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강경석, 김철구 (2007). 학교장의 감성리더십과 교사의 학교조직몰입과의 관계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25(4), 1-24. |
미소장 |
2 |
강미영, 김혜리, 어성연 (2020). 어린이집 원장의 리더십 및조직풍토가 보육교사 수업 전문성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7(3), 83-107. |
미소장 |
3 |
강연실 (2019). 보육교사의 직무환경과 임파워먼트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4 |
고영미, 이금란 (2004). 유치원의 전문성 지원 환경과 교수효능감과의 관계. 교육과학연구, 35(1), 21-37. |
미소장 |
5 |
고현, 신명선 (2014). 유아교사가 인식한 원장의 감성리더십이 교사 직무만족 및 헌신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1(1), 249-268. |
미소장 |
6 |
곽미라 (2018). 보육교사의 직무환경이 교직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보육헌신과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 서울한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7 |
권성민 (2013). 유치원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유아교사의직무만족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8 |
김경옥 (2009). 몬테소리 유치원 교사 직무만족도와 교사-유아 간 상호작용과의 관계.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9 |
김경철, 최인숙, 홍정선 (2007). 어린이집의 전문성 지원환경과 교사효능감과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12(4), 115-135. |
미소장 |
10 |
김길한 (2017). 보육교사의 직무태도와 보육서비스품질의관계: 조직사회자본의 매개효과분석.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11 |
김난숙 (2015). 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교사효능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관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12 |
김대원, 이소희 (1997). 영아보육시설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종사자의 요구분석: 질적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10, 231-257. |
미소장 |
13 |
김덕하 (2009). 직장⋅가정간 갈등이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무환경의 조절효과 연구: 강서구 어린이집 교사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4 |
김명희 (2011). 학교장의 감성리더십과 교사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미치는 LMX의 매개효과.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15 |
김미정 (2007). 유아교사의 의사결정 참여정도와 교사효능감.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6 |
김범준 (2000). 교사들의 직무만족도 관련변수에 대한 meta 분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17 |
김병준 (2018).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소진의 매개효과 검증. 우석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18 |
김봉남 (2015). 영유아 보육서비스 재이용 의사결정 요인에관한 연구. 서남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19 |
김성규 (2010). 초등학교 교장의 감성리더십: 교사문화와 직무만족 및 학생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20 |
김수희 (2000). 민간보육시설 보육교사의 근무환경과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사회복지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1 |
김시연 (2014). 유아교사의 행복감, 교직에 대한 열정, 직무만족도, 교사효능감 및 교사-유아상호작용간의 구조분석. 광주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22 |
김연명, 박상희 (2012). 공공복지인가, 민간복지인가. 비판사회정책, 36, 7-38. |
미소장 |
23 |
김영미 (2017). 보육교사의 임파워먼트와 원장의 서번트리더십이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도를 포함한 경로모형 분석. 성산효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24 |
김영분 (2010). 영유아 보육시설유형에 따른 보육교사의 근무환경과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인천시 영유아보육시설 보육교사를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5 |
김영은, 신정숙 (2012). 원장의 감성리더십이 보육교사의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2(4), 189-207. |
미소장 |
26 |
김유진 (2003). 영아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7 |
김은설, 이진화 (2017). 유치원 교사의 직무환경지각과 직업만족 간의 관계. 입법과 정책, 9(1), 349-370. |
미소장 |
28 |
김정근 (2021). 일반보육교사와 장애통합보육교사의 직무환경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비교연구. 협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29 |
김정림, 조혜진 (2012). 어린이집 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감성리더십과 조직문화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8(1), 65-83. |
미소장 |
30 |
김정미 (2001). 보육시설 영아반 실내⋅외 환경 실태와 교사인식에 관한 연구: 대전시 보육시설 중심으로. 한남대학교 지역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31 |
김정원, 민희숙 (2013). 유아교육기관장의 도덕적 리더십이유아교사의 자율성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33(2), 237-257. |
미소장 |
32 |
김정희 (2007). 원장의 리더십과 유아교사의 임파워먼트, 조직효과성에 관한 연구: 개인 및 조직특성 중재효과와 임파워먼트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33 |
김정희, 이용주, 김동춘 (2014). 보육교사의 역할수행과원장의 지지, 소진의 관계.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0(5), 175-190. |
미소장 |
34 |
김춘희, 문승연, 박희수 (2013). 서비스 질의 영향 요인에관한 구조적 분석: 보육서비스를 중심으로. 한국자치행정학보, 27(3), 145-164. |
미소장 |
35 |
김현숙 (2015). 공립유치원 유아교사가 인식한 원장의 감성리더십과 유아교사 전문성발달 및 직무만족도간의 관계. 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36 |
김현지 (2022). 영아반 보육교사의 근무환경과 자기돌봄이영아권리존중보육실행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37 |
김형수 (2006). 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복지법인의 역할. 광신논단, 26, 281-304. |
미소장 |
38 |
김화선, 조흥자 (2017). 보육교사의 정서노동과 이직의도:직무환경의 조절효과. 아동과 권리, 21(4), 585-604. |
미소장 |
39 |
노종희 (2001). 교원직무만족의 개념화 및 측정에 관한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19(2), 163-182. |
미소장 |
40 |
박영희 (2010).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을 매개변수로 하여,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41 |
박은영 (2008). 영아보육환경의 질적 수준 및 교사의 요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42 |
박은정 (2003).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 만족도와 직무환경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원주시 어린이집을 대상으로. 상지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43 |
박정임 (2006). 시설장의 리더십이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에미치는 영향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44 |
박형신, 김정주 (2011). 보육교사가 인식한 시설장의 감성리더십과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 전문성 인식 간의 관련성 분석. 아동교육, 20(3), 121-135. |
미소장 |
45 |
박혜숙 (2016). 보육교사가 지각하는 원장의 리더십과 근무환경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수원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46 |
서주희 (2013).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 교사효능감 및 유아의 사회적 능력의 관계.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47 |
서현, 송선화 (2010). 유아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감성리더십과 조직효과성과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30(4), 145-169. |
미소장 |
48 |
소병만 (1998). 유치원 교사의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49 |
손아랑 (2009). 민간보육시설의 근무환경이 보육교사의 이직의도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소진의 매개효과중심으로. 한국영유아보육학, 58, 81-101. |
미소장 |
50 |
송경섭 (2007).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의 생활문화 탐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51 |
송은경 (2012). 원장의 감성리더십, 유아교사의 역할갈등, 교사효능감과 조직몰입간의 인과적 관계.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52 |
신명신 (2014). 사립유치원교사의 평생교육 참여에 관한 연구: 평생교육 참여가 자기효능감과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조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53 |
신성아 (2006). 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소진 및 이직의도와의 관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54 |
신택수 (2010). 종단프로파일분석과 군집분석을 이용한 잠재집단연구. 교육평가연구, 23(3), 641-664. |
미소장 |
55 |
안현미, 김현실 (2013). 서울시 보육교사 근로환경 개선방안연구. 서울: 여성가족재단 연구사업보고서. |
미소장 |
56 |
양연숙, 최연화 (2010). 보육시설의 전문성 지원환경에 따른보육교사의 심리적 복지감 연구. 자연과학, 21, 33-50. |
미소장 |
57 |
오세진 (2015). 초등담임교사의 감성적 리더십과 학급집단응집성의 관계.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58 |
오은희 (2019). 보육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감성적 리더십이보육교사의 조직몰입 및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59 |
유경훈 (2020). 원장의 리더십이 직무만족도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영재와 영재교육, 19(3), 71-86. |
미소장 |
60 |
유해숙 (2014). 유아교육기관장의 감성리더십과 서번트 리더십이 교사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61 |
유현정 (2003). 직장보육시설의 근무환경에 따른 교사의 직무만족도.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62 |
유희정, 이미화 (2004). 보육교사의 근무환경 및 직무실태 분석 (연구보고 2004-12). 서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
미소장 |
63 |
윤정미 (2014). 어린이집 원장의 감성리더십과 교사의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64 |
이리자 (2015).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 교사효능감이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관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65 |
이미라 (2007). 교장의 감성리더십과 학교의 조직감성과 조직학습의 관계.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66 |
이숙자, 공병호, 성영화 (2011). 교사, 유아의 상호작용과 보육교사변인간의 관계. 한국보육학회지, 11(1), 1-18. |
미소장 |
67 |
이일주, 이상철, 김양균 (2019). 직무만족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및 리더십의 조절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9(8), 544-555. |
미소장 |
68 |
이점자 (2012). 어린이집 직무환경이 보육교사 직무만족에미치는 영향: 보육교사 효능감을 매개변수로 하여.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69 |
이지현 (2015). 보육교사의 근무환경과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70 |
이태화 (2007). 어린이집 교사의 직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대전지역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인문정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71 |
이현미 (2019). 보육교사의 직무환경과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가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72 |
이희진 (2018). 영상제작인력의 전문성과 경력장애가 이들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업무효능감의 매개효과와성차별적 직장환경의 조절효과분석을 중심으로. 여성학연구, 28(1), 283-328. |
미소장 |
73 |
정효정 (2002).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및 조직변인에 관한 연구: 정부지원시설과 민간시설간의 비교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74 |
정희정 (2020). 영아보육교사의 심리적 안녕감과 이타성이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물리적 환경의 매개효과.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75 |
조성연 (2005).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자기효능감. 교육과학연구, 36(1), 81-104. |
미소장 |
76 |
진주현 (2006). 표준역량모델 개발. 성신여자대학교 경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77 |
최영진 (2011). 스포츠센터 유형에 따른 종사원들의 임파워먼트, 조직몰입, 직무만족, 고객지향성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지, 20(2), 501-515. |
미소장 |
78 |
최옥자 (2018). 어린이집 원장의 감성리더십이 보육교사의교육적 책무성과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광주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79 |
한선희 (2014). 어린이집 영아반과 유아반 교사의 보육신념, 역할수행 인식 및 직무만족도.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80 |
황선아 (2014). 직무환경과 직무만족도가 보육교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81 |
황종귀, 배성희 (2014). 보육교사의 근무환경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8(2), 227-239. |
미소장 |
82 |
Chang, M. J., & Ohm, J. A. (2011). The influence of kindergraten quality,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efficacy on children’s cognitive, linguistic, emotional, and social competences. Korea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31(3), 251-278. |
미소장 |
83 |
Goleman, D., Boyatzis, R., & McKee, A. (2002). Primal leadership: Realizing the power of emotional intelligence. Boston, MA: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
미소장 |
84 |
Hair, J. F., & Black, W. C. (2000). Cluster analysis. In L. G. Grim, & P. R. Yarnold (Eds.). Reading and understanding more multivariate statistics (pp. 147-205). Washington, D. 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
미소장 |
85 |
Hayes, A. F. (2013).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 regression-based approach. New York, NY: Guilford Press. |
미소장 |
86 |
Hoy, W. K., & Miskel, C. (1996). Educational administration:Theory, Research and Practice (5th ed.). New York: McGraw-Hill. |
미소장 |
87 |
Kim, H. J., & Lee, S. E. (2013). The effects of child care center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burnout on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social ability. JKorean Council Child Rights, 17(3), 369-391. |
미소장 |
88 |
Locke, E. A. (1976). The nature and causes of job satisfaction. In M. D. Dunnette (Ed.). Handbook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pp. 1293-1349). Chicago, IL: Rand McNallly. |
미소장 |
89 |
Mallen, B., Murphy, M. J., & Hart, A. W. (1988). Restructing Teacher Compensation Systems: An Analysis of Three Incentive Strategies. 8th An nu al Yearbook of th e American Educational Finance Assocoation, 91-142. |
미소장 |
90 |
Mayer, J. D., & Salovey, P. (1993). The intelligence of emotional intelligence. Intelligence, 17(4), 433-44. |
미소장 |
91 |
Melenyzer, B. J. (1990). Teacher empowerment: The discourse, meanings and social actions of teachers. Orlando, FL: Paperpresented at the Annual conference of the National Council of States on in-service education. |
미소장 |
92 |
Williams, E. C. (2000). School professional learning environment characteristics and teacher self-efficacy beliefs:Linkages and measurement issu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s, University of Georgia, Athens, GA. |
미소장 |
93 |
Wong, C. S., & Law, K. S. (2002). The effects of leader and follower emotional intelligence on performance and attitude: An exploratory study. The Leadership Quarterly, 13(3), 243-74. |
미소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