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잡지 『새벽』의 편집진과 편집 체제에 대한 연구 / 윤영현 1

국문초록 1

1. 들어가며 2

2. 『새벽』의 편집 체제와 편집진 구성의 변화과정 14

3. 『새벽』의 발간 배경, 편집 특징과 잡지 체제의 변화과정 및 편집진들의 면모(성격) 18

3.1. 발간 배경 19

3.2. 1기 편집 체제의 수립·전개 과정과 편집 특징 25

3.3. 침체기 극복 후 2기 편집 체제의 수립·전개 과정과 편집 특징 30

3.4. 신동문과 이어령의 활약. 2기 혁신호 체제의 저항 주체 창출 기획 37

3.5. 4.19-제2공화국 시기 편집 주체들의 향방과 이후의 궤적 43

4. 『새벽』 편집진들의 1950년대 맥락에서의 특성과 의의 45

5. 나가며 56

참고문헌 59

Abstract 62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19~20세기 간척으로 인한 섬의 토지이용 실태 : Land use of islands due to reclamation in the 19th and 20th centuries : Jeonjungdo and Hujungdo cases / 전증도·후증도 사례 김경옥 p. 5-37

보기
작동하지 않는 가족공동체와 산업화 세대 여성의 위상 = A dysfunctional family community and status of women in the industrial generation in Korea 김종수 p. 39-63

보기
외국인 교환학생의 한국 문화 친숙도와 대학 생활 적응 및 한국어 학습의 상관관계 = Correlation between Korean culture familiarity of foreign exchange students and college life adaptation & Korean language learning 김지혜 p. 65-89

보기
식민지 맑스주의 철학자의 '파시즘'과 '동양주의' 인식 : Marxists’ perspective of fascism and Orientalism during the colonial period : focusing on Park Chi-woo / 박치우를 중심으로 박민철 p. 91-124

보기
한글 의서 언해류 문헌의 어휘 역사 데이터베이스 구축 연구 =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a lexical historical database of Korean medical manuals in Hangeul 배준영 p. 125-161

보기
선비정신의 현대화와 정치철학적 함의 = Modernization of Seonbi spirit and political philosophical implications 심승우 p. 163-190

보기
잡지 『새벽』의 편집진과 편집 체제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editorial member and editorial system of the magazine 『Saebyeok』 윤영현 p. 191-254

보기

참고문헌 (56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새벽』 미소장
2 『사상계』 미소장
3 김건우, 『사상계와 1950년대 문학』, 소명출판, 2003. 미소장
4 김건우, 『대한민국의 설계자들』, 느티나무 책방, 2017. 미소장
5 김려실, 김경숙, 손남훈, 이시성, 『사상계, 냉전 근대 한국의 지식장』, 역락, 2020. 미소장
6 김성한, 『김성한 중단편집』, 책세상, 1988. 미소장
7 김욱동, 『<광장>을 읽는 일곱 가지 방법』, 문학과지성사, 1996. 미소장
8 김준엽, 『장정 1- 나의 광복군 시절( )』, 나남출판, 1989. 미소장
9 김재순, 안병훈, 『우암 김재순이 말하는 한국 근현대사-어느 노 정객과의 시간 여행』, 기파랑, 2016. 미소장
10 김판수, 『신동문 평전』, 북스코프, 2011. 미소장
11 김호섭, 4월혁명의 사회심리적 발생요인 , 『4월민주혁명의 재조명』, 공동체, 2010. 미소장
12 문정인, 김세중 편, 『1950년대 한국사의 재조명』, 선인, 2004. 미소장
13 사상계 연구팀, 『냉전과 혁명의 시대 그리고 사상계』, 소명출판, 2012. 미소장
14 서중석, 『조봉암과 1950년대 상/하』, 역사비평사, 1999. 미소장
15 이광수, 『도산 안창호』, 대성문화사, 1953. 미소장
16 이용호, 『주요한 연구』, 동광문화사, 2002. 미소장
17 염무웅 엮음, 『신동문 전집』, 창비, 2020. 미소장
18 염무웅, 『문학과 시대 현실』, 창작과 비평, 2010. 미소장
19 장리욱, 『백 년 전의 꿈』,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22. 미소장
20 장준하, 『장준하 전집1-돌베개』, 세계사, 1992. 미소장
21 정진석, 『한국 잡지 역사』,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미소장
22 주요한. 『주요한 문집-새벽Ⅰ』, 요한기념사업회, 1982. 미소장
23 주요한. 『주요한 문집-새벽Ⅱ』, 요한기념사업회, 1982. 미소장
24 최원식, 임규찬 엮음, 『4월혁명과 한국문학』, 창비, 2002. 미소장
25 흥사단사편찬위원회, 『흥사단 오십년사』, 대성문화사, 1964. 미소장
26 『흥사단 운동 칠십년사』, 흥사단 출판부, 1986. 미소장
27 호영송, 『창조의 아이콘, 이어령 평전』, 문학세계사, 2013. 미소장
28 오무라마스오, 심원섭역, 『사랑하는대륙이여-시인김용제연구』, 소명출판, 2016. 미소장
29 후지이 다케시 , 『파시즘과 제3세계주의 사이에서』, 역사비평사, 2012. 미소장
30 Hahn-Been Lee, Korea: Time, Change and Administration, East-West Center Press, University of Hawaii, 1968. 미소장
31 고지혜, 사상계 신인 문학상과 1960년대 소설의 형성 , 『우리문학연구』 49, 우리문학회, 2016. 미소장
32 권보드래, 4.19와 5.16, 자유와 빵의 토포스 , 『상허학보』 30, 상허학회, 2010. 미소장
33 김경숙, 한국연극사에서 사상계의 위치연구 연극전문지 공백기(1950 1960년대)의 사상계 극문학 수록양상 중심으로 , 『한국문학논총』 79, 한국문학회, 2018. 미소장
34 김려실, 화보로 보는/읽는 『사상계』-1960년대 『사상계』와 혁명의 망탈리테 , 『상허학보』 57, 상허학회, 2019. 미소장
35 김효재, 1950년대 종합지 『새벽』의 정신적 지향(1) , 『한국현대문학연구』 46, 한국현대문학회, 2015.8. 미소장
36 박지영, 냉전(冷戰) 지(知)의 균열과 저항 담론의 재구축 1950년대 후반 1960년대 전반 사상계 번역 담론을 통해 본 지식 장( )의 변동 , 『반교어문연구』 41, 반교어문학회, 2015. 미소장
37 이상록, 사상계에 나타난 자유민주주의론 연구 , 한양대 박사논문, 2010. 미소장
38 이상록, 경제제일주의의 사회적 구성과 ‘생산적 주체’만들기 , 『역사문제연구』25, 역사문제연구소, 2011. 미소장
39 이상록, 특집에 대하여 , 『역사문제연구』 25, 역사문제연구소, 2011. 미소장
40 이종호, 1960년대 <세계전후문학전집>의 발간과 전위적 독서주체의 기획 , 『한국학연구』 41, 인하대 한국학연구소, 2016.5. 미소장
41 이정은, 4.19에 대한 대자본가의 대응과 축적방식의 변화 , 『역사문제연구』 25, 역사문제연구소, 2011. 미소장
42 임지연, 1960년대 사상계의 “세계” 이해와 세계문학 담론 , 『겨레어문학』 52, 겨레어문학회, 2014. 미소장
43 오제연, 1960년대 전반 지식인들의 민족주의 모색 , 『역사문제연구』 25, 역사문제연구소, 2011. 미소장
44 윤상현, 1960년대 사상계의 경제 담론과 주체 형성 기획 , 『동국사학』 57,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14. 미소장
45 윤영현, 전후세대 소설의 두 양태 , 연세대 국어국문학과 석사학위 논문, 2017. 미소장
46 윤영현, 1950년대 사상계의 ‘중국’ 표상 및 담론 연구 , 『동방학지』 182,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8. 미소장
47 장수경, 『학원』의 문학사적 위상 연구 , 고려대 국어국문학과 박사학위 논문, 2010. 미소장
48 정진석, 잡지변천사 , 『신문연구』 68, 1998. 미소장
49 정진석, 인물로 본 한국언론 100년(13)-잡지 출판인들 , 『신문과 방송』 260, 1992.8. 미소장
50 정혜경, 4 19의 장( )과 사상계 신인작가들의 소설 , 『현대소설연구』 62, 한국현대소설학회, 2016. 미소장
51 최윤경, 『광장』개작의 의의: 폭력에 대한 인식의 변화 , 『현대문학이론연구』 59, 현대문학이론학회, 2014. 미소장
52 최애순, 1950년대 사상계와 전후 신세대 오상원의 휴머니즘 , 『우리문학연구』57, 우리문학회, 2018. 미소장
53 한수영, 전후세대의 문학과 언어적 정체성 , 『대동문화연구』 58, 성균관대 대동문화연구소, 2007. 미소장
54 한영현, 사상계의 시민사회론을 통해 본 젠더인식 , 『한국민족문화』 50,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4. 미소장
55 황병주, 박정희 체제의 지배담론-근대화 담론을 중심으로 , 한양대 박사학위 논문, 2008. 미소장
56 후지이 다케시, 4.19/5.16시기의 반공체제 재편과 그 논리 , 『역사문제연구』 25, 역사문제연구소, 2011.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