Go Slow on Crimea. Why Ukraine Should Not Rush to Retake the Peninsula,” Foreign Affairs, December 7, 2022, https://www.foreignaffairs.com/ukraine/go-slow-crimea? (검색일: 2022.12.8). 미소장
21 Genté, Régis. “Broken Dream: The oligarch, Russia, and Georgia’s drift from Europe.” December 21, 2022. https://ecfr.eu/publication/broken-dreamthe-oligarch-russia-and-georgias-drift-from-europe/(검색일: 2023.1.10). 미소장
22 Gherasim, Christian. “Moldova - between EU accession and mounting regional tensions.” Euro Reporter. July 20, 2022. https://www.eureporter.co/wor ld/moldova/2022/07/20/moldova-between-eu-accession-and-mountingregional-tensions (검색일: 2022.11.5). 미소장
23 Governance Committee, Council of Europe. “The misuse of administrative resources during electoral processes: the role of local and regional elected representatives and public officials.” 31st Session Report CG31(2016)07final. 미소장
24 Hale, Henry E. “Eurasian polities as hybrid regimes: The case of Putin’s Russia.”Journal of Eurasian Studies. Vol. 1, No. 1 (2010). 미소장
25 Hale, Henry E. “Formal Constitutions in Informal Politics: Institutions and Democratization in Post-Soviet Eurasia.” World Politics. Vol. 63, No. 4 (2011). 미소장
26 Kirby, Paul. “Ukraine billionaire Ihor Kolomoisky targeted in new anti-corruption swoop.” BBC News. February 2, 2023. https://www.bbc.com/news/worl d-europe-64482072 (검색일: 2023.2.5). 미소장
27 Kitschelt, H, S. I. Wilkinson (ed.). Patrons Clients and policies: Patterns of democratic accountability and political competition.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 미소장
28 Kourtelis, Christos. “The role of epistemic communities and expert knowledge in the European Neighbourhood Policy.” Journal of European Integration. Vol. 43, No. 3 (2021). 미소장
29 Kurki, M. “Democracy and Conceptual Contestability: Reconsidering Conceptions of Democracy in Democracy Promotion.” International Studies Review. Vol. 12, No. 3. 미소장
30 Liboreiro, Jorge. “Why was Georgia not granted EU candidate status?” Euro News. June 24, 2022. https://www.euronews.com/my-europe/2022/06/24/why-was-georgia-not-granted-eu-candidate-status (검색일: 2022.11.3). 미소장
31 Maravall, Jose Maria. “Accountability and Manipulation,” Democracy, Accountability and Representation. A. Przeworski, S.C. Stokes and B. Manin (ed.).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미소장
32 Media Dialogue. “Media Dialogue Project Summary.” https://epd.eu/wp-content/uploads/2021/10/project-information-summary_june-15-2020.eng_.pdf (검색일: 2022.11.3). 미소장
33 Prizel, I. “The First Decade after the Collapse of Communism: Why did Some Nations Succeed in their Political and Economic Transformations While Others Failed?”. SAIS Review. Vol 19, No. 2 (1999). 미소장
34 Regulation (EU) No 232/2014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of 11 March 2014 laying down general provisions establishing a European Neighbourhood Instrument, Official Journal of the European Union, L 77/27, 15.3.2014. 미소장
35 Shleifer, A. & D. Treisman. “A normal country.” Foreign Affairs. Vol. 83, No. 2 (2004). 미소장
36 Tannock, Charles. “The Case for Ukraine’s EU Membership.” Project Syndicate, July 1, 2022. https://www.project-syndicate.org/commentary/ukrainecase-for-eu-membership-by-charles-tannock-2022-06? (검색일: 2022.11.3). 미소장
37 The Diplomatic Service of the European Union. “European Neighbourhood Policy.” July 29, 2021, https://www.eeas.europa.eu/eeas/european-neigh bourhood-policy_en (검색일: 2022.11.6). 미소장
38 Treisman, Daniel. “The Political Economy of Change after Communism,” in Anders Aslund and Simeon Djankov (ed.), The Great Rebirth: Lessons from the Victory of Capitalism over Communism. Washington, D.C.:Peterson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s, 2014. 미소장
39 UNDP. “EU4MOLDOVA: FOCAL REGIONS.” https://www.undp.org/moldova/projects/eu4moldova-focal-regions (검색일: 2022.11.2). 미소장
40 United Nations. “General Assembly resolution on the ‘2005 World summit outcome’.” A/RES/60/1, 2005. 미소장
41 Wetzel, A & J. Orbie. Substance of EU democracy promotion: concepts and cases. New York: Palgrave Macmillan, 2015. 미소장
42 Wilson, Andrew. “Escape routes: How the EU can help Moldova end its dependence on Russian gas.” October 13, 2022. https://ecfr.eu/article/escaperoutes-how-the-eu-can-help-moldova-end-its-dependence-on-russian-gas/(검색일: 2022.11.5). 미소장
43 Wilson, Andrew. “Cold winter: How the EU can help Moldova survive Russian pressure and protect its democracy.” European Council on Foreign relations. Policy Brief, November 15, 2022, https://ecfr.eu/ (검색일:2022.12.15). 미소장
44 Youngs, Richard. “Ukraine’s EU Membership and the Geostrategy of Democratic Self-Preservation.” https://carnegieeurope.eu/2022/04/01/ukraine-s-eumembership-and-geostrategy-of-democratic-self-preservation-pub-86771(검색일: 2022.11.5). 미소장
45 Zeeuw, Jeroen de. “Prospects Do Not Create Institutions: The Record of Democracy Assistance in Post-Conflict Societies.” Aurel Croissant and Jeffrey Haynes (ed.), Twenty Years of Studying Democratization, Vol 1: Democratic Transition and Consolidation. New York: Routledge, 2014.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