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5.18 공수부대원의 폭력성에 대한 연구는 극히 소수다. 공수부대원의 행위 원리에 대한 규명이 유사한 사건에 대한 비교 해석의 틀을 제공하고, 언제라도 반복될 수 있는 집단의 극단적 폭력에 대한 이론적 대비가 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그 수는 문제적이다. 본고는 임철우의 소설 『봄날』을 통해 5.18 진압군의 행위가 어떤 감정을 동인으로 갖는지를 집중적으로 탐구한다. 특히 그들이 군대가 만들어내고 강제한 상황적 감정에 예속되는 과정과 그 정체를 드러낸다. 공수부대원들은 같은 시공간을 함께 보내고 나누며 서로의 신체적 리듬과 정신적 지향점을 맞춰나갔고 폭발할 것 같은 훈련 속에서 하나의 상징적 적(광주의 시민)을 상정하여 집합감정으로서의 유대감, 연대감, 도덕감, 종교적 애국심, 나르시시즘적 도취, 분노와 증오 등의 감정을 키워나갔다. 그들은 국가가 절대 위기의 상황이고 데모대는 빨갱이라는 확고한 편향성을 갖게 되었고 이는 계엄령을 통한 광주 진압 명령과 결합되며 무차별적인 살육을 낳았다. 폭력의 강도는 광주의 시민들이 저항하자 더 거세졌다. 공수부대원들의 증오와 분노, 복수심과 원한은 중첩되고 증폭되어 더 가혹한 폭력을 낳았다. 이것이 수많은 공수부대원이 그토록 극단적인 폭력을 행사했던 이유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문태준 『맨발』에 나타난 '동물' 표상 연구 : A study on the 'animal' representation in Moon Taejun's "Barefoot" : by applying 'the principle of identification' of Kim Junoh's "Poetics" / 김준오 『시론』의 '동일화의 원리'를 적용하여 김선우 p. 9-33

1960년대 신동엽과 호서문단 = Shin Dong-yeop and Hoseo literary circles in the 1960s 김현정 p. 35-53

박용철 시론에서 '체험'의 의미와 시인의 표상 : The meaning of 'high-density experience' and 'images of poet' in Park Yong-cheol's poetic theory : focusing on literary journal Literature(『文學』) / 『문학』지를 중심으로 박미경 p. 55-79

백석 시의 미학적 요소의 등가성을 고려한 중국어 번역 : Chinese translation considering the equivalence of the aesthetic elements of Baekseok's poetry : focusing on Jung-Ju Castle, The family of the valley where the fox was born, Yeo-seung / 「정주성」, 「여우난골족」, 「여승」을 중심으로 Feng Wenjun p. 81-118

임철우 『봄날』에 나타난 5월 공수부대원 폭력의 감정적 원리 연구 = A study on the emotional principles of violence in the airborne troops in the 『Spring Day』 of Lim Chul-woo 김주선 p. 119-140

성장 서사와 인권의 앙상블 : Ensemble of growth narrative and human rights : focusing on 2018~2022 Newbery Award-winning books / 2018~2022년 뉴베리상 수상작을 중심으로 김화선 p. 141-162

모성 이데올로기 전복과 해체의 글쓰기 : Writing on the subversion and dissolution of maternal ideology : focusing on the works of Kim, Ae-ran and Park, Seo-ryun / 김애란·박서련 작품을 중심으로 박지영 p. 163-193

『화두』에 나타난 독서 행위와 상호텍스트성 양상 연구 : A study of the act of reading and intertextuality aspects in The Hwadoo : focusing on the protagonist's Reading of A Long Way from Home / 주인공의 『머나먼 고향』(A Long Way from Home) 독서 행위를 중심으로 전두영 p. 195-219

정복근 희곡의 극작술 고찰 : A study on the dramaturgy of Jeong Bok-geun's plays : focused on <A Missing Epitaph - Insult> and <A Song like This> / <실비명>과 <이런 노래>를 중심으로 김윤정 p. 221-243

임화의 지방주의 논의와 그 맥락 = Im-Hwa's discussion on regionalism and its context 김영범 p. 245-280

염상섭 『취우』의 윤리적 독해 : An ethical reading of Yŏm Sangsŏp's Sudden Rain (1952-1953) : tracing back self-care and skepticism to the Korean War / 한국전쟁 시기 자기돌봄과 회의주의의 흔적 김성희 p. 281-306

정동적 문학 읽기의 가능성 = The possibilities of affective literature reading 조강석 p. 307-328

영화 『밀정』의 의열단 이미지 연구 = A study on the images of Uiyeoldan from the movie 『Miljeong』 양진오 p. 329-350

대한제국기 노동 개념의 형성 과정 연구 : A study on the formation process of labor concept during the Korean Empire : focus on academic journals and association journals / 학술지·학회지를 중심으로 엄학준 p. 351-370

희생·사랑·복수의 전도를 통한 탈종교적 구원, 영화 <박쥐> = Post-religious salvation through reverse of sacrifice, love, and revenge; the movie <Thirst> 한귀은 p. 371-400

참고문헌 (15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임철우, 『봄날 1』, 문학과지성사, 2006. 미소장
2 임철우, 『봄날 2』, 문학과지성사, 2007. 미소장
3 임철우, 『봄날 3』, 문학과지성사, 2010. 미소장
4 임철우, 『봄날 5』, 문학과지성사, 2010. 미소장
5 고든 울포트, 『편견』, 석기용 옮김, 교양인, 2020. 미소장
6 랜들 콜린스, 『사회적 삶의 에너지』, 진수미 옮김, 한울아카데미, 2009. 미소장
7 안토니오 다마지오, 『데카르트의 오류』, 김 린 옮김, 눈출판그룹, 2017. 미소장
8 곽송연, 「정치적 학살 이론의 관점에서 본 가해자의 학살 동기 분석」, 『민주주의와 인권』13(1), 전남대학교 5.18 연구소, 2013. 미소장
9 김경민, 「국가폭력의 가해자를 재현하는 문학의 역할」,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25(1),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21. 미소장
10 김영택, 「신군부의 정권찬탈을 위한 공수부대의 5·18 ‘과잉진압’연구」, 『역사학연구 』 34, 호남사학회, 2008. 미소장
11 김주선, 「임철우 『봄날』의 재현형식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6. 미소장
12 노영기, 「5.18항쟁 초기 군부의 대응 – 학생시위의 시민항쟁으로의 전환 배경과 관련하여」, 『한국문화』 62,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한연구원, 2013. 미소장
13 심영의, 「5.18 가해자들의 기억과 트라우마」, 『민주주의와 인권』 17(1) 전남대학교 5.18연구소, 2017. 미소장
14 이수진, 「라캉의 나르시시즘 개념 고찰의 정신분석 실천적 의미」, 『현대정신분석』 21(2), 한국현대정신분석학회, 2019. 미소장
15 정명중, 「증오에서 분노로-임철우의 『봄날』 읽기」, 『민주주의와 인권』 13(2), 전남대학교5.18 연구소, 2013.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