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예술을 통해 국가 위상을 전파해온 프랑스 미술관의 역사적 전통과 맥락에 비추어 퐁피두센터(MNAM/CCI) 초기 비디오 소장품전의 기원과 디자인, 의미를 고찰한다. 전후 문화재건과 68혁명의 문화민주화 이상 실현을 위해 1977년 개관한 퐁피두센터는 현대의 예술과 삶과 평행하며 창조를 선도하는, 살아있고 열린 장소를 지향하며 당대의 실험 예술인 비디오아트를 수집해왔다. 초기 소장품은 1970-80년대 북미권에서 등장한 개념적 작품과 68혁명의 여운 속 비디오의 정치화를 추구한 프랑스 다큐멘터리들로 구성되어 있다. 《비디오 빈티지》는 2000년대부터 뮤지엄과 지식의 세계화 과정에서 이 소장품을 활용해 기획한 해외 순회전으로, 대표 초기작만 엄선해 빈티지 디자인과 아날로그 TV를 통해 역사적으로 보여줌으로써 역설적으로 복제본의 희귀성과 진품성을 강조하며 실험예술의 수용에 선구적이었던 미술관의 과거를 회상하며 향수를 불러일으킨다. 본고는 그러한 매체 특화된, 감성적 전시 디자인을 통해 드러난 퐁피두센터의 자기 인식과 표현법, 그리고 그 이면에 전개되는 현대 예술의 요람과 중심지로서의 기관과 국가 위상을 홍보하는 문화정치적 함의를 독해하는 기초적 시각을 제공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ideal of cultural democracy and international hegemony under the afterglow of the 1968 Revolution, the Centre Pompidou, an anti-monument inaugurated in 1977 in Beaubourg area, initiated a collection of early video art that was both an experimental and counter-culture of its times. Video Vintage was one of the Centre’s overseas video collection tour exhibitions, organized from the 2000s alongside the globalization of museum and collections. By carefully selecting only the founding pieces and displaying them historically on vintage TV sets and space design, this exhibition ironically highlights the rarity and authenticity of the replica collection and recollects the pioneering past activities regarding emerging technological art. The present study argues that through such media-specific and nostalgic design, this exhibition not only writes the history of early video art but also symbolically promotes the identity of the Centre and its home nation as the cradle and center of contemporary art.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한일 스토리 만화의 형성과 잡지의 역할 : The role of magazines in the formation of the comic genre in South Korea and Japan : Hakwon and Shonen Club in the 1950s / 1950년대 『학원』과 『소년 클럽(少年クラブ)』을 중심으로 김소원 p. 5-26

양귀자 장편소설에 나타나는 모녀 관계와 여성 주체 연구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 and daughter in Yang Gwi-ja's novel : focusing on 'Contradiction' / 『모순』을 중심으로 김영은 p. 27-45

박화성 장편소설 서사전략 연구 : A study on the narrative strategy in Park Hwa-seong's novels : focusing on Baekhwa, Dawn of the Northern Country, Passing over the hill / 『백화』, 『북국의 여명』, 『고개를 넘으면』을 중심으로 조미숙 p. 47-67

중국영화의 로컬리티와 동아시아 : The locality of 1980s Chinese cinema and East Asia / 1980년대를 중심으로 이호걸 p. 69-91

비판적 예술로서의 허구 개입적 다큐멘터리 : Fictional documentary as critical art in Everything Will Be Okay / <에브리씽 윌 비 오케이>를 중심으로 황윤정 p. 93-114

퐁피두센터 초기 비디오아트 소장품전의 기원과 디자인, 의미 = A study on the exhibition of early video art collections of Centre Pompidou : origin, design and meaning 나일민 p. 115-136

'향토'의 상상과 재현 : The imagination of locality and its materialization : two predictable encounters between Korean choreographer Choi Seung-hee and colonial Taiwan in the 1930s / 1930년대 무용가 최승희와 식민지 대만의 두 차례 만남 서승임 p. 137-161

디아스포라 아리랑 콘텐츠 분석 : A cultural analysis on the Song of Diaspora : Arirang Road / <디아스포라의 노래 : 아리랑 로드>를 중심으로 이사랑 p. 163-184

남북한 근대 동요의 원형과 변형 찾기 = Searching for the original and modified forms of Korean children's songs of the modern century : the banned and transformed songs in the Adong-gayogogseon (Children's Songs Selection) : 『아동가요곡선』에 나타나는 금지곡과 개작된 노래의 실제 최윤실 p. 185-210

정신건강 분야 음악치료사의 음악 적용과 철학적 성찰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 An autoethnography on the experience of a music therapist's music application and philosophical reflections in the mental health field 문현호, 문소영 p. 211-234

국내 유아무용교육의 연구동향 분석 = Historical trends of academic research in early childhood dance 조주희 p. 235-257

예술의 (자기)성찰로서의 독일 낭만주의 : German romanticism and the self-reflection of art : Friedrich Schlegel's romantic theory and Ludwig Tieck's Der Blonde Eckbert / 프리드리히 슐레겔의 낭만주의 이론과 루드비히 티이크의 『금발의 에크베르트』를 경우로 김진환 p. 259-280

미술저작권 활성화 방안에 대한 검토 : Measures to facilitate copyright in the field of visual arts : copyright trust management / 저작권 신탁관리를 중심으로 박경신 p. 281-302

참고문헌 (28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윤난지. 『전시의 담론』. 눈빛, 2017. 미소장
2 이용우. 『비디오 예술론』. 문예마당, 2000. 미소장
3 Baudrillard, Jean. 배영달 옮김. 『사물의 체계』. 지만지, 2011. 미소장
4 Hauser, Arnold. 염무웅ㆍ반성완 옮김.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 3』. 창작과 비평사, 2001. 미소장
5 Poulot, Dominique. 김한결 옮김. 『박물관의 탄생』. 돌베게, 2014. 미소장
6 Anderson, Benedict. Imagined communities. Reflections on the origin and the spread of nationalism. London; New York: Verso, 1983. 미소장
7 Dufrene, Bernadette. La creation de Beaubourg. Grenoble: Presses universitaires de Grenoble, 2000. 미소장
8 La video, entre art et communication. Paris: École nationale suprieure des beaux-arts, 1997. 미소장
9 Pomian, Krzysztof. Collectionneurs, amateurs et curieux : Paris, Venise : XVIe-XVIIIe siècles. Paris: Gallimard, 1987. 미소장
10 Van Assche, Christine. Collection Nouveaux Médias – Installations. Paris: Centre Pompidou, 2006. 미소장
11 Van Assche, Christine, Collective and Pacquement, Alfred. Video vintage 1963-1983. Paris: Centre Pompidou, 2012. 미소장
12 나일민. 「 비물질전》연구」. 『한국예술연구』제31호. 한국예술연구소, 2021. https://doi.org/10.20976/kjas.2021..31.005. 미소장
13 나일민. 「프랑스 미술관의 초기 백남준 예술 수용의 맥락과 의미」. 『탈경계인문학』제10권 제2호. 이화인문과학원, 2017. https://doi.org/10.22901/trans.2017.10.2.65. 미소장
14 이수정. 「퐁피두센터 “비디오 빈티지: 1963-1983” 전을 통해 본 뉴미디어 소장품순회전 사례 연구」. 『국립현대미술관 연구논문집』제5집. 국립현대미술관, 2013. 미소장
15 정연복. 「루브르 박물관의 탄생-콜렉션에서 박물관으로」. 『불어문화권연구』제19호. 서울대학교 불어문화권연구소, 2009. 미소장
16 Davallon, Jean. “Le musée est-il vraiment un média?” Publics et Musées. No. 2, Dec. 1992. https://doi.org/10.3406/pumus.1992.1017. 미소장
17 Van Assche, Christine. “Approche Esthetique et Muséologie des Nouveaux Medias.” 3e Biennale de Lyon. Paris: RMN, 1995. 미소장
18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개관기념 퐁피두센터 소장품전《비디오 빈티지: 1963-1983》전 개최」. 국립현대미술관 보도자료, 2013.9.30. 미소장
19 권근영. 「파리 퐁피두 미술품 서울 첫 나들이」. 『중앙일보』, 2008.11.21. https://www.joongang.co.kr/article/3387540. 접속일 2023.2.16. 미소장
20 김인구. 「빈티지 소파에 앉아 흑백TV로 즐기는 비디오아트」. 『이데일리』, 2013.10.4.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1207046602969640. 접속일 2023.2.16. 미소장
21 노형석. 「세계화 시대에 박물관도 브랜드」. 『한겨레 신문』, 2006.11.1. https://www. hani.co.kr/arti/culture/culture_general/168913.html. 접속일 2023.2.16. 미소장
22 “A Flying Start-Richard Rogers and Pontus Hulten discuss Beaubourg and MOCA.”Images & issues. spring/summer, 1981. 미소장
23 국립현대미술관 아카이브 인터뷰. https://www.youtube.com/watch?v=lCqgoL1NUDo&t =402s. 접속일 2023.2.16. 미소장
24 《비디오 빈티지》전시 설치 과정. https://www.youtube.com/watch?v=ySo957m1j7E. 접속일 2023.2.16. 미소장
25 《비디오 빈티지》전시 포스터. https://www.mmca.go.kr/exhibitions/exhibitionsDetail. do?exhId=201304050002913. 접속일 2023.2.16. 미소장
26 퐁피두센터 뉴미디어 컬렉션 홈페이지 소개. http://mediation.centrepompidou.fr/education/ressources/ENS-nouveaux-medias/ENS-nouveaux-medias.html. 접속일 2023.2.16. 미소장
27 퐁피두센터《비디오 빈티지》전시 소개문. https://www.centrepompidou.fr/en/program/calendar/event/c7G6XeB. 접속일 2023.2.23. 미소장
28 퐁피두센터 아카이브 자료(DP-1999014). https://www.centrepompidou.fr/media/document/88/c4/88c4ce333e79ebc6ff5a640303cd3c3e/normal.pdf. 접속일 2023.2.23.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