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임철우, 『봄날 1』, 문학과지성사, 2006. | 미소장 |
2 | 임철우, 『봄날 2』, 문학과지성사, 2007. | 미소장 |
3 | 임철우, 『봄날 3』, 문학과지성사, 2010. | 미소장 |
4 | 임철우, 『봄날 5』, 문학과지성사, 2010. | 미소장 |
5 | 고든 울포트, 『편견』, 석기용 옮김, 교양인, 2020. | 미소장 |
6 | 랜들 콜린스, 『사회적 삶의 에너지』, 진수미 옮김, 한울아카데미, 2009. | 미소장 |
7 | 안토니오 다마지오, 『데카르트의 오류』, 김 린 옮김, 눈출판그룹, 2017. | 미소장 |
8 | 곽송연, 「정치적 학살 이론의 관점에서 본 가해자의 학살 동기 분석」, 『민주주의와 인권』13(1), 전남대학교 5.18 연구소, 2013. | 미소장 |
9 | 김경민, 「국가폭력의 가해자를 재현하는 문학의 역할」,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25(1),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21. | 미소장 |
10 | 김영택, 「신군부의 정권찬탈을 위한 공수부대의 5·18 ‘과잉진압’연구」, 『역사학연구 』 34, 호남사학회, 2008. | 미소장 |
11 | 김주선, 「임철우 『봄날』의 재현형식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6. | 미소장 |
12 | 노영기, 「5.18항쟁 초기 군부의 대응 – 학생시위의 시민항쟁으로의 전환 배경과 관련하여」, 『한국문화』 62,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한연구원, 2013. | 미소장 |
13 | 심영의, 「5.18 가해자들의 기억과 트라우마」, 『민주주의와 인권』 17(1) 전남대학교 5.18연구소, 2017. | 미소장 |
14 | 이수진, 「라캉의 나르시시즘 개념 고찰의 정신분석 실천적 의미」, 『현대정신분석』 21(2), 한국현대정신분석학회, 2019. | 미소장 |
15 | 정명중, 「증오에서 분노로-임철우의 『봄날』 읽기」, 『민주주의와 인권』 13(2), 전남대학교5.18 연구소, 2013.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