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1
실감형 미디어아트의 프레즌스(Presence)가 감정반응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제주 아르떼 뮤지엄을 중심으로 = The effect of presence in realistic media art on emotional responses and behavioral intentions : focusing on Jeju Arte Museum / 문수민 1
목차 1
Abstract 2
1. 서론 3
2. 이론적 배경 3
2.1. 실감형 미디어아트 3
2.2. 체험경제이론 3
2.3. 프레즌스 4
2.4. 감정반응 4
2.5. 행동의도 4
3. 연구방법 5
3.1. 연구모형 5
3.2. 연구가설 5
3.3. 조사설계 및 측정문항 5
4. 실증분석 6
4.1. 신뢰도 분석 6
4.2. 기술통계 분석 7
4.3. 상관관계 분석 7
4.4. 연구가설의 검증 7
4.4.1. 직접효과 7
4.4.2. 조절효과 8
5. 결론 10
참고문헌 10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강재완,“관광지의 모바일 증강현실 기술과 경험적 가치 및 긍정적 회상의 영향 관계”, 관광학연구 40(8), 2016, pp.193-203. | 미소장 |
2 | 계보경,“증강현실 기반학습에서 매체특성, 현존감, 학습몰입, 학습효과의관계 규명”,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 미소장 |
3 | 김성곤·이선호·이종호,“음식관광 참여활동, 관광만족도, 행동의도 간의 구조적인 인과관계 –관광만족도의 매개효과-, 관광학연구, 41(7), 2017, pp.11-26. | 미소장 |
4 | 김성태·이종환, ”지역축제의 체험적요소, 관광목적지 이미지, 관광만족, 그리고 행동의도 간의 영향관계 분석 -내국인관광객과 방한중국관광객의인식비교를 중심으로-, 관광연구저널, 26(4), 2012, pp.5-25. | 미소장 |
5 | 김서윤·박영아, “증강현실 체험, 실재감, 방문 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에 관한 연구: 방문 경험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마케팅논집, 27(4), 2019, pp.49-64. | 미소장 |
6 | 김영남·오상훈·서용건, “플로우 이론을 적용한 테마파크 방문객 만족도 평가 연구”, 관광학연구, 36(5), 2012, pp.135-155. | 미소장 |
7 | 박진희,“증강현실 기술을 활용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체험경제적 요인이 관광객의 만족도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 미소장 |
8 | 백경화·송슬기·송정아, “실감미디어 기반의 사용자경험 특징과 의미에 관한 융합연구”,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8(2), 2020, pp.149-16 | 미소장 |
9 | 이금실, “가상현실 기반 관광체험미디어의 어포던스 특성이 사용자 경험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저널, 31(3), 2017, pp.105-118. | 미소장 |
10 | 이미혜. “축제 체험요소에 따른 감정반응 연구”. 관광경영연구, 20(2), 2016, pp.115-134. | 미소장 |
11 | 이항아·김이태, “스마트관광 가상현실체험요소가 관광만족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현존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관광레저연구, 315), 2018, pp.53-67. | 미소장 |
12 | Burkitt, I.,“Decentring Emotion Regulation: From Emotion Regulat ion to Relational Emotion”, Emotion Review, 10(2), 2018, pp.167-173. | 미소장 |
13 | Chang, S. H., & Chih, W. H., & Liou, D. K., & Hwang, L. R., “T he Influence of Web Aesthetics on Customers’ PAD”, Computers i n Human Behavior, 36, 2014, pp.168-178. | 미소장 |
14 | Heeter, C.,“Being There: The Subjective Experience of Presenc e”, Presence Teleoperators and Virtual Environments, 1(1), 1992, p p.262-271. | 미소장 |
15 | Heeter, C., “Communication Research on Consumer VR”, Comm unication in the Age of Virtual Reality, 1995, pp.191-218. | 미소장 |
16 | Rather, R. A., & Hollebeek, L. D., & Islam, J. U.,“Tourism-Base d Customer Engagement: The Construct, Antecedents, and Conseque nces”, The Service Industries Journal, 39(7-8), 2019, pp.519-540. | 미소장 |
17 | Pine, B. J., & Gilmore, J. H., “Welcome to the Experience Econo my”, Harvard Business Review, 76(4), 1998, pp.97-105.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9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