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중국어과 중등교원 임용고사 출제 경향 및 어학 관련 문항 분석 : 2014학년도~2021학년도 기출문항을 중심으로 = Study on the trend of a secondary Chinese teacher recruitment test and linguistics questions / 고영란 1

목차 1

1. 서론 1

2. 학년도별 출제 문항의 유형과 문항 수, 배점 3

3. 교과교육학과 교과내용학의 출제 비율 5

(1) 교과교육학 7

(2) 교과내용학 10

4. 어학 관련 문항의 영역별 출제 경향과 특징 14

(1) 중국어학개론 15

(2) 중국어문법 17

(3) 중국어작문 20

(4) 일반중국어 22

5. 분석 결과 정리 24

6. 결론 26

參考文獻 28

국문초록 29

Abstract 30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Dubious expertise : 미심쩍은 전문성 : 능몽초(凌濛初) 허구 서사에서 지식, 인식, 진실에 관한 담론들 / discourses on knowledge, recognition, and truth in Ling Mengchu's fiction Kim, Jinsu p. 3-31

보기
유희의 인간, '호모 루덴스'의 시대 : A playful human, the era of 'homo ludens' : the play culture of Wei-jin era through 『Shìshuō Xīnyǔ』 / 『世說新語』를 통해 본 위진의 놀이문화 이영숙 p. 33-68

보기
歐陽修 <朝中措> 다시 읽기 = Rereading Ouyang Xiu's Chao Zhong Cuo : 구양수의 자아 인식과 인생관 변화를 중심으로 이은주 p. 69-96

보기
西北의 로컬리티와 烈女 담론 : The locality of the northwest and the discourse of virtuous woman : a focus on local gazetteers / 地方志를 중심으로 최수경 p. 97-133

보기
중국의 학생 교육 '부담감소(減負)' 정책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burden reduction' policy of student education in China : focusing on the comparison between the 1950s and 1960s and Xi Jinping / 1950~60년대와 시진핑 시기의 비교를 중심으로 강설금 p. 137-171

보기
2000년대 초 대만발 '중국풍(中国风)' 음악의 중국 재현 = Chinese representation of 'Chinese style' music from Taiwan in the early 2000s 김민우 p. 173-204

보기
페마체덴(Pema Tseden)의 '티베트 영화' 연구 = A study of 'Tibet film' by Pema Tseden 안영은 p. 205-234

보기
중국어과 중등교원 임용고사 출제 경향 및 어학 관련 문항 분석 = Study on the trend of a secondary Chinese teacher recruitment test and linguistics questions : 2014학년도~2021학년도 기출문항을 중심으로 고영란 p. 237-267

보기
한중 ‘sharp-blunt’ 의미장 대조 분석 : A comparative study of the sharp-blunt semantic field of Korean and Chinese from the perspective of lexical typology / 모스크바 어휘유형론(MLexT)의 관점에서 고은미 p. 269-295

보기
한국의 중국어 교육 연구 현황과 과제 = Current status and challenges of Chinese language education research in South Korea 김석영 p. 297-322

보기
고대중국어 어법 연구의 회고와 전망 : A review and prospects of ancient Chinese grammar research : focusing on the research situation in Korea and China / 한국과 중국의 연구상황을 중심으로 박원기 p. 323-349

보기
정보구조의 관점에서 본 고대 중국어 개사 '以' 목적어의 이동과 생략 = The movement and omission of the object of ancient Chinese preposition 'yi(以)' from the perspective of information structure 박향란 p. 351-372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