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시조 번역, 그 해석과 창안의 여정에 대한 탐구 : R. Rutt의 시조 영역을 예로 = Translation of Sijo : the journey of interpretation, exploration, and creation of Sijo : focused on R. Rutt's Sijo translated into English / 염은열 1
차례 1
국문초록 1
1. 논의의 시작 2
1.1. 기본 관점 및 목표 2
1.2. 예시작품 : 럿트의 영역 시조 4
2. 번역의 시작 : 대응되는 낱말 탐색 8
3. 함축적·문화적 의미의 번역 10
3.1. 내용과 이미지, 분위기의 번역 10
3.2. 압축적 표현의 풀이 : 한자어 번역의 문제 13
3.3. 특별한 시어나 문화어의 번역 : '절로' 16
4. 시조다움을 구현하는 문제 17
4.1. 럿트 이전, 시조 형식에 대한 탐구 18
4.2. 럿트의 형식에 대한 탐구 20
4.3. 럿트 이후 영어 시조의 규범 23
5. 원 시조와 영역 시조의 같음과 다름 25
6. 번역, 그 힘들고도 아름다운 여정 28
참고문헌 31
Abstract 34
한류의 영향 등으로 한국문학에 대한 관심이 확대되고 외국어 독자들을 대상으로 한 한국문학 번역 및 교육의 필요성 또한 더욱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시조 종주국의 연구자들이 시조 번역이 어떤 실천적 행위이며 어떤 어려움이 있고 그 어려움에 어떻게 대응함으로써 원 시조가 영역 시조로 어떻게 재창조되고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것이 이 논문의 문제의식이다.
구체적인 논의를 위하여 럿트의 시조 영역 활동을 예로 삼았다. 럿트의 영역 시조를 원 시조와 견주어 살펴봄으로써, 문화 텍스트이자 문학 텍스트인 시조 번역의 어려움과 한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영어의 문법 체계에는 존재하지 않지만 시조의 전반적인 분위기나 어조에 영향을 미치는 조사를 번역하는 문제, 상황이나 상태를 기술하는 평가어인 형용사를 번역하는 문제, 여러 의미가 압축되어 있는 한자어를 번역하는 문제, ‘절로’ 등 특별한 시어이자 문화어를 번역하는 문제가 있었고, 무엇보다도 시조 형식과 관련하여 시조다움을 영어로 옮겨야 하는 미학적 차원의 문제가 크게 부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럿트가 번역한 시조는 그 모든 차원의 문제와 어려움에 대한 그의 답변이자 창조적 해결이라고 할 수 있는데, 럿트는 번역을 통해 원 시조와 유사하지만 동시에 구별되는 영어 시조의 세계를 보여주었다.
럿트와 그의 영역시조집이 끼친 영향력을 감안해볼 때 럿트의 영역에 대한 이해는 그 자체로 영어 시조의 미학이 탄생하는 과정에 대한 이해라는 의미를 지닌다. 나아가 시조를 다른 언어로 번역하려고 할 때 부딪치거나 해결해야 할 과제가 무엇인지, 그 과제에 어떻게 대응할 것인지, 그 결과 어떤 일이 일어나는 지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깊게 해준다. 럿트를 비롯한 미국 내 번역가들의 영역 시조가 완벽한 것은 물론 아니다. 그러나 이 논문에서는 원 시조에서 벗어난 부분이나 달라진 부분 등을 찾아 지적하고 비판하지는 않았다. 그것이 생산적이지 않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번역은 미완이고 늘 차선이며 더 나은 시조 번역을 찾아 떠나는 여정이 우리 앞에 여전히 놓여 있기 때문이다. 번역의 여러 문제와 어려움에 대한 새로운 답이 얼마든지 가능한 것이다. 시조의 세계문학으로서의 보편성과 한국문학으로서의 고유성에 대한 이해를 깊게 하고 시조의 생산성을 확인할 수 있는 시조 번역에, 고시가 연구자들 역시 여러 방식이나 수준으로 참여하기를 희망한다. 그 결과 세계문학으로서의 시조의 미학이 확장되고 진화하기를 희망한다.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김흥규 외 6인, 『고시조대전』,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2. | 미소장 |
2 | 강혜정, 『20세기 전반기 고시조 영역의 전개 양상』,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 미소장 |
3 | 김대행, 『한국 시가 구조 연구』, 삼영사, 1990. | 미소장 |
4 | 김선영, 「송암 권호문의 청성산 공간 경영의 의미」, 『어문논총』 제87집, 한국어문학회, 2021, 91∼115면. | 미소장 |
5 | 김학성, 「시조 3장의 구조와 미학적 지향」, 『한국 시조시학』 창간호, 고요아침, 2006, 118∼119면. | 미소장 |
6 | 마승혜, 「소통적 문학 번역 사례 연구 및 교육적 함의」, 『통역과 번역』 제18권 1호, 한국통역번역학회, 2016, 41∼74면. | 미소장 |
7 | 박영란, 「시조 번역 비교-분석 : Kim과 McCann을 중심으로」, 『통번역교육연구』 제19권 1호, 한국통번역교육학회, 2021, 123∼141면. | 미소장 |
8 | 박진임, 「문학 번역과 문화 번역 : 한국 문학 작품의 영어 번역에 나타나는 문제점 연구」, 『번역학연구』 제5권 1호, 한국번역학회, 2004, 162면. | 미소장 |
9 | 박진임, 「한국문학의 세계화와 번역의 문제 : 시조의 영어 번역을 중심으로」, 『번역학 연구』 8권 10호, 한국번역학회, 2007, 151∼173면. | 미소장 |
10 | 손대현, 「<한거십팔곡>의 형상화와 출처 갈등의 실상」, 『한국시가연구』 제52집 ,한국시가학회, 2021, 87∼63면. | 미소장 |
11 | 송지언, 「<한거십팔곡(閑居十八曲)>과 통과제의」, 『고전문학과 교육』 제15집,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08, 303∼328면. | 미소장 |
12 | 신경숙, 「시조 영역의 길을 찾는 여정」, 『한민족어문학』 제68집, 한민족어문학회, 2014, 773∼778면. | 미소장 |
13 | 심재기, 「문화적 전이로서의 번역 : 문학번역에 있어서의 「토속적인 표현」의 번역의 문제」, 『번역문학』 제5집, 연세대 출판부, 2004, 36∼38면. | 미소장 |
14 | 양청수, 「통역번역에서의 문화적 맥락 : 분석과 대응」, 『통역번역에서 문화 요소의 전이 : 아시아를 중심으로』, 이화여대 통역번역연구소, 2007, 63면. | 미소장 |
15 | 염은열, 「고전시가 향유 및 학습 방법으로서의 번역–시조를 예로-」, 『고전문학과 교육』 제43집,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9, 5∼33면. | 미소장 |
16 | 염은열, 「세계화 시대, 시조의 고유성과 보편성 탐색 –형식 논의로 본 시조의 매력-」, 『우리말글』 제87집, 우리말글학회, 2020, 357∼389면. | 미소장 |
17 | 염은열·유영미, 「럿거스 대학의 시조 수업 사례 연구-시조를 중심으로」, 『국어교육』 170호, 한국어교육학회, 2020, 233∼272면. | 미소장 |
18 | 원영희, 「번역의 가능성과 불가능성 : 시 번역을 중심으로」, 『번역학 연구』 제7권 2호, 한국번역학회, 2006, 127∼149면. | 미소장 |
19 | 이광우, 「16세기 중후반 안동 사족 권호문의 향촌 사회 활동」, 『역사학연구』 78권, 호남사학회, 2020, 37∼74면. | 미소장 |
20 | 임종찬, 「현대시조의 진로 모색과 세계화 문제 연구」, 『시조학논총』 제23집, 한국시조학회, 2005, 33∼48면. | 미소장 |
21 | 임종찬, 「다각적 관점에서 본 시조 형식 연구」, 『시조학논총』 제30집, 한국시조학회, 2009, 147∼164면. | 미소장 |
22 | 전인평,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 음악』, 현암사, 2007. | 미소장 |
23 |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2』, 지식산업사, 1994 3판. | 미소장 |
24 | 최재남, 「<독락팔곡>와 <한거십팔곡>의 정서적 연관」, 『한국문학논총』 제16집, 한국문학회, 1995, 223∼246면. | 미소장 |
25 | 하윤섭, 「‘행위자의 귀환’과 송암 시가의 재해석」, 『민족문화연구』 71호, 고대 민족문화연구원, 2016, 157∼183면. | 미소장 |
26 | 한재남, 「시조의 미국 진출-번역과 수용」, 『인문과학연구』 19호, 동덕여대 인문과학연구소, 2012, 79∼106면. | 미소장 |
27 | 김욱동, 『번역의 미로』, 글항아리, 2011. | 미소장 |
28 | 진 보즈 바이어(정영목 옮김), 『문학의 번역』, 도서출판 강, 2017. | 미소장 |
29 | Bly, R., The Eight Stage of Translation. The Kenyon Review, Spring vol. 4, no. 2, 1982, pp.68∼89. | 미소장 |
30 | Brother Anthony of Taizé, Richard Rutt, pioneer in Korean studies, passes away (http://www.koreatimes.co.kr/www/news/special/2011/08/178_92085.html.) | 미소장 |
31 | James Wade, Richard Rutt and Korea : A shared Maturity, Korea Journal(June), 한국학중앙연구원, 1974, pp.50∼53. | 미소장 |
32 | Koh, G., A conversation with Richard Rutt, ACTA KOREANA, vol.11(1),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008, pp.127∼144. | 미소장 |
33 | Lee, Peter, Introduction to the Sijo : the Epigram, East & West. vol.7 no.1, Istituto Italiano per l'Africa e l'Oriente (IsIAO), 1956, pp.61∼66. | 미소장 |
34 | Lee, P., (BookReview) Bamboo Grove, Journal of Asian Studies Feb, Duke University Press, 1972, pp.427∼428. | 미소장 |
35 | Lee, Peter, Ed. Anthology of Korean Literature: From Early Times to the Nineteenth Century. University of Hawaii Press, 1981. | 미소장 |
36 | McCann, D.. The Structure of Korean Sijo. Havard Journal of Asiatic Studies 36, Harvard-Yenching Institute, 1976, pp.114∼134. | 미소장 |
37 | McCann, D., Early Korean Literatur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0. | 미소장 |
38 | McCann, D., Urban Temple : Sijo, Twisted and Straight, Breinigsville: PA:Bo-Leaf Books, 2010. | 미소장 |
39 | O’Rourke, K. The Book of Korean Sijo, Harvard University Asia Center, 2002. | 미소장 |
40 | Pratt, K. & Rutt, R., Korea : A Historical and Cultural Dictionary,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2013. | 미소장 |
41 | Rutt, Richard, The Bamboo Grove: An Introduction to Sijo,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71. | 미소장 |
42 | Rutt, Richard, James Scarth Gale and his History of the Korean People, Royal Asiatic Society, 1972. | 미소장 |
43 | Rutt, Richard, The Bamboo Grove: An Introduction to Sijo, Th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998. | 미소장 |
44 | Rutt, Richard, Translation of Korean Poetry into English before 1950, Korea Journal, 13(November), 한국학중앙연구원, 1973, pp.21∼30. | 미소장 |
45 | Shin, E. K., “A Reception Aesthetic Study on Sijo in English Translation:The Case of James S. Gale.”, Seoul Journal of Korean Studies. vol.26,no.1.,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3, pp.175∼213.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3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