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윤난지. 『전시의 담론』. 눈빛, 2017. | 미소장 |
2 | 이용우. 『비디오 예술론』. 문예마당, 2000. | 미소장 |
3 | Baudrillard, Jean. 배영달 옮김. 『사물의 체계』. 지만지, 2011. | 미소장 |
4 | Hauser, Arnold. 염무웅ㆍ반성완 옮김.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 3』. 창작과 비평사, 2001. | 미소장 |
5 | Poulot, Dominique. 김한결 옮김. 『박물관의 탄생』. 돌베게, 2014. | 미소장 |
6 | Anderson, Benedict. Imagined communities. Reflections on the origin and the spread of nationalism. London; New York: Verso, 1983. | 미소장 |
7 | Dufrene, Bernadette. La creation de Beaubourg. Grenoble: Presses universitaires de Grenoble, 2000. | 미소장 |
8 | La video, entre art et communication. Paris: École nationale suprieure des beaux-arts, 1997. | 미소장 |
9 | Pomian, Krzysztof. Collectionneurs, amateurs et curieux : Paris, Venise : XVIe-XVIIIe siècles. Paris: Gallimard, 1987. | 미소장 |
10 | Van Assche, Christine. Collection Nouveaux Médias – Installations. Paris: Centre Pompidou, 2006. | 미소장 |
11 | Van Assche, Christine, Collective and Pacquement, Alfred. Video vintage 1963-1983. Paris: Centre Pompidou, 2012. | 미소장 |
12 | 나일민. 「 비물질전》연구」. 『한국예술연구』제31호. 한국예술연구소, 2021. https://doi.org/10.20976/kjas.2021..31.005. | 미소장 |
13 | 나일민. 「프랑스 미술관의 초기 백남준 예술 수용의 맥락과 의미」. 『탈경계인문학』제10권 제2호. 이화인문과학원, 2017. https://doi.org/10.22901/trans.2017.10.2.65. | 미소장 |
14 | 이수정. 「퐁피두센터 “비디오 빈티지: 1963-1983” 전을 통해 본 뉴미디어 소장품순회전 사례 연구」. 『국립현대미술관 연구논문집』제5집. 국립현대미술관, 2013. | 미소장 |
15 | 정연복. 「루브르 박물관의 탄생-콜렉션에서 박물관으로」. 『불어문화권연구』제19호. 서울대학교 불어문화권연구소, 2009. | 미소장 |
16 | Davallon, Jean. “Le musée est-il vraiment un média?” Publics et Musées. No. 2, Dec. 1992. https://doi.org/10.3406/pumus.1992.1017. | 미소장 |
17 | Van Assche, Christine. “Approche Esthetique et Muséologie des Nouveaux Medias.” 3e Biennale de Lyon. Paris: RMN, 1995. | 미소장 |
18 |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개관기념 퐁피두센터 소장품전《비디오 빈티지: 1963-1983》전 개최」. 국립현대미술관 보도자료, 2013.9.30. | 미소장 |
19 | 권근영. 「파리 퐁피두 미술품 서울 첫 나들이」. 『중앙일보』, 2008.11.21. https://www.joongang.co.kr/article/3387540. 접속일 2023.2.16. | 미소장 |
20 | 김인구. 「빈티지 소파에 앉아 흑백TV로 즐기는 비디오아트」. 『이데일리』, 2013.10.4.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1207046602969640. 접속일 2023.2.16. | 미소장 |
21 | 노형석. 「세계화 시대에 박물관도 브랜드」. 『한겨레 신문』, 2006.11.1. https://www. hani.co.kr/arti/culture/culture_general/168913.html. 접속일 2023.2.16. | 미소장 |
22 | “A Flying Start-Richard Rogers and Pontus Hulten discuss Beaubourg and MOCA.”Images & issues. spring/summer, 1981. | 미소장 |
23 | 국립현대미술관 아카이브 인터뷰. https://www.youtube.com/watch?v=lCqgoL1NUDo&t =402s. 접속일 2023.2.16. | 미소장 |
24 | 《비디오 빈티지》전시 설치 과정. https://www.youtube.com/watch?v=ySo957m1j7E. 접속일 2023.2.16. | 미소장 |
25 | 《비디오 빈티지》전시 포스터. https://www.mmca.go.kr/exhibitions/exhibitionsDetail. do?exhId=201304050002913. 접속일 2023.2.16. | 미소장 |
26 | 퐁피두센터 뉴미디어 컬렉션 홈페이지 소개. http://mediation.centrepompidou.fr/education/ressources/ENS-nouveaux-medias/ENS-nouveaux-medias.html. 접속일 2023.2.16. | 미소장 |
27 | 퐁피두센터《비디오 빈티지》전시 소개문. https://www.centrepompidou.fr/en/program/calendar/event/c7G6XeB. 접속일 2023.2.23. | 미소장 |
28 | 퐁피두센터 아카이브 자료(DP-1999014). https://www.centrepompidou.fr/media/document/88/c4/88c4ce333e79ebc6ff5a640303cd3c3e/normal.pdf. 접속일 2023.2.23.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