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范曉蕾는 일련의 연구에서 현대중국어 방언 자료를 근거로 중국어 실정에 부합하는 중국어 양상 관련 개념공간을 새롭게 구축한 바 있다. 본고는 해당 연구를 고대중국어 조동사의 사용 현황에 적용시켜 타당성을 검토해 보았다. 분석 결과 다음의 결론을 얻었다. 첫째, 참여자 외재 가능(participant-external possibility)의 내부를 분리하여, 중성류 [조건]과 주어지향류 [능력]을 묶어 하나의 상위범주로 구분하고, [도의허가], [조건허가]를 다른 하나의 상위범주로 구분할 수 있다. 분리된 [조건가능]만이 [인식가능]과 연관되며 나머지 세 기능과는 직접적으로 관련되지 않는다. 둘째, [내재능력]의 하위개념을 세분하고, 그 중 총칭적 행위의 능력을 나타내는 [항상능력]을 [조건필연]-[예측성/계획성 미래]의 경로에 연계시킨다. 이는 특정적 행위의 능력을 나타내는 [특정능력]은 [조건필연]-[미래]의 발전 경로와 직접적인 관련성이 없다고 보는 관점이다. 이러한 방식은 [조건필연], [미래] 등의 기능이 있는 ‘會’, ‘解’ 등의 발전 경로를 설명하거나 ‘能’, ‘可’, ‘得’ 등 능력류 조동사들이 나타내는 능력 의미의 발전 과정을 보다 세밀하게 나누어 설명함 있어 매우 유용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일차세계대전후, 양계초의 사상전환과 세계 국가론 = Liang Qichao's changeover in thought and view of world order after the World War Ⅰ 오병수 p. 289-314
의미지도모형의 관점에서 본 고대중국어 능력류 조동사의 발전 = The evolution of auxiliary verbs of ability in ancient Chines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emantic map model 윤순일 p. 3-21

현대중국어 '(S)+Aasp+O' 구문의 결합 양상 및 의미 확장 = The study on combinatorial patterns and meaning extensions of '(S)+Aasp+O' construction 이아형, 정인정 p. 23-54
基於意象圖式的現代漢語動詞'走'和'跑'的多義體系分析 = Polysemy analysis of modern Chinese verbs '走(walk)' and '跑(run)' based on image schema 鍾慧賢 p. 55-73
反意外範疇形式的漢韓比較 : A comparison between Chinese and Korean in the form of counter-mirativity category : based on the Chinese counter-mirativity marker ‘Háibúshì' / 以漢語反意外標記"還不是"爲主 單清叢 p. 75-96
과학과 미신 : Science and superstition : a study on disease and healing in the Han period through Fengsutongyi(風俗通義) / 『풍속통의(風俗通義)』「괴신(怪神)」편을 통해 본 질병과 치유 유강하 p. 97-119

哪吒 서사 이미지의 원형과 변형 과정 고찰. A study on the origins and transformation process of Nezha narrative image :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毗沙門天王 and 李靖 / 1, 毗沙門天王과 李靖의 관계를 중심으로 安正燻 p. 121-143
명대 동물 조공의 문학적 재현과 의미에 대한 탐구 : A study on the literary representation and meaning of animal tributes in the Ming Dynasty : focusing on "Shizifu(獅子賦)" and "Ruiyingqilinsong(瑞應麒麟頌)" / 「사자부」와 「서응기린송」을 중심으로 송정화 p. 145-178
서양의 唐詩 번역 양상 고찰 : A study on the translation of Tang poems in the West : focusing on the selections of Tang poems translated into English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 20세기 전반기 英譯 唐詩選集을 중심으로 최석원 p. 179-198
(A) critical note on Savage Exchange: Han Imperialism, Chinese Literary Style, and the Economic Imagination (By Tamara T. Chin. Harvard-Yenching Institute Monograph Series, vol. 94. Cambridge, Mass.: Harvard University Asia Center, 2014. Pp. xvi + 363. $49.95) Kim, Jinsu p. 199-218
중국 음식배달 플랫폼에서의 '노동'문제 : A study on the "labor" issue in the Chinese food delivery platform industry : with a focus on the incidents covered by the China Labor Bulletin / '중국노동통신'에 보고된 사례를 중심으로 김정수, 김남희 p. 219-240
『唐書釋音』의 활용을 위한 기초적 연구 : The basic research for utilization of Tangshu Shiyin : discuss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edition of Xin Tangshu quoted to Tangshu Shiyin / 『당서석음』이 참고한 『新唐書』의 版本 상의 특징 홍성민 p. 243-262
근대적 전환인가, 전통의 변용인가 : Modern or tradition? : the relations between Korean-Sino in the late 19th century through changing document formats / 문서형식의 변천을 통해 본 19세기 말 조청 관계 金奉俊 p. 263-288
20세기 전반 중국 기독교 음악의 '현지화' 과정 및 그 영향 = The changes and influences of Christian music localization in China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栗夢真, 朱英 p. 315-339
중국이 그려낸 북한여성상 : The images of the DPRK women in ACWF's magazines : focused on Modern Women (『現代婦女』) and New Chinese Women (『新中國婦女) in the early PRC / 한국전쟁 전후 중국 부련(婦聯) 간행물 『現代婦女』와 『新中國婦女』의 북한 관련 기사를 중심으로 장수지 p. 341-375
『荀子』 禮論의 보편성 및 그 원리에 대한 비판적 분석 = An analysis of the universality and principles of the theory of Li(禮) in Xunzi 배다빈 p. 379-399

순자 철학에서 의지 개념을 도입하는 것에 대한 소고 = Solving the Xun-Zi's moral dilemma with the concept of will 윤태양 p. 401-415

참고문헌 (41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박성하, 「양태조동사 `能’의 하위분류 및 주어와의 공기특성 분석」, 『중어중문학』 61, 2015. 미소장
2 최재영, 「중국어 조동사 연구」, 『중국연구』 43, 2008. 미소장
3 白曉紅, 「先秦漢語助動詞系統的形成」, 『語言研究論叢(第七輯)』, 北京: 語文出版社, 1997. 미소장
4 段業輝, 『中古漢語助動詞研究』, 南京: 南京師範大學出版社, 2002. 미소장
5 范曉蕾, 「從漢語方言中的多義情態詞看“能性”情態概念的語義關聯」, 北京大學碩士學位論文, 2009. 미소장
6 范曉蕾, 「以漢語方言為本的能性情態語義地圖」, 『語言學論叢』 第43輯, 55-100, 2011. 미소장
7 范曉蕾, 「語義演變的共時擬測與語義地圖:基於「能性情態語義地圖」的討論」, 『語言學論叢』 第46輯, 45-70, 2012. 미소장
8 范曉蕾, 「助動詞「會」情態語義演變之共時構擬——基於跨語言/方言的比較研究」, 『語言與語言學』 17(2), 2016. 미소장
9 范曉蕾, 「語義地圖的解析度及表征方式——以“能力義為核心的語義地圖”為例」, 『世界漢語研究』 31(2), 2017. 미소장
10 范曉蕾, 『漢語情態詞的語義地圖研究』, 商務印書館, 2020. 미소장
11 范曉蕾, 「“會”和“能”的能力義辨析」, 『語言教學與研究』 第5期, 2021. 미소장
12 蔣紹愚, 『從助動詞“解”“會”“識”的形成看語義的演變』, 『漢語學報』 1, 2007. 미소장
13 管燮初, 『西周金文語法研究』, 北京: 商務印書館, 1981. 미소장
14 黃天樹, 「殷墟甲骨文助动词补说」, 『古漢語研究』 4, 2008. 미소장
15 李 明, 『漢語助動詞的歷史演變研究』, 北京: 商務印書館, 2016. 미소장
16 劉 利, 『先秦漢語助動詞研究』, 北京: 北京師範大學出版社, 2000. 미소장
17 潘秋平, 「語義地圖和古漢語研究」, 北京大學中國語言學研究中心學術報告, 2010. 미소장
18 潘秋平, 「新加坡華語助動詞“會”分析框架之建立」, 『華文教學與研究』 第4期, 2018. 미소장
19 潘秋平⋅張 敏, 「語義地圖模型與漢語多功能語法形式研究」, 『當代語言學』 第4期, 2017. 미소장
20 彭利貞, 『現代漢語情態研究』, 北京: 中國社會科學出版社, 2007. 미소장
21 汪維輝, 『東漢一隋常用詞演變研究』, 南京: 南京大學出版社, 2000. 미소장
22 太田辰夫, 『中國歷史文法(修訂譯本)』(蔣紹愚⋅徐昌華 譯), 北京: 北京大學出版社, 2003. 미소장
23 巫雪如, 『先秦情態動詞研究』, 北京: 中西書局, 2018. 미소장
24 謝佳玲, 「漢語的情態動詞」, 台灣清華大學語言學研究所博士學位論文, 2002. 미소장
25 謝佳玲, 「漢語情態詞的語意界定」, 『中國語文研究』 21(1), 2006. 미소장
26 楊伯峻⋅何樂士, 『古漢語語法及其發展』, 北京: 語文出版社, 1992. 미소장
27 姚振武, 『上古漢語語法史』, 上海: 上海古籍出版社, 2015. 미소장
28 尹淳一, 「≪祖堂集≫情態動詞及其語法化研究」, 復旦大學博士學位論文, 2014. 미소장
29 張 定, 「漢語多功能語法形式的語義圖視角」, 社會科學院博士學位論文, 2010. 미소장
30 張 定, 「語義圖模型與漢語幾個情態詞的語義演變」, 『漢語史學報』 第十三輯, 2013. 미소장
31 張玉金, 『西周漢語語法研究』, 北京: 商務印書館, 2004. 미소장
32 朱德熙, 『語法講義』, 北京: 商務印書館, 1982. 미소장
33 朱冠明, 『≪摩訶僧祗律≫情態動詞研究』, 北京: 中國戲劇出版社, 2008. 미소장
34 Bybee, Joan, Revere Perkins, and William Pagliuca. 1994. The Evolution of Grammar: Tense, Aspect, and Modality in the Languages of the World.Chicago and London: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미소장
35 Bernd Heine & Taniia Kuteva. 2002. World Lexicon of Grammaticalization.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미소장
36 Lyons, J.1977. Semantic(V.2).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미소장
37 Palmer, F. R. 1986. Mood and Modality(1st edition).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미소장
38 Palmer, F. R. 2001. Mood and Modalit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미소장
39 Sweetser, Eve. 1990. From Etymology to Pragmatics: Metaphorical and Cultural Aspects of Semantic Structure.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미소장
40 Elizabeth Closs Traugott & Richard B. Dasher. Regularity in Semantic Change. Land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미소장
41 van der Auwera, J. & V. Plungian. 1998. Modality’s semantic map, Linguistic Typology 2: 79-124.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