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벤담의 지적 상속인으로서 밀은 벤담의 공리주의를 비판적으로 계승·발전시켰다. 밀은 벤담의 쾌락주의를 수정하여 ‘세련된 심리적 쾌락주의’와 ‘질적 쾌락주의’로 발전시키고, 공리의 원리에 대한 간접적 증명을 통하여 공리주의에 대한 이론적 정당화를 강화하였다. 또한 그는 벤담의 외적 제재 이론을 ‘내적 제재’ 이론으로 보완하고, 공리의 원리에 ‘제재의 적절성’ 기준을 추가하여 공리주의 도덕의 기준을 더 분명하게 제시하였다. 밀은 공리주의에 대해서 제기되는 역직관성 반론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차 원리로서 도덕 규칙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공리주의 체계 안에 ‘정의와 권리’의 자리를 마련함으로써 상식 도덕과 조화를 이루는 공리주의 이론을 제시하였다. 나아가 그는 개인의 자유와 개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법과 여론에 의한 제재가 정당하게 행사될 수 있는 범위를 ‘타인 관련 해악’으로 한정하였다. 밀은 결과주의 윤리 이론으로서 공리주의의 특징을 명료하게 밝히고 공리주의와 상식 도덕과의 조화를 꾀함으로써 공리주의에 대한 반감을 완화하였으며, 공리주의를 의무론, 덕윤리와 경쟁하는 대표적 규범 윤리 이론으로 자리 잡게 하였다.

As Bentham's intellectual heir, Mill critically inherited and developed Bentham's utilitarianism. Mill modified Bentham's hedonism and developed it into 'sophisticated psychological hedonism' and 'qualitative hedonism'. And he supplemented the theoretical justification for utilitarianism through indirect proof of the principle of utility. In addition, he complimented Bentham's theory of external sanctions with 'internal sanctions' and suggested the standard of utilitarian morality more clearly by adding the criterion of 'appropriateness of sanction' to the principle of utility. Mill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moral rules as secondary principles to resolve the counterintuitiveness objection raised against utilitarianism, and put forward a utilitarian theory that harmonized with commonsense morality by providing a place for 'justice and rights' in the utilitarian system. Furthermore, to secure individual freedom and individuality, he limited the scope in which sanctions by law and public opinion can be legitimately exercised to 'harm to others'. Mill clarified the characteristics of utilitarianism as a consequentialist ethical theory, mitigated antipathy against utilitarianism by seeking harmony between utilitarianism and commonsense morality, and established utilitarianism as a prevailing normative ethical theory that competes with deontology and virtue ethic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미래사회 대비를 위한 고등학교 인성교육 방안 = A study on high school character education for future society 이혜진, 윤영돈 p. 1-35

도덕과 세계시민교육의 접근법에 관한 연구 = Approaches to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South Korea's secondary moral education textbooks : 2009 개정 및 2015 개정 중·고등학교 도덕과 교과서를 중심으로 김형렬, 김현아, 주재형 p. 37-66

공간의 관점에서 본 온라인 교실 공간의 비장소적 의미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non-place meaning of online classroom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pace 전성은, 변순용 p. 67-87

인류의 진화와 포스트휴머니즘 담론에 대한 논고 : A study on human evolution and posthumanistic discourse : focusing on transhumanism and Xunzi's view of humanity / 트랜스휴머니즘과 순자의 인간관을 중심으로 김진아 p. 89-113

J.S. 밀의 공리주의와 자유주의 = J.S. Mill's utilitarianism and liberalism 류지한 p. 115-146

소크라테스 윤리 사상의 규범 윤리적 재구성 = The normative ethical reorganization of Socrates' ethical thoughts 김상돈 p. 147-174

흄의 자연주의와 덕 윤리 = Hume's naturalism and virtue ethics 변영진 p. 175-197

하버마스와 롤스의 심의민주주의 연구 = A study on deliberative democracy in Habermas and Rawls 조주현 p. 199-227

분배 정의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distributive justice : focus on Nozick and Walzer / 노직과 왈처를 중심으로 허윤회 p. 229-258

2020년대 중반 이후 통일교육의 지향 = The direction of unification education after the mid-2020s 박찬석 p. 259-281

인공지능(AI)의 학습용 데이터 윤리 프레임워크 개발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developing the ethical framework of AI learning data 김정남, 방은찬, 장희영, 송선영 p. 283-309

비행 청소년의 비도덕적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The narrative inquiry on immoral experiences of a juvenile delinquent 하진봉 p. 311-3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