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스프레드시트를 이용한 지구과학Ⅰ 암석의 절대연대에 대한 교수학습 자료 개발 = Develop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on absolute age of rocks about the Earth Science I using spreadsheet 김민경, 위수민 p. 1-14
통합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간호지식, 임상수행능력 및 임상추론역량에 미치는 효과 = Effect of integrated simulation education on nursing students’ knowledge, clinical performance, and clinical reasoning competency 김선기, 송의림 p. 15-26
부모와 자녀가 지각한 양육 특성의 잠재집단에 따른 고등학생의 심리적, 사회적, 행동적 적응 특성 차이 = Differences in psychological, social, and behavioral adaptation characteristics of high school students : focused on latent groups of parenting characteristics perceived by parents and their children 최효식, 연은모 p. 27-40
대학 온라인 수업에서 교수자의 갈등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college instructors’ conflict experiences in online courses : based on cultural-historical activity theory : 문화역사적 활동이론의 관점에서 이혜미, 유영만 p. 41-58
영유아 교사 공감능력 측정도구 개발과 타당화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empathy scale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신정애 p. 59-71

전문직 기혼 여성의 상담 전공 동기와 상담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접근 = A narrative approach to married professional women's motives of majoring in counseling and experience in counseling 김명화 p. 73-94
학생역량강화를 위한 비교과 교육성과에 대한 종단연구 : Longitudinal study of extracurricular educational performance outcomes for student empowerment : focusing on learning support programs / 학습지원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나미현 p. 95-109

경험회피와 사회불안 간의 관계에 안전행동이 미치는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safety behavio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tial avoidance and social anxiety 배미록, 원성두 p. 111-122
대학 특성화 정책에 대한 행정직원의 인식도, 만족도, 중요도 분석 = A study on the administrative staff's perception, satisfaction, and importance of university specialization policy 오세원, 조혜영 p. 123-145
정서지능과 정서적 조직몰입 간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tress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affective commitment : focusing on office workers in mid-sized enterprises and above : 중견기업 이상 사무직 중심으로 김정석 p. 147-157
원장의 감성리더십과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 관계 =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work environment cluster typ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rector's emotional leadership and job satisfaction of child care teachers : 근무환경 군집유형에 따른 조절효과 황혁, 문혁준 p. 159-175
장애아동 대상 예술통합 무용 활동을 통한 인성교육 연구 = A study on personality education through arts-integrated dance activitie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오현주 p. 177-194

일-가정 양립 갈등이 부모역할만족도와 유아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 of work-family balance conflicts on parental role satisfaction and children's problem behavior 김효정, 조동혁, 조희준 p. 195-209
기억술을 활용한 교양 음악 수업 방안 = Applying mnemonics in liberal arts music education 한송이 p. 211-225
음악을 접목한 초등사회교과 단원 실행 연구 = An action research of social studies curriculum integrating music 권태영, 이미자 p. 227-247
대학생의 분노반추와 대인관계문제에서 인지적 유연성의 조절효과 = The relationship between anger rumination and interpersonal problems of college students : the moderating effect of cognitive flexibility 이아현, 이아라 p. 249-262
메타버스 환경에서 대학원생의 학습경험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learning experience of graduate students in a metaverse environment : from Deleuze's perspective of ‘-becoming’ : 들뢰즈의 '-되기' 관점을 중심으로 오희정, 박은실, 유영만 p. 263-280
읽기 동기 수준에 따른 고등학생의 추론적 이해의 차이 = Differences in inferential comprehension of high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reading motivation level 황상현, 박영민 p. 281-298
특성화고 학생들의 진로성숙도, 학생인권, 학교문화, 학교행복감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 Analysis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career maturity, student human rights, school culture, and school happiness of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김창길, 최동규 p. 299-315
블록 프로그래밍 언어를 선행조직자로 한 파이썬 교수⋅학습 전략 개발 및 적용 =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ython teaching⋅learning strategies with block programming language as a advanced organizer 고학능, 이영준 p. 317-328
대학생의 몰입상태, 정서인식명확성, 자살위험성 간 구조적관계 :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flow, emotional clarity, and suicide risk in college students : multigroup analysis by level of gambling addiction / 도박중독 수준에 따른 다집단 분석 조민규, 김춘경 p. 329-345

2019 개정 누리과정과 일본 유치원 교육과정의 비교 분석 = Comparative analysis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and the Japanese kindergarten curriculum 신명희, 장상옥 p. 347-368
청소년용 진로장벽 검사도구 개발과 타당화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Careeer[실은 Career] Barriers Inve[n]tory(CBI) for adolescents 선곡유화, 서우석 p. 369-387
유아교사양성교육기관의 수업 개선 요구에 관한 예비교사의 이야기 : A story of preservice teachers on the demand for class improvement in early childhood teacher training institute : focusing on 2-year early childhood teacher training institute / 2년제 유아교사양성기관을 중심으로 서혜정 p. 389-408
어머니의 긍정적 양육행동이 아동의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경로연구 :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children's self-esteem and peer attachment in the effect of mother's positive parenting behavior on children's sense of community : focused on gender differences /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또래애착의 이중매개와 성별비교 김효은 p. 409-422
IPA 기법을 활용한 신규간호사 핵심역량 술기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인식 및 요구도 분석 = Analysis of awareness and demand for new nurses' core competency skill education program using IPA technique 최형주, 김미희, 임지향 p. 423-444
코로나19 발생 전후 초등학교 3, 4학년의 수학 학업성취도 변화 : Changes in 3rd and 4th grade elementary student’s mathematical achievement before and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 focusing on latent profile analysis /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중심으로 고서연, 손승현 p. 445-460
놀이지원에 대한 사립유치원 교사의 목소리 = Voices of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on play support 김윤지, 오선미, 김경철 p. 461-482
COVID-19 팬데믹 동안 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 관리 전략으로서의 음악 활용 = University students’ use of music as academic stress coping strategy during COVID-19 pandemic 김현주, 정현주 p. 483-496
역량기반 전공교육과정 개발 및 인증의 효과와 개선 방안 : Effectiveness and improvement plan of competency-based major curriculums development and accreditation : case of H university : focusing on the professor’s experience / H대학의 사례 : 교원 경험 탐색을 중심으로 차정민 p. 497-519
상담 수퍼비전 윤리(Supervision Ethics)에 관한 국내⋅외 연구 동향 : Korean & international research trends and issues on the counseling supervision ethics : from 1980 to June 2022 / 1980년 ~ 2022년 6월까지 이지희, 정민현 p. 521-542
Q방법론을 활용한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부모교육 경험 인식에 대한 주관성 연구 = Using the Q methodology a study on the subjectivity of mother’s perceptions of parental education 김좌겸, 황순원, 이상희 p. 543-556
국내 대학 문제중심학습(PBL)의 학습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 A meta-analysis on the learning effects of Problem-Based Learning (PBL) in higher education 박하은, 정유진, 조일현, 임규연 p. 557-579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셀프리더십과 이직의도 관계에서 역할갈등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role confli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and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in the integrated nursing care service ward 최정례, 은영 p. 581-595
만 5세 유아 어머니들이 인식하는 유아 수학교육 의미와 요구 = The meaning and needs of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recognized by mothers of 5-year-old children 이사임 p. 597-619
문제 유형의 새로운 개념적 틀 탐색 = New conceptual frameworks of problem types 변현정 p. 621-638

초등학생의 문제해결능력 향상을 위한 PBL기반 머신러닝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사례 =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BL-based machine learning education program to improve elementary school students' problem solving skills 김동용, 채다영, 박수홍 p. 639-661

IPA를 활용한 국어과 의사소통 역량의 중요도 및 실행도 분석 = Analyzing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communicative competency using IPA : focused on the percep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Gyeongnam region : 경남 지역 초등교사 인식을 중심으로 유정오, 이상구 p. 663-680
긍정적행동지원(PBS)은 왜 일반학교에서 실행되기 어려운가? : Why is Positive Behavioral Support (PBS) difficult to implement in general schools? : an analysis of the experience of elementary teachers who implemented tier 1 universal support / Tier 1 보편적 지원을 실행한 초등교사의 경험 분석 김수연 p. 681-699
경계선 지능 아동⋅청소년 대상 미술치료 실습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경험 연구 = A study on teachers’ perceptions and experience of art therapy fieldwork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borderline intelligence 김도희, 장은영, 김지은 p. 701-719
유아교사의 놀이성과 전문성 발달이 놀이지원 실행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fulness and development of professionalism on their play support practices 이자정, 김경숙 p. 721-737
미국 내 한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스트레스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 A qualitative study on acculturative stress of Korean international students in U.S. 라영안 p. 739-751
임상간호사가 지각한 윤리적리더십과 윤리적민감성, 윤리적풍토, 간호업무수행에 관한 구조모형 = A study on ethical leadership, ethical sensitivity, ethical climate, and nursing performance of clinical nurses 황경미 p. 753-770
기억술 범주와 암기 내용 연계 방안 = Associating mnemonic categories with memorization content 한송이 p. 771-785
초등학생의 사교육이 또래관계 및 학업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private tutoring education on peer relationships and learning str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성경환, 유재봉 p. 787-799

중학생의 생활시간 사용과 부모양육태도, 정서행동문제 간 관계에 대한 종단 연구 = A longitudinal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time use, parenting attitudes, and emotional behavioral problems in middle school students 윤정, 박지순, 김정섭 p. 801-814

대학생의 코로나 19(COVID-19)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 The mediating effects of difficulties of emotion regulation between COVID-19 stress and depression of undergraduate students / 정서조절 어려움의 매개 효과 정은선, 이성원, 하정희 p. 815-825

참고문헌 (93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경석, 김철구 (2007). 학교장의 감성리더십과 교사의 학교조직몰입과의 관계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25(4), 1-24. 미소장
2 강미영, 김혜리, 어성연 (2020). 어린이집 원장의 리더십 및조직풍토가 보육교사 수업 전문성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7(3), 83-107. 미소장
3 강연실 (2019). 보육교사의 직무환경과 임파워먼트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4 고영미, 이금란 (2004). 유치원의 전문성 지원 환경과 교수효능감과의 관계. 교육과학연구, 35(1), 21-37. 미소장
5 고현, 신명선 (2014). 유아교사가 인식한 원장의 감성리더십이 교사 직무만족 및 헌신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1(1), 249-268. 미소장
6 곽미라 (2018). 보육교사의 직무환경이 교직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보육헌신과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 서울한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7 권성민 (2013). 유치원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유아교사의직무만족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8 김경옥 (2009). 몬테소리 유치원 교사 직무만족도와 교사-유아 간 상호작용과의 관계.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9 김경철, 최인숙, 홍정선 (2007). 어린이집의 전문성 지원환경과 교사효능감과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12(4), 115-135. 미소장
10 김길한 (2017). 보육교사의 직무태도와 보육서비스품질의관계: 조직사회자본의 매개효과분석.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11 김난숙 (2015). 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교사효능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관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12 김대원, 이소희 (1997). 영아보육시설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종사자의 요구분석: 질적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10, 231-257. 미소장
13 김덕하 (2009). 직장⋅가정간 갈등이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무환경의 조절효과 연구: 강서구 어린이집 교사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4 김명희 (2011). 학교장의 감성리더십과 교사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미치는 LMX의 매개효과.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15 김미정 (2007). 유아교사의 의사결정 참여정도와 교사효능감.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6 김범준 (2000). 교사들의 직무만족도 관련변수에 대한 meta 분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17 김병준 (2018).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소진의 매개효과 검증. 우석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18 김봉남 (2015). 영유아 보육서비스 재이용 의사결정 요인에관한 연구. 서남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19 김성규 (2010). 초등학교 교장의 감성리더십: 교사문화와 직무만족 및 학생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20 김수희 (2000). 민간보육시설 보육교사의 근무환경과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사회복지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1 김시연 (2014). 유아교사의 행복감, 교직에 대한 열정, 직무만족도, 교사효능감 및 교사-유아상호작용간의 구조분석. 광주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22 김연명, 박상희 (2012). 공공복지인가, 민간복지인가. 비판사회정책, 36, 7-38. 미소장
23 김영미 (2017). 보육교사의 임파워먼트와 원장의 서번트리더십이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도를 포함한 경로모형 분석. 성산효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24 김영분 (2010). 영유아 보육시설유형에 따른 보육교사의 근무환경과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인천시 영유아보육시설 보육교사를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5 김영은, 신정숙 (2012). 원장의 감성리더십이 보육교사의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12(4), 189-207. 미소장
26 김유진 (2003). 영아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27 김은설, 이진화 (2017). 유치원 교사의 직무환경지각과 직업만족 간의 관계. 입법과 정책, 9(1), 349-370. 미소장
28 김정근 (2021). 일반보육교사와 장애통합보육교사의 직무환경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비교연구. 협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29 김정림, 조혜진 (2012). 어린이집 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감성리더십과 조직문화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8(1), 65-83. 미소장
30 김정미 (2001). 보육시설 영아반 실내⋅외 환경 실태와 교사인식에 관한 연구: 대전시 보육시설 중심으로. 한남대학교 지역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31 김정원, 민희숙 (2013). 유아교육기관장의 도덕적 리더십이유아교사의 자율성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33(2), 237-257. 미소장
32 김정희 (2007). 원장의 리더십과 유아교사의 임파워먼트, 조직효과성에 관한 연구: 개인 및 조직특성 중재효과와 임파워먼트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33 김정희, 이용주, 김동춘 (2014). 보육교사의 역할수행과원장의 지지, 소진의 관계.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0(5), 175-190. 미소장
34 김춘희, 문승연, 박희수 (2013). 서비스 질의 영향 요인에관한 구조적 분석: 보육서비스를 중심으로. 한국자치행정학보, 27(3), 145-164. 미소장
35 김현숙 (2015). 공립유치원 유아교사가 인식한 원장의 감성리더십과 유아교사 전문성발달 및 직무만족도간의 관계. 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36 김현지 (2022). 영아반 보육교사의 근무환경과 자기돌봄이영아권리존중보육실행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37 김형수 (2006). 환경의 변화에 따른 사회복지법인의 역할. 광신논단, 26, 281-304. 미소장
38 김화선, 조흥자 (2017). 보육교사의 정서노동과 이직의도:직무환경의 조절효과. 아동과 권리, 21(4), 585-604. 미소장
39 노종희 (2001). 교원직무만족의 개념화 및 측정에 관한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19(2), 163-182. 미소장
40 박영희 (2010).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을 매개변수로 하여,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41 박은영 (2008). 영아보육환경의 질적 수준 및 교사의 요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42 박은정 (2003).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 만족도와 직무환경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원주시 어린이집을 대상으로. 상지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43 박정임 (2006). 시설장의 리더십이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에미치는 영향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44 박형신, 김정주 (2011). 보육교사가 인식한 시설장의 감성리더십과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 전문성 인식 간의 관련성 분석. 아동교육, 20(3), 121-135. 미소장
45 박혜숙 (2016). 보육교사가 지각하는 원장의 리더십과 근무환경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수원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미소장
46 서주희 (2013).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 교사효능감 및 유아의 사회적 능력의 관계.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47 서현, 송선화 (2010). 유아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감성리더십과 조직효과성과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30(4), 145-169. 미소장
48 소병만 (1998). 유치원 교사의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49 손아랑 (2009). 민간보육시설의 근무환경이 보육교사의 이직의도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소진의 매개효과중심으로. 한국영유아보육학, 58, 81-101. 미소장
50 송경섭 (2007).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의 생활문화 탐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51 송은경 (2012). 원장의 감성리더십, 유아교사의 역할갈등, 교사효능감과 조직몰입간의 인과적 관계.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52 신명신 (2014). 사립유치원교사의 평생교육 참여에 관한 연구: 평생교육 참여가 자기효능감과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조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53 신성아 (2006). 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소진 및 이직의도와의 관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54 신택수 (2010). 종단프로파일분석과 군집분석을 이용한 잠재집단연구. 교육평가연구, 23(3), 641-664. 미소장
55 안현미, 김현실 (2013). 서울시 보육교사 근로환경 개선방안연구. 서울: 여성가족재단 연구사업보고서. 미소장
56 양연숙, 최연화 (2010). 보육시설의 전문성 지원환경에 따른보육교사의 심리적 복지감 연구. 자연과학, 21, 33-50. 미소장
57 오세진 (2015). 초등담임교사의 감성적 리더십과 학급집단응집성의 관계.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58 오은희 (2019). 보육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감성적 리더십이보육교사의 조직몰입 및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59 유경훈 (2020). 원장의 리더십이 직무만족도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영재와 영재교육, 19(3), 71-86. 미소장
60 유해숙 (2014). 유아교육기관장의 감성리더십과 서번트 리더십이 교사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61 유현정 (2003). 직장보육시설의 근무환경에 따른 교사의 직무만족도.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62 유희정, 이미화 (2004). 보육교사의 근무환경 및 직무실태 분석 (연구보고 2004-12). 서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미소장
63 윤정미 (2014). 어린이집 원장의 감성리더십과 교사의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64 이리자 (2015).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 교사효능감이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관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65 이미라 (2007). 교장의 감성리더십과 학교의 조직감성과 조직학습의 관계.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66 이숙자, 공병호, 성영화 (2011). 교사, 유아의 상호작용과 보육교사변인간의 관계. 한국보육학회지, 11(1), 1-18. 미소장
67 이일주, 이상철, 김양균 (2019). 직무만족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및 리더십의 조절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9(8), 544-555. 미소장
68 이점자 (2012). 어린이집 직무환경이 보육교사 직무만족에미치는 영향: 보육교사 효능감을 매개변수로 하여.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69 이지현 (2015). 보육교사의 근무환경과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70 이태화 (2007). 어린이집 교사의 직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대전지역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인문정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71 이현미 (2019). 보육교사의 직무환경과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가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72 이희진 (2018). 영상제작인력의 전문성과 경력장애가 이들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업무효능감의 매개효과와성차별적 직장환경의 조절효과분석을 중심으로. 여성학연구, 28(1), 283-328. 미소장
73 정효정 (2002).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및 조직변인에 관한 연구: 정부지원시설과 민간시설간의 비교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74 정희정 (2020). 영아보육교사의 심리적 안녕감과 이타성이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물리적 환경의 매개효과.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75 조성연 (2005).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자기효능감. 교육과학연구, 36(1), 81-104. 미소장
76 진주현 (2006). 표준역량모델 개발. 성신여자대학교 경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77 최영진 (2011). 스포츠센터 유형에 따른 종사원들의 임파워먼트, 조직몰입, 직무만족, 고객지향성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지, 20(2), 501-515. 미소장
78 최옥자 (2018). 어린이집 원장의 감성리더십이 보육교사의교육적 책무성과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광주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79 한선희 (2014). 어린이집 영아반과 유아반 교사의 보육신념, 역할수행 인식 및 직무만족도.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80 황선아 (2014). 직무환경과 직무만족도가 보육교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81 황종귀, 배성희 (2014). 보육교사의 근무환경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8(2), 227-239. 미소장
82 Chang, M. J., & Ohm, J. A. (2011). The influence of kindergraten quality,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efficacy on children’s cognitive, linguistic, emotional, and social competences. Korea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31(3), 251-278. 미소장
83 Goleman, D., Boyatzis, R., & McKee, A. (2002). Primal leadership: Realizing the power of emotional intelligence. Boston, MA: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미소장
84 Hair, J. F., & Black, W. C. (2000). Cluster analysis. In L. G. Grim, & P. R. Yarnold (Eds.). Reading and understanding more multivariate statistics (pp. 147-205). Washington, D. 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미소장
85 Hayes, A. F. (2013).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 regression-based approach. New York, NY: Guilford Press. 미소장
86 Hoy, W. K., & Miskel, C. (1996). Educational administration:Theory, Research and Practice (5th ed.). New York: McGraw-Hill. 미소장
87 Kim, H. J., & Lee, S. E. (2013). The effects of child care center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burnout on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social ability. JKorean Council Child Rights, 17(3), 369-391. 미소장
88 Locke, E. A. (1976). The nature and causes of job satisfaction. In M. D. Dunnette (Ed.). Handbook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pp. 1293-1349). Chicago, IL: Rand McNallly. 미소장
89 Mallen, B., Murphy, M. J., & Hart, A. W. (1988). Restructing Teacher Compensation Systems: An Analysis of Three Incentive Strategies. 8th An nu al Yearbook of th e American Educational Finance Assocoation, 91-142. 미소장
90 Mayer, J. D., & Salovey, P. (1993). The intelligence of emotional intelligence. Intelligence, 17(4), 433-44. 미소장
91 Melenyzer, B. J. (1990). Teacher empowerment: The discourse, meanings and social actions of teachers. Orlando, FL: Paperpresented at the Annual conference of the National Council of States on in-service education. 미소장
92 Williams, E. C. (2000). School professional learning environment characteristics and teacher self-efficacy beliefs:Linkages and measurement issu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s, University of Georgia, Athens, GA. 미소장
93 Wong, C. S., & Law, K. S. (2002). The effects of leader and follower emotional intelligence on performance and attitude: An exploratory study. The Leadership Quarterly, 13(3), 243-74.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