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글은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가 역사적으로 불가분의 관계인지 여부를 살펴보고, 러시아가 NATO 가입을 추진하는 우크라이나를 침략한 원인 및 우크라이나전쟁이 러시아문명에 끼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우크라이나전쟁은 동슬라브 형제국간 상잔을 넘어서 러시아와 미국 간 우크라이나를 둘러싼 대결의 양상을 띠고 있으며, 21세기 강대국들간 충돌의 서막을 열었다. 러시아는 자국의 안보와 강대국지위 확보를 위해 우크라이나를 세력권으로 두어야 하며, 미국은 세계 패권 유지를 위해 지정학적 요충지인 우크라이나를 유럽·대서양권에 통합시켜야 한다.

소련 붕괴 이후 러시아는 국가 정체성을 정립하는 과정에서 유라시아 대륙에 걸쳐있는 지리적 위치로 인해 자국의 “독특한 길”이 유럽에 있는지 또는 유라시아에 있는 지를 선택해야 했다. 현금 러시아 지도층이 국가 정책의 이론적 틀을 짜는 데, 신유라시아주의자들의 구상이 영향을 주었다. 신유라시아주의에 대한 고찰을 통해 우크라이나전쟁의 발발 원인과 지정학적 함의를 분석하고, 러시아문명의 미래를 전망하고자 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유라시아에서의 민주주의 이행과 유럽연합의 민주주의 프로그램 = Implementation of democracy in Eurasia and the European Union’s democratic program 우평균 p. 1-44

우크라이나전쟁과 러시아문명의 변화 = The war in Ukraine and the change of the Russian civilization 이진현 p. 45-79

무기대여법은 소비에트 연방의 승리에 얼마나 이바지했는가? : What role did the lend-lease aids play in the vitory of the Soviet Union? : issues in the historiography on America’s economic aid to the USSR in the Second World War / 제2차 세계대전 시기 미국의 대(對)소련 군수물자 원조를 둘러싼 쟁점과 역사서술의 동향 류한수 p. 81-119

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중앙아시아의 對러 수출허브화 : Central Asia’s export hub to Russia after Ukraine crisis : current status and requirements / 현황과 필요조건 박지원 p. 121-143

1월 소요사태 이후 카자흐스탄의 경제정책 방향과 시사점 = Kazakhstan’s economic policy direction and implications after the January unrest 변현섭 p. 145-179

생리학에서 노동사회학으로 : From physiology to labor sociology : origins and differentiation of biomechanics / 생체역학의 기원과 분화 백승무 p. 181-216

스베틀라나 보임의 오프모던(Off-Modern) 프로젝트 : Svetlana Boym’s off-modern project and architecture of the off-modern / 『오프모던의 건축』을 중심으로 김수환 p. 217-254

경동사 구문 의미와 은유적 의미전이 : Semantics and metaphorical extension of light verb constructions : focusing on the Russian verb DAT’ / 러시아어 동사 ДАТЬ를 중심으로 이수현 p. 255-284

잘못된 어휘 선택으로 인한 '말실수'(речевые ошибки) 연구 : A study of speech errors due to incorrect choice of words : focusing on paronymic verb and synonymic verb in Russian / 러시아어 동원어와 유의어 동사를 중심으로 손현익 p. 285-312

참고문헌 (37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랴자놉스키, 니콜라스⋅스타인버그, 마크. 『러시아의 역사』 상⋅하. 조호연 옮김. 서울: 까치글방, 2011. 미소장
2 흐루셰브스키, 미하일로. 『우크라이나의 역사』 1⋅2. 한정숙⋅허승철 옮김. 경기:아카넷, 2016. 미소장
3 매킨더, 해퍼드. 『심장지대』. 임정관⋅최용환 옮김. 경기: 글항아리, 2022. 미소장
4 브레진스키, 즈비그뉴. 『거대한 체스판』. 김명섭 옮김. 서울: 삼인, 2017. 미소장
5 캐넌, 조지. 『미국 외교 50년』. 유강은 옮김. 서울: 가람기획, 2013. 미소장
6 헌팅턴, 새뮤얼. 『문명의 충돌』. 이희재 옮김. 경기: 김영사, 2016. 미소장
7 Bernsand, Niklas and Tornquist-Plewa, Barbara(ed.). Cultural and Political Imaginaries in Putin’s Russia. Leiden: Brill, 2019. 미소장
8 Burns, William. The Back Channel. New York: Random House, 2019. 미소장
9 D’anieri, Paul. Ukraine and Russia.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9. 미소장
10 Clover, Charles. Black Wind, White Snow. New Haven and London: Yale University Press, 2016. 미소장
11 Dugin, Alexander. Eurasian Mission. London: Arktos, 2014. 미소장
12 Laruelle, Marlene. Russian Eurasianism. Washington: Woodrow Wilson Center Press, 2008. 미소장
13 Millerman, Michael. Inside “Putin’s Brain”. Montreal: Millerman School, 2022. 미소장
14 Pipes, Richard. Russia Under the Old Regime. New York: Scribners, 1974. 미소장
15 Plokhy, Serhii. The Origin of the Slavic Nation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 미소장
16 Plokhy, Serhii. Lost Kingdom. New York: Basic Books, 2017. 미소장
17 Plokhy, Serhii. The Gates of Europe. New York: Basic Books, 2021. 미소장
18 Reid, Anna. Borderland. New York: Basic Books, 1997. 미소장
19 Stent, Angela. Putin’s World. New York: Twelve, 2019. 미소장
20 Trenin, Dmitri. Russia. Cambridge: Polity Press, 2019. 미소장
21 Tsygankov, Andrei. Russia’s Foreign Policy. Lanham: Rowman&Littlefield, 2019. 미소장
22 Караганов, Сергей. Россия и мир. Москва: Издательство Аст, 2008. 미소장
23 Цымбурский, Вадим. Конъюнктуры Земли и Времени. Москва: Издательство Европа, 2011. 미소장
24 Mearsheimer, John. “Why the Ukrainian Crisis Is the West’s Fault.” Foreign Affairs(September-October 2014). 미소장
25 Mezhuev, Boris. “Island Russia and Russia’s Identity Politics.” Russia in Global Affairs, No. 2(April-June 2017). 미소장
26 Mezhuev, Boris. “Civilizational Realism.” Russia in Global Affairs, No. 4(October-December 2018). 미소장
27 Mezhuev, Boris. “Civilizational Indifference.” Russia in Global Affairs, No. 4 (October-December 2022). 미소장
28 Kortunov, Andrey. “The End of Diplomacy? Seven Glimpses of the New Normal.” https://russiancouncil.ru/en/analytics-and-comments/analytic s/the-end-of-diplomacy-seven-glimpses-of-the-new-normal/(검색일:2022.10.11). 미소장
29 Torbakov, Igor. “Towards Island Russia.” http://www.eurozine.com/towards-isla nd-russia/(검색일:2022.11.15). 미소장
30 Дугин, Александр. "Большая игра на Украине: Геополитический анализ.”https://tsargrad.tv/articles/bolshaja-igra-na-ukraine-geopoliticheskijanaliz-aleksandra-dugina_508534(검색일: 2022.10.26). 미소장
31 Дугин, Александр. “Украина: моя война. Геополити ческий дневник.” www.rulit.me/boo ks/ukraina-moya-vojna-geopoliticheskij-dnevnik-read-395877-1.html (검색일: 2022.10.20). 미소장
32 Караганов, Сергей. : “Первые контуры Большой Евразии.”https://russiancou ncil.ru/analytics-and-comments/comments/pervye-kontury-bolshoy-evr azii/(검색일: 2022.11.2). 미소장
33 Караганов, Сергей,“Мир находится в предвоенном состоянии.” https://globalaffairs.r u/articles/mir-nahoditsya-v-predvoennom-sostoyanii/ (검색일: 2022.11.3). 미소장
34 Караганов, Сергей,“From East to West, or Greater Eurasia.”https://eng.globalaffairs.ru/articles/from-east-to-west-or-greater-eurasia/(검색일: 2022.11.2). 미소장
35 Караганов, Сергей,“Russia cannot afford to lose, so we need a kind of a victory.”www.n ewstatesman.com/world/europe/ukraine/2022/04/russia-cannot-afford-t o-lose-so-we-need-a-kind-of-a-victory-sergey-karaganov-on-what-puti n-wants(검색일: 2022.11.5). 미소장
36 Путин, Владимир. “Об историческом единстве русских и украинцев.” http://kremlin.ru/events/president/news/66181 (검색일 : 2022.10.3). 미소장
37 Цымбурский, Вадим. “Остров Россия”, https://archipelag.ru/ru_mir/ostrov-ru s/cymbur/island_russia/(검색일: 2022.11.10).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