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박성하, 「양태조동사 `能’의 하위분류 및 주어와의 공기특성 분석」, 『중어중문학』 61, 2015. | 미소장 |
2 | 최재영, 「중국어 조동사 연구」, 『중국연구』 43, 2008. | 미소장 |
3 | 白曉紅, 「先秦漢語助動詞系統的形成」, 『語言研究論叢(第七輯)』, 北京: 語文出版社, 1997. | 미소장 |
4 | 段業輝, 『中古漢語助動詞研究』, 南京: 南京師範大學出版社, 2002. | 미소장 |
5 | 范曉蕾, 「從漢語方言中的多義情態詞看“能性”情態概念的語義關聯」, 北京大學碩士學位論文, 2009. | 미소장 |
6 | 范曉蕾, 「以漢語方言為本的能性情態語義地圖」, 『語言學論叢』 第43輯, 55-100, 2011. | 미소장 |
7 | 范曉蕾, 「語義演變的共時擬測與語義地圖:基於「能性情態語義地圖」的討論」, 『語言學論叢』 第46輯, 45-70, 2012. | 미소장 |
8 | 范曉蕾, 「助動詞「會」情態語義演變之共時構擬——基於跨語言/方言的比較研究」, 『語言與語言學』 17(2), 2016. | 미소장 |
9 | 范曉蕾, 「語義地圖的解析度及表征方式——以“能力義為核心的語義地圖”為例」, 『世界漢語研究』 31(2), 2017. | 미소장 |
10 | 范曉蕾, 『漢語情態詞的語義地圖研究』, 商務印書館, 2020. | 미소장 |
11 | 范曉蕾, 「“會”和“能”的能力義辨析」, 『語言教學與研究』 第5期, 2021. | 미소장 |
12 | 蔣紹愚, 『從助動詞“解”“會”“識”的形成看語義的演變』, 『漢語學報』 1, 2007. | 미소장 |
13 | 管燮初, 『西周金文語法研究』, 北京: 商務印書館, 1981. | 미소장 |
14 | 黃天樹, 「殷墟甲骨文助动词补说」, 『古漢語研究』 4, 2008. | 미소장 |
15 | 李 明, 『漢語助動詞的歷史演變研究』, 北京: 商務印書館, 2016. | 미소장 |
16 | 劉 利, 『先秦漢語助動詞研究』, 北京: 北京師範大學出版社, 2000. | 미소장 |
17 | 潘秋平, 「語義地圖和古漢語研究」, 北京大學中國語言學研究中心學術報告, 2010. | 미소장 |
18 | 潘秋平, 「新加坡華語助動詞“會”分析框架之建立」, 『華文教學與研究』 第4期, 2018. | 미소장 |
19 | 潘秋平⋅張 敏, 「語義地圖模型與漢語多功能語法形式研究」, 『當代語言學』 第4期, 2017. | 미소장 |
20 | 彭利貞, 『現代漢語情態研究』, 北京: 中國社會科學出版社, 2007. | 미소장 |
21 | 汪維輝, 『東漢一隋常用詞演變研究』, 南京: 南京大學出版社, 2000. | 미소장 |
22 | 太田辰夫, 『中國歷史文法(修訂譯本)』(蔣紹愚⋅徐昌華 譯), 北京: 北京大學出版社, 2003. | 미소장 |
23 | 巫雪如, 『先秦情態動詞研究』, 北京: 中西書局, 2018. | 미소장 |
24 | 謝佳玲, 「漢語的情態動詞」, 台灣清華大學語言學研究所博士學位論文, 2002. | 미소장 |
25 | 謝佳玲, 「漢語情態詞的語意界定」, 『中國語文研究』 21(1), 2006. | 미소장 |
26 | 楊伯峻⋅何樂士, 『古漢語語法及其發展』, 北京: 語文出版社, 1992. | 미소장 |
27 | 姚振武, 『上古漢語語法史』, 上海: 上海古籍出版社, 2015. | 미소장 |
28 | 尹淳一, 「≪祖堂集≫情態動詞及其語法化研究」, 復旦大學博士學位論文, 2014. | 미소장 |
29 | 張 定, 「漢語多功能語法形式的語義圖視角」, 社會科學院博士學位論文, 2010. | 미소장 |
30 | 張 定, 「語義圖模型與漢語幾個情態詞的語義演變」, 『漢語史學報』 第十三輯, 2013. | 미소장 |
31 | 張玉金, 『西周漢語語法研究』, 北京: 商務印書館, 2004. | 미소장 |
32 | 朱德熙, 『語法講義』, 北京: 商務印書館, 1982. | 미소장 |
33 | 朱冠明, 『≪摩訶僧祗律≫情態動詞研究』, 北京: 中國戲劇出版社, 2008. | 미소장 |
34 | Bybee, Joan, Revere Perkins, and William Pagliuca. 1994. The Evolution of Grammar: Tense, Aspect, and Modality in the Languages of the World.Chicago and London: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 미소장 |
35 | Bernd Heine & Taniia Kuteva. 2002. World Lexicon of Grammaticalization.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36 | Lyons, J.1977. Semantic(V.2).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37 | Palmer, F. R. 1986. Mood and Modality(1st edition).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38 | Palmer, F. R. 2001. Mood and Modalit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39 | Sweetser, Eve. 1990. From Etymology to Pragmatics: Metaphorical and Cultural Aspects of Semantic Structure.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40 | Elizabeth Closs Traugott & Richard B. Dasher. Regularity in Semantic Change. Land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41 | van der Auwera, J. & V. Plungian. 1998. Modality’s semantic map, Linguistic Typology 2: 79-124.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0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