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조선후기 김려의 『우해이어보』(1803), 정약전의 『자산어보』(1814), 그리고 서유구의 『난호어목지』「어명고」(1820)는 명물・고증을 통해 동아시아의 박물 전통을 새롭게 반영하였다. 어보들의 명물고증 작업은 물고기의 이름과 그의 생물학적 실체 사이의 대응관계를 증험하되 이 대응관계를 바탕으로 한 어류 지식 체계를 구축하는 데 그 목적이 있었다. 그 특징으로는 첫째, 물고기의 이름을 확정하여 표제로 삼을 때 주로 한자를 사용하였다. 둘째, 『자산어보』와 「어명고」에서 재인용이나 간접 인용 방식을 많이 취했다. 셋째, 중국과 일본 문헌에서 등장한 한자 명칭으로 쓰인 물고기가 조선 속명으로 불리는 또 다른 물고기와 서로 같은 종류인지를 판별하였다. 넷째, 물고기 이름과 실체 사이 대응관계가 성립되었다면 중국과 일본 문헌을 통해 경험적 지식을 보완하고 또 기존의 문헌 정보를 수정하였다.

이 작업은 기존의 문헌 지식과 경험적 지식을 조율하고, 그리고 한자 중심의 지식 체계를 공유하는 동아시아에서 외래 지식과 토착 지식을 비교・검토하는 과정이었다. 이 작업을 통해 어류 지식 체계를 재구축하고자 한 것은 저자들이 다시금 지식 생산자로서의 역할을 확보하고자 했으며, 동아시아란 정치적 위계질서 다분한 공간 속에서 비교적 균형 잡힌 지식 구조를 구현하려 한 것으로 보인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호서학인 조극선의 일기를 통해 본 상극(相剋)과 상생(相生)의 경계 = The boundary of incompatibility and co-prosperity as seen through the diary of Jo Geuk-seon, an intellectual in Hoseo : the competitive symbiosis of Confucian scholars and Buddhists in the 17th century 김학수 p. 7-51

해방 전후 정인보의 교유 관계 = A study on Jeong In-bo’s fellowship before and after Korean independence 이남옥 p. 53-80

조선후기 호론(湖論)과 낙론(洛論)의 논쟁과 교유 = Conflicts and correspondence : new insight into the Horak debate in the late Joseon society 신상후 p. 81-121

한국에서 플랫폼 협동조합의 가능성 : Experiments of platform cooperatives in Korea : a case study on Life Magic Care Cooperative / 라이프매직케어협동조합 사례 연구 김철식 p. 125-155

조선초기 맹암 김영렬의 삶과 군사활동 = The life and military activity of Maengam Kim Yeong-reol in the earlier Joseon 김경록 p. 157-194

추포 황신의 관직생활과 정치활동 = Chupo Hwang Shin’s life and political activities 임선빈 p. 195-233

전남 <산악전설>의 존재양상과 지역적 정체성 = The existence pattern and regional identity of the <Mountain Legend> in Jeollanam-do 권도경 p. 235-273

조선후기 『기우제등록』의 청계천·한강 수표(水標) 기상기록 연구 = A study of water mark meteorological records of late Joseon : sourced from comprehensive records of Ritual for Rain 김일권 p. 275-352

조선후기 어보(魚譜)의 '명물고증' 작업과 동아시아의 지식 유통 = The “naming and textual research” in the books of fishes in the late Chosŏn Dynasty and the knowledge circulation in East Asia 정쩌싱 p. 353-392

『함흥본궁의식』 소재 별대제 편성악기에 대한 고찰 = Operation of orchestration in special memorial rites from Hamheung Bon-gung Ceremony 김영주 p. 393-434

개신교 한문서학서 『덕혜입문(德慧入門)의 국내 수용과 번역 양상 탐구 = A study on the distribution and translation of a Protestant Chinese Western learning book in Korea : Dehuirumen(The Gate of Virtue and Wisdom) 이고은, 서신혜 p. 435-4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