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연구배경 및 목적) 공공디자인의 진흥에 관한 법률은 공공디자인을 활성화하기 위해 상당 부분이 각 지방자치단체의 행정사무로 위임되어 지자체가 정한 조례로 운영되고 있는 현실적 상황에서 각 지방자치단체의 정책방향, 재정규모, 단기적 성과 의식, 전문인력 부재 등으로 인해 관련 정책의 결과물은 상이하게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법체계가 정한 범위 내에서 전문인력의 수요를 예측하여 공공디자인 조직의 효율적 운영방안 모색의 필요성을 전제로 전문인력의 전문성 제고 및 수요를 전망하기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확대되었던 공공디자인 분야의 조직체계와 전문인력 수요현황을 법제화 이전과 이후로 분류하여 조사한다. 조사 범위는 광역단위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진행한다. 서울시와 경기도의 전담부서의 현황과 조직 내 전문인력의 수급 행태를 중점적으로 분석하고, 지방자치단체의 행정적 특성을 정치적, 제도적 측면에서 객관적으로 접근하여 조직구성과 공공디자인 전문인력 수급 행태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공공디자인 전문인력의 수급전망을 모색하여 제도적 측면이 아닌 조직 관리와 전문인력의 전문성 인식 부족에서 오는 문제점에 대해 접근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는 점을 밝혀두고자 한다. (결과) 지방자치단체에서의 공공디자인 전담인력 확대는 공공 디자인법 시행 이후의 조직 특성과 성향 등을 고려한 전문적인 공공디자인 인력 육성에 관심은 커지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상은 우리가 기대하는 것처럼 되지 않고 지지부진한 모습을 보이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기초단위 지방자치단체로 넘어갈수록 전문인력이 부족한 상황에서 기인한 것으로, 안정적인 디자인 전문인력 확보의 필요성을 파악하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방향성을 제시한다. 첫째, 지방자치단체의 공공디자인 행정기반 현황 진단을 통해 효율적 조직구성의 필요한 방식이나 제도적으로 뒷받침될 수 있는 법제화가 필요하다. 둘째, 지방자치단체마다 디자인 관련 전문인력의 정원 확대에는 소극적으로 대응하는 것에 대한 대책이 요구된다. 셋째, 공공디자인 전문인력의 기준을 체계화시키고, 행정조직 내 디자인 인식부족 등에서 오는 문제점을 파악하여 해결하는 실질적 단계가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인력수급을 위한 행정조직의 근거를 좀 더 세부적으로 제시하지 못하였다는 점은 연구의 한계로 남지만, 방향성을 제시한 기초연구로서의 본 논문을 계기로 향후 공공디자인 기반 구축을 위한 법률적, 행정적 개선 연구가 활발해지기를 기대해 본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Act on the Promotion of Public Design, in order to vitalize public design, is entrusted to the administrative affairs of each local government and is operated according to the ordinance set by the local government. Due to the lack of performance awareness and professional manpower, the results of related policies are appearing different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forecasting the demand and professionalism of professional manpower on the premise of the need to find an efficient operation plan for public design organizations by predicting the demand for professional manpower within the scope set by the legal system. (Method) To investigate demand for organization system and professional manpower in the field of public design which has been expanded through local governments, this study has divided them before and after legislation. The scope of study is metropolitan local governments. The state and supply-demand of professional manpower in Seoul and Gyeonggi-do are intensively analyzed to understand problems there, by objectively approaching the political and administrative features of local governments and by estimating supply and demand for professional manpower. This study also focuses not on systematic aspect but on organization management and the problems coming from lack of organized management and expertise of professionals. (Results) Seeing expanded exclusive manpower of local governments, there seems to have been a growing interest in raising manpower in public design since enactment of the Act on Public Design. In reality, however, it was found that it was showing a sluggish look. Such lack of professionals worsen as it moves on to basic local governments, so this study identified the need for them to secure design experts. (Conclusion) This study, the following directions are suggested. First of all, the method and system of organization should be legalized and effectively support public design, Legislation that can be supported institutionally is necessary. Secondly, countermeasures against passive response of local governments to expand design professionals are needed. Thirdly, the standard for public design professional manpower should be systematized and practical solutions are necessary to the problems coming from lack of recognition on design within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Although there is a limit for this study not to present more detailed grounds for administrative organization for manpower demand and supply, but hopefully there would be more studies on legal and administrative improvement to build the ground for public design, with this directing study as a momentum.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A) study on effects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evaluation indicators of place-based spatial welfare = 장소기반의 공간복지 평가지표 항목구축을 통한 효과 연구 Hwang, Eunryoung, Lee, Donil p. 9-23

(A) study on a design proposal of a pocket park at the Yeungnam University Medical Center = 영남대학교 의료원 포켓 공원 디자인 제안 연구 Lee, Donil p. 25-37

(A) study on the improvement plan of the project management system for revitalizing local public design projects = 지역 공공디자인 사업활성화를 위한 사업관리체계 개선방안 연구 Kim, Seungki, Jang, Youngho p. 39-51

Analysis of institutional limitations of CPTED design for metro stations and suggestion for improvement = 도시철도역 시설 CPTED(범죄예방환경설계) 디자인의 제도적 한계점 분석과 개선방안 제안 Shin, Yekyeong p. 53-64

(A) study on the design of inno-LIVE campus = Inno-LIVE Campus 조성 디자인 연구 Lee, Donil p. 65-78

(An) analysis of the hierarchical-grid urban structure in the Gangnam Area, Seoul = 서울 강남 지역의 격자체계 도시구조 위계에 대한 분석 Park, Sungyong p. 79-91

Directions for expansion of public design professionals according to changes in administrative system = 행정체계 변화에 따른 공공디자인 전문인력 확충 방향 Kim, Seungki, Jang, Youngho, Kim, Jooyun p. 93-103

(A) study into the process of public facilities design through transitional urbanism = 트랜지셔널 어바니즘을 통한 공공시설물 디자인 프로세스 연구 : 프랑스 Cabanon Vertical의 디자인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Lee, Eunyoung, Lee, Hyungseung p. 105-116

(A) study on ISA characteristics of multi-sensory elements in flagship store space of cosmetics = 화장품 플래그쉽 스토어 공간의 다감각 요소에 대한 ISA 특성 연구 Lee, Jihyeun p. 117-130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F&B space with big blur phenomenon = 빅블러현상이 적용된 F&B공간특징 연구 Noh, Hyejeoung, Kim, Jihyun, Kim, Jooyun p. 131-144

참고문헌 (12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Cha, Dongik, (2010). Consciousness of Public Design Administrators. Korea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11(4), 265-273. 미소장
2 Choi, Sungho, Kang, Seongjung, & Park, Jina, (2019). Public Design Project Sample Actual Condition Survey.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 Korean Society of Public Design. (Korean) 미소장
3 Jang, Hyeok, (2020). Exploratory Argument on the Improvement of Expertise in Research Personnel: A Focus on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Korean Jourmal of Public Administration, 58(4), 107-139. (Korean) 미소장
4 Jang, Youngho, Chae, Wanseok, Jang, Jinwoo, & Bae, Imsun, (2017). Public design job training course. Korea Craft & Design Roundation. (Korean) 미소장
5 Jo, Seongsu, (2014). Instrumental expert without power, A Study on the Alienation of Term Public Officials : A focused on wiretapping organization. Journal of Governmental Studies, 20-2, 185-221. (Korean) 미소장
6 Jo, Taejun, Choi, Seongju, & Kim, Sangwoo, (2021). Research on the Performance of Professional Civil Servants: Focusing on the Comparison of Perceptions between Professional and General Public Officials. The Korean Society for Public Personnel Administration, 20-2, 119-139. (Korean) 미소장
7 Jung, Hyanjin, (2011). Manpower Demand Forecast in Design Sector, Connunication Design Association of Korea, 36(0), 181-194. 미소장
8 Kang, Jesang, (2005). A Study on Motiva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Job Satisfaction of Contract Public Officials. The 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14(3), 217-238. (Korean) 미소장
9 Kim, Sangmook, & Kang, Jesang, & Kim, Jongrae, (2003). Analyzing the Realities of Contingent Civil Service System in Korea. The Korean Association for Policy Studies, 12(2), 233-260. 미소장
10 Kwon, Yeonggeol, Kim, Sunjik, & Lee Jiyeong, (2011). Public design administration. Publisher Nalmada. (Korean) 미소장
11 Lee, Sanghun, & Kim, Jina, (2013) Promotion of Industrial Design Services in Gyeongi-Do. Gyeongi Research Institute. (Korean) 미소장
12 Lim, Donggeun, (2012). “Human” and Devices: Problem Set of Foucault’s Governmentality. Cultural Science 71, 285-299. (Korean)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