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坂口安吾, 「FARCEに就て」, 青空文庫, https://www.aozora.gr.jp/cards/001095/files/45801_38837.html | 미소장 |
2 | 사카구치 안고, 최정아 옮김, 『백치⋅타락론 외』, 책세상, 2007. | 미소장 |
3 | 사카구치 안고, 최정아 옮김, 『사카구치 안고 산문집』, 지만지, 2014. | 미소장 |
4 | 사카구치 안고, 이한정 옮김, 『불량소년과 그리스도』, 그린비, 2021. | 미소장 |
5 | 손창섭, 『비오는 날』, 문학과지성사, 2005. | 미소장 |
6 | 柄谷行人, 『坂口安吾論』, インスクリプト, 2017. | 미소장 |
7 | 김태우, 『폭격: 미공군의 공중폭격 기록으로 읽는 한국전쟁』, 창비, 2013. | 미소장 |
8 | 마루카와 데쓰시, 장세진 옮김, 『냉전문화론』, 너머북스, 2010. | 미소장 |
9 | 문화, 「전후소설에 나타난 ‘인간동물’ 양상 연구: 사카구치 안고와 손창섭의 작품을 중심으로」, 서울대대학원석사논문, 2016. | 미소장 |
10 | 메도루마 슌, 안행순 옮김, 『오키나와의 눈물』, 논형, 2013. | 미소장 |
11 | 발터 벤야민, 「폭력비판을 위하여」, 최성만 옮김, 『발터 벤야민 선집 5⋅역사의 개념에 대하여/폭력비판을 위하여/초현실주의 외』, 길, 2008. | 미소장 |
12 | 서동주, 「‘타락’, 전후를 넘는 상상력: 사카구치 안고의 문화⋅주체⋅역사」, 『아시아문화연구』 18집,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0. | 미소장 |
13 | 佐々木中, 『戦争と一人の作家: 坂口安吾論』, 河出書房新社, 2016. | 미소장 |
14 | 사카사이 아키토, 박광현 외 옮김, 『‘잿더미’ 전후공간론』, 이숲, 2020. | 미소장 |
15 | 아라이 신이치, 윤현명⋅이승혁 옮김, 『폭격의 역사: 끝나지 않는 대량 학살』, 어문학사, 2015. | 미소장 |
16 | 양미영, 「손창섭과 사카구치 안고의 전후 소설에 나타난 실존과 본질: 여성 인물의 타락과 그 의미를 중심으로」,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84집,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9. | 미소장 |
17 | 정철훈, 『내가 만난 손창섭』, 도서출판b, 2014. | 미소장 |
18 | 주미경, 「다자이 오사무(太宰治)와 손창섭 문학 비교연구: 「인간실격」 「미해결의 장」에 나타난 사회 부적응 양상을 중심으로」, 중앙대대학원석사논문, 2014. | 미소장 |
19 | 브루스 커밍스, 김자동 옮김, 『한국전쟁의 기원』, 일월서각, 1986. | 미소장 |
20 | 한수영, 「관전사의 관점으로 본 한국전쟁 기억의 두 가지 형식」, 『어문학』 113집, 한국어문학회, 2011. | 미소장 |
21 | 허윤, 「한국 남성성의 문화적 (재)구성과 그 계보」, 『여성문학연구』 30집, 한국여성문학학회, 2013.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5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