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연구배경 및 목적) 코로나 펜데믹 이후 코스메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세대의 변화에 발맞춰 브랜드들도 단순히 상품이나 가격으로만 경쟁하던 시대를 뒤로하고, 새로운 브랜드 경험의 필요성이 대두되는 시대가 다가왔다. 특히, 새로운 소비 특성을 보여주는 MZ세대에 맞춰 브랜드 경험을 기반으로 VMD를 재구성해야 할 필요가 있다. 그렇기에 본 연구에서는 MZ세대의 소비 특성에 맞게 '브랜드 경험 모듈'을 새롭게 구성하고 그것을 기반하여 코스메틱 VMD 구성요소를 재정의하여 두 개념의 상관관계 도출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 (연구방법) 경험 이론의 요소는 추상적인 개념으로 코스메틱 VMD의 구성요소를 재정의하기 위한 기반으로 활용하기에는 부족한 부분이 있다고 판단했다. 그래서 MZ세대의 소비 특성을 기반으로 퍼널구조를 재정의하고, 공간 경험 디자인의 요소를 추가 구성하여 이 3가지를 종합해 브랜드 경험 모듈을 설정하였다. 이렇게 새롭게 구성된 브랜드 경험 모듈을 기반으로 코스메틱 VMD 구성요소를 5가지로 재정의하였다. 이를 토대로 코스메틱 브랜드 매장 5개를 선정하여, 새롭게 구성한 브랜드 경험 모듈과 재정의한 코스메틱 VMD 구성요소를 대입하여 사례 분석하여 두 가지 요소에 대한 상관관계를 결과로서 도출하였다. (결과) 사례 분석 모형으로 정리하였을 때, 브랜드 경험 모듈에 대한 영역과 코스메틱 VMD 구성요소에 대한 분석 영역이 겹치는 범위가 넓을수록 해당 브랜드 매장은 브랜드 경험 모듈을 잘 활용한 매장 VMD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새롭게 설정한 '브랜드 경험 모듈'과 코스메틱 VMD 구성요소 간의 상관관계에 대해 두 영역은 상당히 높은 유사도를 보였으며, 이를 통해 브랜드 경험을 코스메틱 매장의 VMD에 활용 가능하다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결론) 코스메틱 VMD 구성요소 중 브랜드 경험을 가장 잘 나타내는 요소는 VP(Visual Presentation), BP(Brand Point), CP(Customization Presentation) 세 가지 요소였다. 이 세 가지의 요소를 잘 활용한다면 브랜드 경험의 질과 효과를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브랜드 경험 모듈에서의 경험 요소 중 '개인/맞춤화' 요소는 '관계/사회적' 요소와 상호 보완적인 관계로 해석할 수 있는데, 두 가지 요소를 활용해 코스메틱 VMD 구성요소 중 CP 요소를 표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고객은 브랜드와 개인적인 경험 및 사회적 경험을 체험할 수 있다. 또한, 코스메틱 VMD 구성요소 중 VP와 BP를 활용하여 전체적인 매장의 분위기 조성과 브랜드 경험에 대한 기반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 내용을 토대로 향후 코스메틱 VMD를 넘어서 VMD 및 상업 공간디자인에 브랜드 경험을 활용한 요소들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길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After the COVID-19 pandemic interest in cosmetics has been increasing, and in line with the change of generation, the need for a new brand experience has emerged, leaving behind the era when brands were simply competing with products or prices.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reorganize VMD based on brand experience according to the MZ generation that shows new consumption characteristic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a correlation between the two concepts by newly constructing a 'Brand Experience Module' according to the consumption characteristics of the MZ generation and redefining the cosmetic VMD components based on it. (Method) It was judged that the elements of empirical theory were abstract concepts and that there was insufficient part to use as a basis for redefining the components of Cosmetic VMD. Then based on the consumption characteristics of the MZ generation, the funnel structure was redefined, and elements of spatial experience design were additionally constructed to set up the Brand Experience Module by synthesizing these three. Based on these, five cosmetic brand stores were selected, and case analysis were conducted by substituting the newly formed Brand Experience Module and the redefined cosmetic VMD components to derive a correlation between the two factors as a result. (Results) When summarized in the case analysis model, the wider the range of overlapping areas for Brand Experience Module and analysis areas for cosmetic VMD components, the better the brand store was found to be a store VMD that utilized the Brand Experience Module well. For the correlation between the newly established 'Brand Experience Module' and the cosmetic VMD component in this study, the two areas showed quite a high similarity, and this led to the result that the brand experience could be used for VMD in cosmetic stores. (Conclusions) Among the cosmetic VMD components, three factors that best represent brand experience were VP(Visual Presentation), BP(Brand Point), and CP(Customization Presentation). If these three factors are utilized well, the quality and effectiveness of the brand experience can be improved. In addition, the 'personalization/customization' element in the Brand Experience Module can be interpreted as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with the 'relational/social' element, which allows customers to experience personal and social experiences with the brand. Also VP and BP among cosmetic VMD components can be used to create the overall store atmosphere and play a fundamental role in the brand experienc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research on factors that utilize brand experience in VMD and commercial space design beyond cosmetic VMD will be conducted in the future.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서비스 디자인 측면에서 복합서점의 사회적 가치 = Exploring the social value of compound bookstores in terms of service design 김선영 p. 11-21

랜드마크의 의미범주간 대비가 길찾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 of contrast between meaning categories of landmarks on wayfinding 공건령, 정진우 p. 23-32

농산어촌 공공디자인 가이드라인의 실효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public design guidelines in rural area 손은지, 장영호, 김주연 p. 33-44

ESG 리질리언스를 기반으로 한 미디어아트 환경 조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reation of a media art environment based on ESG resilience 이학진, 최익서 p. 45-55

장소기억 기반 역사문화공간의 재생디자인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regeneration design of historical and cultural space based on place memory : focused on cases in China and Korea / 중·한 역사문화거리 사례를 중심으로 번건서, 김민경 p. 57-71

파리 레알 지구 상업공간의 도시공간적 변화와 특성 = Urban spatial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spaces in the Les Halles district of Paris 신예경 p. 73-85

가상공간을 활용한 스페이스 브랜딩 특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pace branding using virtual space 이은지, 민경훈 p. 87-98

중국 주강 삼각주 지역 중소형 박물관 공간의 장소적 표현 연구 = A study on the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placeness in small and medium-sized museums in the Pearl River Delta region of China 장령옥, 나일민 p. 99-109

어린이 공간 인지발달에 기반한 의료공간 인터랙션 디자인의 특성과 가치에 관한 연구 = Research on the characteristics and value of interaction design of medical space based on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spatial cognition : centering on the waiting space of children's hospital : 어린이병원 대기공간을 중심으로 시아 얜칭, 김철수 p. 111-124

홍콩 역사적 건축물의 문화적 재생 방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direction of cultural regeneration of historic buildings in Hong Kong : focus on the completed works since 2008 / 2008년 이후 개관한 사례를 중심으로 김희근 p. 125-137

고령자 주택개조 플랫폼 구축을 위한 일반 공동주택의 개조항목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renovation parameters of the general multi-unit dwellings for the platform construction of elderly housing renovation 홍사철, 김석태 p. 139-152

공개공지 유형에 따른 만족도 요인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factors of satisfaction by the type of open space 이민영, 이현성, 김주연 p. 153-164

노인의 공원 이용실태가 장소 애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influence of elderly people's park usage on place attachment 배지운, 정진우 p. 165-176

브랜드 경험 모듈 기반의 코스메틱 VMD 구성요소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cosmetic VMD components based on brand experience module : focusing on the consumption characteristics of the MZ generation : MZ세대 소비 특성을 중심으로 황혜성, 이재규 p. 177-190

언택트 공간서비스 관점에서 본 거점오피스 공간프로그램 = Space program of base office from the perspective of untact spatial service 이민아 p. 191-200

스마트홈 고도화 빌트인 시스템 디자인 연구 : A study on the design of built-in system according to the advancement of smart home : focus on the taxonomy by adaptive function type / 적응성 기능의 유형별 분류체계를 중심으로 김성규, 최익서 p. 201-213

유휴산업시설을 재활용한 복합문화공간의 재생건축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regenerative architecture in complex cultural spaces reutilizing idle industrial facilities 심가인 p. 215-228

프랭크 게리(Frank O. Gehry) 건축의 비(非)가시적 공간에서 나타나는 기하학의 형태적 인식 연구 : A study on the form perception of geometry in the invisible space of Frank O. Gehry's architecture : focusing on the works of Frank O. Gehry's architecture / 프랭크 게리(Frank O. Gehry) 건축 작품을 중심으로 박현아 p. 229-237

공공디자인 진흥을 위한 거버넌스 모델 유형 특성 = A research on governance model types for the promotion of public design 이현성 p. 239-253

바이오필릭 관점을 통해 바라본 정서장애 특수학교의 공간 분석 연구 : A study on the spatial analysis of special schools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through biophilic perspective : focused on the children with autism / 자폐성 장애 아동을 중심으로 김태현, 이남규, 김용성 p. 255-269

지역경제발전 촉진을 위한 라인파크 공공시설 요구 및 개선방향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demand and improvement direction of line park public facilities for the promotion of regional economic development : around Busan Suyeonggang Linear Park : 부산 수영강 라인파크를 중심으로 장한문, 김철수, 강아령 p. 271-282

GIS 모델에 기반한 도심광장 접근성 검증 연구 : A study on the verification of accessibility to urban square based on GIS model : focusing on Magok Square / 마곡 광장 중심으로 황건화, 김주연, 임선희 p. 283-292

한중 서원 공간 디자인 특징에 관한 비교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academy space design in Korea and China 공경군, 최경란, 이성혜 p. 293-304

딥러닝 기반 지역 상업가로의 파사드 디자인 아이덴티티 구별 : Distinguishing facade design identity from local commercial street based on deep learning : focusing on street view image training model in some areas including Seongsu-dong, Seoul / 서울 성수동 등 상업가로 로드뷰 이미지데이터 학습모델을 기반으로 조하영, 이진국 p. 305-314

토마스 사라세노 공중풍경의 관계적 공간 생성 연구 : A study on the relational space creation of Thomas Saraceno aerocene : based on the rhizome concept / 리좀(Rhizome)개념을 바탕으로 김도연, 김지은 p. 315-327

노자 사상을 통해 본 올라퍼 엘리아슨 체험 전시 공간 특성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Olafur Eliasson's experience exhibition space through Lao-tzu's thought 김재찬, 김지은 p. 329-341

중국 커뮤니티 서비스 센터의 공간요소에 대한 사용자 인식 연구 = A study on user awareness spatial elements in Chinese community service center 장신이, 한태권 p. 343-355

국·공립 어린이집의 유니버설디자인 적용 현황 연구 =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universal design in national and public day care centers 하정민, 장영호, 김주연 p. 357-369

근대건축물 가치 보존을 위한 증축 및 리모델링에 관한 연구 : Preserving value through addition and remodeling : Arko Art Museum design proposal / 아르코 미술관 설계안을 중심으로 최유빈, 김진호, 유영수 p. 371-383

유아 연령별 신체발달과 놀이활동을 고려한 클러스터형 유치원 계획 = Planning of cluster-type kindergarten considering physical development and play activities by age of children 이정원 p. 385-396

코로나19 이후 세이프베케이션(Safe Vacation)이 반영된 AI호텔 공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AI hotel space reflecting safe vacation after COVID-19 유하나, 류숙희, 장석훈 p. 397-404

마르셀 브로이어의 주택 대량생산을 위한 "소규모 주택" 연구 = A study on Marcel Breuer's small houses as design strategies for mass production 신은기 p. 405-414

스페이스 브랜딩 평가를 위한 연구 =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space branding 박영채, 김주연, 장영호 p. 415-423

공공디자인 개념 확장을 위한 방향성과 가치 유형 연구 = A study on the direction and value types for expanding the concept of public design 설영동, 장영호, 김주연 p. 425-436

멀티페르소나 사용자 중심의 주거(住居)공간 메타버스 디자인 전략 연구 = A study on the metaverse design strategies of living space for multi persona user 한수진, 이정교 p. 437-451

문화예술센터 공간의 복합화 특성변화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omplexity in Culture and Arts Center 조요셉, 김용성, 이남규 p. 453-463

스페이스 브랜딩의 도시 공공문화공간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urban public culture space through space branding 박영채, 김주연, 장영호 p. 465-474

디자인 상품 크라우드 펀딩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메타버스 공간 디자인 요인 연구 = A study on metaverse space design factors influencing crowdfunding participation in design products 백승은, 이정교 p. 475-486

참고문헌 (20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An, JinYoung, (2018). A study on brand experience based VMD elements : focused case analysis of fashion brands from the perspective of experiential marketing. Chunga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PhM. 미소장
2 An, Youngmi, (2023). Effect of consumption value of MZ generation consumers on purchase behavior intention and satisfaction of vegan cosmetics. Chungbuk University Graduate School, Master Dissertation. 미소장
3 Im, Hanhee, (2023). A Study on Strategic Customer Experience Design of Offline Retail Space Based on the MZ Generation's Lifestyle. Hongik University Graduate School, PhM. 미소장
4 Jang, Yoonjeong, (2021). A Study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Fashion Brand Flagship Store by Brand Experience Element. Hongik University Graduate School, PhM. 미소장
5 Jeong, SuIn, (2018). Brand touchpoints for enhancing the brand experience in Market 4.0 : a study focused on cosmetics brands. Hongik University Graduate School, PhM. 미소장
6 Kim, Chansuk, (2014). A Study on the flexible branding for the expansion of brand experience and value co-creation with customers. Hongik University Graduate School, PhD. 미소장
7 Kim, Ungeol, (2022). A Comparativ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Visual Merchandising (VMD) in Department Stores - Focusing on major department stores in Korea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31(3), Serial No.152, 91-98. 미소장
8 Kim, Yoonhyung, (2019). A study on experiential VMD of SPA brand's flagship store. Hongik University Graduate School, PhM. 미소장
9 Kim, Yumin, (2021). A study on the effect of content creator's brand personality and congruity on behavioral intention. Hansu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PhM. 미소장
10 Lai, Huijuan, (2021). A study on the effects of display design of luxury department stores on consumer shopping propensity based on VMD. DongEui University Graduate School, PhD. 미소장
11 Lee, Eunkyoung, (2010). A Study on VMD Design of Sports Retail Shop by Experiential Marketing. Ehwa University Graduate School, PhM. 미소장
12 Lee, Hyunho, (2006). A Study on the Design Characteries based on the Brands image Distinction Strategies of Korean Cosmetic Brand Shop : through the of case studies from 2000 to present. Chunga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PhM. 미소장
13 Lee, Seungeun, (2017). A case study of the cosmetics flag ship stores using the VMD : focused on the brand 'Innisfree'. Chunga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Master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Graduate School, PhM. 미소장
14 Lee, Umji, (2010). A study of interaction design application for building brand experience : focused on application of interaction design for cosmetic brand 'M.A.C' store. Yonsei University Graduate School, PhM. 미소장
15 Yu, Jeongmin, (2020). Classification of Generation MZ Utility for Function of Mobile Financial Services : Based KANO Model. Kookmin University Graduate School, PhM. 미소장
16 가드, 토마스, (최경남 역), (2019). 브랜드 경험을 디자인하라. 서울 : 유엑스 리뷰. / Gad, T., (2016) Customer Experience Branding. London : Kogan Page. 미소장
17 고영성, (2015). 고영성의 뒤죽박죽 경영상식. 서울 : 스마트북스. 미소장
18 김난도, (2022). 트렌드 코리아 2023. 서울: 미래의 창. 미소장
19 로스만, 로버트, & 듀어든, 매튜, (홍유숙 역), (2021). 팔리는 경험을 만드는 디자인. 서울 : 유엑스 리뷰. Rossman, R., & Duerden, M., (2019). Designing Experience. New York : Columbia Business School Publishing. 미소장
20 코틀러, 필립, & 카타자야, 허마원 & 세티아완, 이완, (이진원 역), (2021). 필립 코틀러 마켓 5.0. 서울 : 더퀘스트. Kotler, P., Kartajaya, H., & Setiawan, I., (2021). Marketing 5.0. Hoboken : Wiley.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