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 학문의 개념 변화(지식 습득)를 인식론적 관점에서 탐색해 보는 것이었다. 연구의 내용을 정리하면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교육자들이 미술이라는 학문의 정체성과 가치에 대한 깊은 이해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그래야 학생들에게 미술적 개념에 대하여 설득력 있게 설명할 수 있다. 둘째, 미술교육자들이 오개념에 대한 인식론적 이해가 필요하다.

학습자들이 가지고 있는 인식론적 장애도 지식이다. 또한 학생들이 인식론적 전환을 가지는 것 자체가 쉽지 않은 일이다. 그럼에도 그러한 장애를 알고 극복하는 것이 학습의 핵심(Cornu, 1991)이라는 사실을 학생들이 인지하고 극복하도록 고무해야 한다. 셋째, 인식론적 관점을 전환시킬 수 있는 방법들을 습득하고 있어야 한다. 구체적인 방법으로 ‘인식론적 프레이밍’, ‘인지 갈등 상황’, ‘전형적 인식 상황’과 ‘결정적 예’ 등이 있다. 학문적 사고의 습득 과정에서 인식론적 장애가 발생하며, 이는 불가피한 것이고, 필수적인 것이다(Bachelard, 1970/1991). 새로운 학문적 사고는 기존의 모순적 사고를 버리고, 새로운 무모순적 사고를 습득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사고가 기존의 사고를 포용하여 확장되는 것이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미술적 오개념에 대한 인식론적 탐구 = A study on the misconception of art by epistemological view 김황기 p. 1-18

자화상에 나타난 청소년의 자아 인식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A narrative exploration of adolescents' self-awareness in self-portrait : focusing on multicultural art education / 다문화 미술교육을 중심으로 박상현, 김선아 p. 19-46

노인 학습자를 위한 미술교육 프로그램 요구분석 = Needs analysis of art education programs for elderly learners 서윤아, 김형숙 p. 47-66

직무 스트레스를 경험한 저경력 초등교사의 회복탄력성을 위한 미술치료 질적 사례 연구 = A qualitative case study of art therapy for resilience for an early career elementary school teacher experiencing work stress 송연아, 한경아 p. 67-92

슈타이너와 듀이의 예술론에 기초한 교과의 예술적 구성과 운영 = Logic of artistic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subjects based on the art theory of Steiner and Dewey 옥영희 p. 93-116

자기결정력 향상을 위한 발달장애 청소년 미술교육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A qualitative case study on art education for improving self-determination of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이수진, 김선아 p. 117-145

박물관에서의 OER(Open Educational Resources) 활용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A case study of a program using OER in museum : focusing on cultivating digital literacy / 디지털 리터러시 함양을 중심으로 이주연, 윤혜진, 김수인 p. 147-177

수업 사례로 본 공공미술교육의 방법과 가치 탐색 : Exploring the method and value of public art education through class examples : focusing on new genre public art project classes / 뉴장르 공공미술 프로젝트 수업을 중심으로 장현주 p. 179-206

상상을 통한 총체적 사고과정의 예술 장르 통합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래밍 전략 : Based on whole thinking through imagination strategies for programming in arts genre integrated arts & culture education program : centered on Gaston Bachelard's material imagination / 가스통 바슐라르의 물질적 상상력을 중심으로 정희경 p. 207-226

참고문헌 (32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태욱, 정용재 송진웅 (2008). 전형적 인식 상황과 결정적 예의 특징: 힘과 역학적 에너지 전환에 대한 중등학생의 생각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6), 579-591. 미소장
2 김황기(2016). 일곱 번의 만남: 자신의 방식으로 미술작품 감상하기. 미술교육논총 30(4). 1-22. 미소장
3 이정모(2001). 인지 심리학. 서울: 아카넷. 미소장
4 조광희 (2005). 과학 수업에서 예의 사용과 학생의 개념 이해: 중학교 역학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미소장
5 Bachelard, G. (1991). 부정의 철학 (김용선 역). 서울: 인간사랑. (원저 1970 출판) 미소장
6 Berland, L. K, & Reiser, B. J. (2011). Classroom communities' adaptations of the practice of scientific argumentation. Science Education, 95(2), 191-216. 미소장
7 Berry, J. W. (1997). Immigration, acculturation and adaption. Applied Psychology: an International Review, 46. 5-34. 미소장
8 Chi, M., James H., Slotta, D. & De Leeuw. N. (1994). From Things to Processes: A Theory of Conceptual Change for Learning Science Concepts. Learning and Instruction, 4. 27-43. 미소장
9 Chi, M. T. & Roscoe, R. D. (2002). The processes and challenges of conceptual change. In M. Limón, & L. Mason (Eds.), Reconsidering conceptual change: Issues in theory and practice. Dordrecht: Kluwer Academic Publishers. 미소장
10 Chi, M, & Hausmann. R. (2003). Do Radical Discoveries Require Ontological Shifts?” In L. Shavinina & R. Sternberg(Eds.), International Handbook on Innovation. (pp. 430-44). New York: Elsevier. 미소장
11 Cornu, B. (1991). Limit. In D. Tall (Ed.), Advanced mathematical thinking (pp. 153-166). Kluwer Academic Publisher. 미소장
12 diSessa, A. A. (1993). Toward an epistemology of physics. Cognition and Instruction, 10, 105-225. 미소장
13 Dreyfus, A., Jungwirth, E., & Eliovitch, R. (1990). Applying the cognitive conflict strategy for conceptual change some implications, difficulties, and problems. Science Education, 74(5), 555-569. 미소장
14 Driver, R., Guesne, E., & Tiberghien, A. (1985). Children's ideas in science. Milton Keynes, Philadelphia: Open University Press. 미소장
15 Druyan, S. (1997). Effect of the kinesthetic confliction promoting scientific reasoning.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4(10), 1083-1099. 미소장
16 Duit, R. (1991). Students' conceptual frameworks: Consequences for learning science. In S. M. Glynn, R. H. Yeany, & B. K. Britton (Eds.), The psychology of learning science, Philadelphia: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미소장
17 Efland, A. (2005). 인지중심 미술교육론 탐구: 교육과정 개발의 새 접근 (강현석, 김선아, 안금희, 이은적, 이자현, 황연주 역). 서울: 교육과학사. (원저 2002 출판) 미소장
18 Greeno, J. G. (2009). A theory bite on contextualizing, framing, and positioning: A companion to Son and Goldstone. Cognition and Instruction, 27(3), 269-275 미소장
19 Hamilton, R. & Duschl, R. (1992). Psychology and epistemology. In R. Duschl, & R. Hamilton (Eds.), Philosophy of science, cognitive psychology, and educational theory and practice (pp. 22-35). Alba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미소장
20 Hammer, D., & Elby, A. (2002). On the form of a personal epistemology. In B. K. Hofre, & P. R. Pintrich (Eds.), Personal epistemology: The psychology of beliefs about knowledge and knowing (pp. 112-125). Mahwah, NJ: Routledge. 미소장
21 Hewson, P. & Hewson, M.(1984). The role of conceptual conflict in conceptual change and the design of science instruction. Instructional Science, 13, 1-13. 미소장
22 Kuhn, D. (1992), Thinking as argument. Harvard Educational Review, 62, 155-178. 미소장
23 Jiménez-Aleixandre, M., Rodriguez, A., & Duschl, R. (2000). "Doing the lesson" or "doing science": Argument in high school genetics. Science Education, 84(6), 757-792. 미소장
24 McLachlan, G., & Reid, I. (1994). Framing and interpretation. OR: Melboume Univ. Press. 미소장
25 Niaz, M. (1995). Cognitive conflict as a teaching strategy in solving in chemistry problems: Journal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2, 959-970. 미소장
26 Polanyi, M. (1963). 자유의 논리 (한동섭 역).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원저 1951 출판) 미소장
27 Redish, E. F. (2004). A theoretical framework for physics education research: Modeling student thinking. In E. F. Redish & Vicentini (Eds.), Proceedings of the enrico fermi summer school course (pp. 66-76). CLVI, Italy: Italian Physical Society. 미소장
28 Rumehart, D. E. (1980). Schemata: The building block of cognition, In R. Spiro, B. Bruce, W. Brewer (Eds.). Theoretical issues in reading comprehension. NJ: Lawrence Erlbaum. (pp. 34-40). 미소장
29 Strike, K. A., & Posner, G. J. (1982). Conceptual change and science teaching. European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4(3), 231-240. 미소장
30 Strike, K. A. & Posner, G. J. (1992). A revisionist theory of conceptual change. Richard, A. D. & Richard, J. H. (Eds.), Philosophy of science, cognitive phycology, and educational theory and practice (pp. 45-56). Albany: State of Uni. of N. Y. Press. 미소장
31 van de Sande, C., & Greeno, J.(2012). Achieving alignment of perspectival framings in problem-solving discourse.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s, 21(1), 1-44 미소장
32 Williams, M. (2001). Problems of Knowledge: A Critical Introduction to Epistemology.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