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잡지 『새벽』의 편집진과 편집 체제에 대한 연구 / 윤영현 1
국문초록 1
1. 들어가며 2
2. 『새벽』의 편집 체제와 편집진 구성의 변화과정 14
3. 『새벽』의 발간 배경, 편집 특징과 잡지 체제의 변화과정 및 편집진들의 면모(성격) 18
3.1. 발간 배경 19
3.2. 1기 편집 체제의 수립·전개 과정과 편집 특징 25
3.3. 침체기 극복 후 2기 편집 체제의 수립·전개 과정과 편집 특징 30
3.4. 신동문과 이어령의 활약. 2기 혁신호 체제의 저항 주체 창출 기획 37
3.5. 4.19-제2공화국 시기 편집 주체들의 향방과 이후의 궤적 43
4. 『새벽』 편집진들의 1950년대 맥락에서의 특성과 의의 45
5. 나가며 56
참고문헌 59
Abstract 62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새벽』 | 미소장 |
2 | 『사상계』 | 미소장 |
3 | 김건우, 『사상계와 1950년대 문학』, 소명출판, 2003. | 미소장 |
4 | 김건우, 『대한민국의 설계자들』, 느티나무 책방, 2017. | 미소장 |
5 | 김려실, 김경숙, 손남훈, 이시성, 『사상계, 냉전 근대 한국의 지식장』, 역락, 2020. | 미소장 |
6 | 김성한, 『김성한 중단편집』, 책세상, 1988. | 미소장 |
7 | 김욱동, 『<광장>을 읽는 일곱 가지 방법』, 문학과지성사, 1996. | 미소장 |
8 | 김준엽, 『장정 1- 나의 광복군 시절( )』, 나남출판, 1989. | 미소장 |
9 | 김재순, 안병훈, 『우암 김재순이 말하는 한국 근현대사-어느 노 정객과의 시간 여행』, 기파랑, 2016. | 미소장 |
10 | 김판수, 『신동문 평전』, 북스코프, 2011. | 미소장 |
11 | 김호섭, 4월혁명의 사회심리적 발생요인 , 『4월민주혁명의 재조명』, 공동체, 2010. | 미소장 |
12 | 문정인, 김세중 편, 『1950년대 한국사의 재조명』, 선인, 2004. | 미소장 |
13 | 사상계 연구팀, 『냉전과 혁명의 시대 그리고 사상계』, 소명출판, 2012. | 미소장 |
14 | 서중석, 『조봉암과 1950년대 상/하』, 역사비평사, 1999. | 미소장 |
15 | 이광수, 『도산 안창호』, 대성문화사, 1953. | 미소장 |
16 | 이용호, 『주요한 연구』, 동광문화사, 2002. | 미소장 |
17 | 염무웅 엮음, 『신동문 전집』, 창비, 2020. | 미소장 |
18 | 염무웅, 『문학과 시대 현실』, 창작과 비평, 2010. | 미소장 |
19 | 장리욱, 『백 년 전의 꿈』,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22. | 미소장 |
20 | 장준하, 『장준하 전집1-돌베개』, 세계사, 1992. | 미소장 |
21 | 정진석, 『한국 잡지 역사』, 커뮤니케이션북스, 2014. | 미소장 |
22 | 주요한. 『주요한 문집-새벽Ⅰ』, 요한기념사업회, 1982. | 미소장 |
23 | 주요한. 『주요한 문집-새벽Ⅱ』, 요한기념사업회, 1982. | 미소장 |
24 | 최원식, 임규찬 엮음, 『4월혁명과 한국문학』, 창비, 2002. | 미소장 |
25 | 흥사단사편찬위원회, 『흥사단 오십년사』, 대성문화사, 1964. | 미소장 |
26 | 『흥사단 운동 칠십년사』, 흥사단 출판부, 1986. | 미소장 |
27 | 호영송, 『창조의 아이콘, 이어령 평전』, 문학세계사, 2013. | 미소장 |
28 | 오무라마스오, 심원섭역, 『사랑하는대륙이여-시인김용제연구』, 소명출판, 2016. | 미소장 |
29 | 후지이 다케시 , 『파시즘과 제3세계주의 사이에서』, 역사비평사, 2012. | 미소장 |
30 | Hahn-Been Lee, Korea: Time, Change and Administration, East-West Center Press, University of Hawaii, 1968. | 미소장 |
31 | 고지혜, 사상계 신인 문학상과 1960년대 소설의 형성 , 『우리문학연구』 49, 우리문학회, 2016. | 미소장 |
32 | 권보드래, 4.19와 5.16, 자유와 빵의 토포스 , 『상허학보』 30, 상허학회, 2010. | 미소장 |
33 | 김경숙, 한국연극사에서 사상계의 위치연구 연극전문지 공백기(1950 1960년대)의 사상계 극문학 수록양상 중심으로 , 『한국문학논총』 79, 한국문학회, 2018. | 미소장 |
34 | 김려실, 화보로 보는/읽는 『사상계』-1960년대 『사상계』와 혁명의 망탈리테 , 『상허학보』 57, 상허학회, 2019. | 미소장 |
35 | 김효재, 1950년대 종합지 『새벽』의 정신적 지향(1) , 『한국현대문학연구』 46, 한국현대문학회, 2015.8. | 미소장 |
36 | 박지영, 냉전(冷戰) 지(知)의 균열과 저항 담론의 재구축 1950년대 후반 1960년대 전반 사상계 번역 담론을 통해 본 지식 장( )의 변동 , 『반교어문연구』 41, 반교어문학회, 2015. | 미소장 |
37 | 이상록, 사상계에 나타난 자유민주주의론 연구 , 한양대 박사논문, 2010. | 미소장 |
38 | 이상록, 경제제일주의의 사회적 구성과 ‘생산적 주체’만들기 , 『역사문제연구』25, 역사문제연구소, 2011. | 미소장 |
39 | 이상록, 특집에 대하여 , 『역사문제연구』 25, 역사문제연구소, 2011. | 미소장 |
40 | 이종호, 1960년대 <세계전후문학전집>의 발간과 전위적 독서주체의 기획 , 『한국학연구』 41, 인하대 한국학연구소, 2016.5. | 미소장 |
41 | 이정은, 4.19에 대한 대자본가의 대응과 축적방식의 변화 , 『역사문제연구』 25, 역사문제연구소, 2011. | 미소장 |
42 | 임지연, 1960년대 사상계의 “세계” 이해와 세계문학 담론 , 『겨레어문학』 52, 겨레어문학회, 2014. | 미소장 |
43 | 오제연, 1960년대 전반 지식인들의 민족주의 모색 , 『역사문제연구』 25, 역사문제연구소, 2011. | 미소장 |
44 | 윤상현, 1960년대 사상계의 경제 담론과 주체 형성 기획 , 『동국사학』 57,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14. | 미소장 |
45 | 윤영현, 전후세대 소설의 두 양태 , 연세대 국어국문학과 석사학위 논문, 2017. | 미소장 |
46 | 윤영현, 1950년대 사상계의 ‘중국’ 표상 및 담론 연구 , 『동방학지』 182,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8. | 미소장 |
47 | 장수경, 『학원』의 문학사적 위상 연구 , 고려대 국어국문학과 박사학위 논문, 2010. | 미소장 |
48 | 정진석, 잡지변천사 , 『신문연구』 68, 1998. | 미소장 |
49 | 정진석, 인물로 본 한국언론 100년(13)-잡지 출판인들 , 『신문과 방송』 260, 1992.8. | 미소장 |
50 | 정혜경, 4 19의 장( )과 사상계 신인작가들의 소설 , 『현대소설연구』 62, 한국현대소설학회, 2016. | 미소장 |
51 | 최윤경, 『광장』개작의 의의: 폭력에 대한 인식의 변화 , 『현대문학이론연구』 59, 현대문학이론학회, 2014. | 미소장 |
52 | 최애순, 1950년대 사상계와 전후 신세대 오상원의 휴머니즘 , 『우리문학연구』57, 우리문학회, 2018. | 미소장 |
53 | 한수영, 전후세대의 문학과 언어적 정체성 , 『대동문화연구』 58, 성균관대 대동문화연구소, 2007. | 미소장 |
54 | 한영현, 사상계의 시민사회론을 통해 본 젠더인식 , 『한국민족문화』 50,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4. | 미소장 |
55 | 황병주, 박정희 체제의 지배담론-근대화 담론을 중심으로 , 한양대 박사학위 논문, 2008. | 미소장 |
56 | 후지이 다케시, 4.19/5.16시기의 반공체제 재편과 그 논리 , 『역사문제연구』 25, 역사문제연구소, 2011.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