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1

테셀레이션 모듈을 활용한 가변적 패션 디자인 연구 = A study on the transformable fashion design using tessellation module / 김기쁨 ; 노주현 ; 최윤미 1

Abstract 1

Ⅰ. 서론 1

Ⅱ. 이론적 배경 2

1. 가변적 패션 디자인 2

2. 모듈 패션 디자인 5

Ⅲ. 디자인 개발 8

1. 디자인 기획 8

2. 디자인 설명 및 활용 8

Ⅳ. 결론 11

REFERENCES 13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보육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서번트 리더십이 기본심리욕구를 매개로 교사-유아 관계에 미치는 영향 = Influence of perceived supervisor’s servant leadership on teacher-child relationship through basic psychological needs of childcare teachers 김지선, 민하영 p. 1-13

보기
아동의 자기보호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Factors affecting self-care of children : focusing on the 3rd grade of an elementary school : 초등학교 3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홍향희, 이정화 p. 15-26

보기
계획행동이론과 기술수용모델을 적용한 유료 OTT 구독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 및 지속이용의도 연구 = A study on satisfaction and continuous use intentions of paid OTT subscription service using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an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involvement : 관여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경영, 류미현 p. 27-45

보기
테셀레이션 모듈을 활용한 가변적 패션 디자인 연구 = A study on the transformable fashion design using tessellation module 김기쁨, 노주현, 최윤미 p. 47-59

보기
기능성 스포츠 마스크의 착용감 개선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improving the functionality and wearing comfort of sports masks 강미정 p. 61-72

보기
효소 및 초음파로 전처리한 가바쌀의 품질특성 = Quality characteristics of GABA rice(Oryza sativa L.) powder after enzyme and ultrasound treatment 이주영, 최은선, 유현희 p. 73-86

보기

참고문헌 (19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감선주, 유영선(2020). 자연 이미지의 유닛을 활용한 지속가능한 패션디자인 연구.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20(4), 143-159. 미소장
2 구남옥(2004). 한복치마의 가변성(可變性)을 이용한 디자인 연구. 한복문화, 7(3), 113-127. 미소장
3 김기쁨, 노주현, 최윤미(2020). 데님 소재를 활용한 리버시블 재킷디자인 개발: F/W 여성용 재킷을 대상으로. 한국생활과학회 동계연합학술대회 자료집(p. 59), 대전, 한국. 미소장
4 김슬기(2017). 종이접기 기법을 응용한 가변적 패션디자인 연구. 동덕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5 김혜리(2013). 현대 패션에 나타난 가변적 스타일링. 서울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6 두산백과(2021). 테셀레이션, https://www.doopedia.co. 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02532에서 인출. 미소장
7 박현정, 김혜경(2017). 데 스틸의 조형성을 응용한 컬러 블로킹 패션디자인 연구.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17(1), 1-18. 미소장
8 사이즈코리아(2023).표준인체치수, https://sizekorea.kr/human-info/meas-report?measDegree=8에서 인출. 미소장
9 송희진(2011). 가변성 의복디자인 사례를 통한 연구 및개발: 컨버터블 드레스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0 송희진, 김차현(2013). 가변성 의복디자인 사례를 통한연구 및 개발: 컨버터블 드레스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9(4), 377-389. 미소장
11 유정환, 이호중(2008). 에셔의 대립적 테셀레이션 작품의공간구성 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17(5), 40-50. 미소장
12 윤세나, 곽태기(2022). 한국 보자기를 활용한 가변적 패션디자인 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24(2), 11-26. 미소장
13 윤정아(2016). 가변시스템을 활용한 패션디자인 개발.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16(3), 99-119. 미소장
14 윤정아, 이연희(2014). 현대 패션디자인에 나타난 모듈러시스템의 표현특성. 복식, 64(7), 156-171. 미소장
15 전미진(2014). 가변적 웨딩드레스 디자인 제품 개발.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16 정영우, 김부윤, 유현기, 김도영, 조하현(2018). 평면 테셀레이션에 대한 대수적 고찰. 중등교육연구, 66(3), 901-935. 미소장
17 차임선, 원윤경(2015). 테셀레이션에 의한 한국 전통 디자인‘금문(錦紋)’의 변용 연구. 브랜드디자인학연구, 13(3), 273-284. 미소장
18 채은지(2019). 탈부착 방법에 의한 가변적 패션디자인 연구: 사각형 원형을 기반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9 채은지, 주보림(2021). 탈부착 방법에 의한 가변적 패션디자인 연구: 사각형 원형을 기반으로.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21(3), 19-37.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