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연구는 코로나19 상황에서 새로운 유형의 교권침해가 발생함에 따라 Kingdon의 정책흐름모형을 활용하여 교권 보호 정책의 변동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의 기간은 코로나19 기간인 2019년부터 2022년까지의 기간을 설정하였다. 교권 보호 정책 관련 자료를 분석한 후 4년 동안의 교권 보호 정책에 대한 정책 문제의 흐름, 정치의 흐름, 정책 대안의 흐름을 확인하고 정책의 창이 열려 정책 산출로 이어졌는지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2019년과 2022년 2번 정책의 창이 열린 것으로 분석되었다. 1차 정책의 창은 2019년 학부모의 교사 사생활 침해 이슈로 열렸으며 이로 인해 교육청 수준에서 업무용 전화 지원 시범사업이 진행되었다. 2차 정책의 창은 2022년 수업 시간 도중 교탁 옆 바닥에 누워 선생님을 촬영하는 학생이 언론보도를 통해 크게 이슈화됨으로서 정책의 창이 열리고 정책활동가인 국회의원의 개정법률안 발의로 인해 「초·중등교육법」 개정으로 이어진 것을 확인했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첫째, 교권 보호 정책에는 영향력 있는 정책활동가가 필요하고, 둘째, 교육활동 침해에 있어 사례중심의 예방 교육이 확대되어야 하며, 셋째, 학부모와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교권 보호 교육이 확대되어야 한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nges in the policy of protecting teaching rights through Kingdon's policy flow model as new types of teaching rights violations occur in the context of COVID-19. The period of analysis is set from 2019 to 2022, the period of COVID-19. After analyzing the data related to the teacher's authority protection policy, the flow of policy issues, political flow, and flow of policy alternatives on the teacher's authority protection policy over the past four years were checked, and whether the policy window opened to policy decision and execu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analyzed that the window of policy in 2019 and 2022 was opened. The first policy window was opened in 2019 as an issue of parents' invasion of teacher privacy, which led to a pilot project for business phone support at the level of the Office of Education.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second policy window opened in 2022 when students lying on the floor next to the school desk became a big issue through media reports, and the revision of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ct」 led to the revision of the law by policy activist lawmaker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first, influential policy activists are needed in the teacher's authority protection policy, second, case-based prevention education should be expanded in violation of educational activities, and third, teacher's authority protection education for parents and students should be expanded.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담임교사의 임파워링 리더십, 학생의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 간의 구조적 관계 =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homeroom teacher's empowering leadership, self-efficacy of students, and career maturity 신광윤, 김희규 p. 1-26

초등교사의 다문화 감수성과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관계에서 다문화 사회정의역량의 매개효과 = Mediating effect of multicultural social justice competen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cultural sensitivity an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amo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이공숙, 임은미 p. 27-49

특수교육지원센터에 근무하는 초임 특수교사의 직무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job experience of beginning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진보향, 황순영 p. 51-78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유·보통합 연구 동향 분석 =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integration of ECEC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using text mining 윤지영, 이현숙 p. 79-105

코로나19 이후 교사학습공동체가 교사 효과성에 미치는 경로 분석 : Path analysis of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on teacher effectiveness after COVID-19 : focused on mediating competency of teachers' distance learning and democratic school culture / 원격수업 역량과 민주적 학교 문화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배정현, 이솔비 p. 107-135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초·중등 교사소진 연구동향 분석 = Analysis of burnout research trend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teachers using topic modeling 윤지영, 허은정 p. 137-163

코로나19 팬데믹과 교권 보호 정책의 변동 분석 : An analysis of changes in the teacher authority protection policy in COVID-19 period using Kingdon's model / Kingdon 모형을 중심으로 이선희, 신윤정, Wu, Yifan, 정제영 p. 165-188

COVID-19 팬데믹 상황에서 고3 담임교사들의 교수 경험에 대한 해석현상학적 분석 = Interpretative phenomenological analysis of the teaching experience of high school homeroom teachers in the context of the COVID-19 pandemic 변유경, 박경애 p. 189-214

고교학점제 운영 성과 및 과제 분석 : Performance and task analysis of research schools under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Seoul / 서울 지역 연구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황재운, 임종헌, 안영은 p. 215-244

'영아교사용 교수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eaching efficacy scale for infant/toddler teachers' 김민경, 이영선, 이승연 p. 245-274

교사리더십 발휘 교사의 특성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eachers demonstrating teacher leadership : focusing on the case of high school teachers / 고등학교 교사 사례를 중심으로 김은선, 김병찬 p. 275-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