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논문은 ChatGPT와 GPT-3를 중심으로 언어 모델 인공지능(AI)이 문학을 어떻게 변화시키고 있는지, 문학의 창작과 독서, 비평과 교육, 문화산업 등 문학 전반에 미치는 잠재적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AI 문학의 현재와 미래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논문 집필 과정에서도 다양한 AI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했으며, 실제로 언어 모델 AI로 생성한 문학과 비평(해석)의 사례를 제시하며 논의한다.

논문의 2장에서는 언어 모델 AI의 기술적 특징과 한계를 알아보고, 현재의 AI 기술로 문학에서 어떻게 사용될 수 있을지, 그 잠재력과 한계를 다양한 사례 연구로 진단한다. 3장에서는 AI 문학의 미래를 상상한 SF 텍스트를 참조하여 현재의 AI 문학의 변화를 외삽하여 예상해 본다. AI와 인간이 협업해 새로운 형태의 문학을 창작하는 새로운 공동 창조 시대를 가능하게 할 가능성을 살펴볼 것이다.

이 논문은 AI 문학의 현황과 미래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와 비판적 고찰을 제공할 것이다. 문학에서 AI의 역할과 AI 생성 문학이 문학 산업과 사회 전반에 미치는 시사점에 대한 지속적인 대화에 기여한다. 또한 문학의 창작(생산), 독서(수용 및 향유), 비평(이해), 교육(전승) 등에서 혁명을 일으킬 수 있는 AI의 잠재력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할 것이다. 이 논문은 또한 AI 문학이 제기하는 인간 문학의 종언 가능성과 포스트휴먼 문학으로서의 의미를 비롯해 AI 문학의 윤리적, 사회적 영향에 대해서도 논의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영화 <미나리>에 나타난 디아스포라의 문제적 징후들과 내포된 담론들 = The diaspora's problematic signs and implicit discourses in the movie Minari 이채원 p. 1-23

박화성 장편소설 인물묘사방법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ization in Park Hwa-seong’s novels : focused on 『Baekhwa』, 『Dawn of a Northern Country』, 『When you cross the hill』 : 『백화』, 『북국의 여명』, 『고개를 넘으면』을 중심으로 조미숙 p. 1-30

소설 쓰는 로봇 = Fiction-writing robot : ChatGPT and AI-generated literature : ChatGPT와 AI 생성 문학 노대원 p. 1-36

and : <부산행>, <지금 우리 학교는>을 중심으로"> "재생산적 미래주의(reproductive futurism)"로 한국 좀비 영상물 읽기 = Reading Korean zombie videos with "reproductive futurism" : focused on <Train to Busan> and <All of Us Are Dead> : <부산행>, <지금 우리 학교는>을 중심으로 이만강 p. 1-30

모바일 네이티브의 부상과 유동적 소비의 관계 고찰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ise of mobile natives and liquid consumption : focusing on the analysis of the patterns and causes of digital content consumption by mobile native : 모바일 네이티브의 디지털 콘텐츠 소비 양상과 원인 분석을 중심으로 주민재 p. 1-26

시사비판 그래픽노블의 아이코노텍스트적 특질과 서사전략 = The iconotext characteristics and narrative strategies of the current affairs critique graphic novels : focusing on the graphic novel 『NEW KiD』 & 『To Kill a Mockingbird』 : 그래픽노블 『뉴 키드』와 『앵무새 죽이기』를 중심으로 강현구 p. 1-65

참고문헌 (39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김호진, 「창작기계」, 김호진 외, 『창작기계』, 서울창작, 1993. 미소장
2 듀나, 「기생(奇生)」, 『태평양 횡단 특급』, 문학과지성사, 2002. 미소장
3 이세형, 「감정을 할인가에 판매합니다」, 신조하 외, 『감정을 할인가에 판매합니다』, 네오픽션, 2022. 미소장
4 전혜진, 「레디메이드 옵티미스트」, 『아틀란티스 소녀』, 아작, 2021. 미소장
5 에피소드, <블랙 미러> 시리즈. 미소장
6 <화이트 크리스마스>, <블랙 미러> 시리즈. 미소장
7 K. 알라도맥다월 ‧ GPT-3, 『파르마코-AI』, 이계성 역, 작업실유령, 2022. 미소장
8 아이작 아시모프, 「오류 불허」, 「신이 되려 한 알렉산더」, 『아시모프의 과학소설 창작백과』, 김선형 역, 오멜라스, 2008. 미소장
9 「小說製作機械」, 《동아일보》, 1930.12.19.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https://newslibrary.naver.com/ 최종 접속: 2023-01-12) 미소장
10 김미정, 「GPT-3로 AI 철학자 만들어 보니..."인간 철학자와 구분 힘들어"」, , 2022.08.03 (https://www.ai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146149&fbclid=IwAR1CqRa63C5BLHRKD0vcxEol8dihkMfFKEBMQPouvOFz720h9uURgSjOJTM, 최종 접속: 2023.01.25.) 미소장
11 노대원, 「나는 상자 속의 목소리: AI 시인과의 대화」, 『현대시』 2023년 1월호. ―――, 「인공지능이 인간을 지배할 때: SF의 인공지능과 특이점 서사」, 『이화어문논집』 제54집, 이화어문학회, 2021. 미소장
12 노대원, 「한국 문학의 포스트휴먼적 상상력: 2000년대 이후 사이언스 픽션 단편소설을 중심으로」, 『Comparative Korean Studies』 제23권 2호, 국제비교한국학회, 2015. 미소장
13 노대원, 「포스트휴먼 (인)문학과 SF의 사변적 상상력」, 『국어국문학』 제200집, 국어국문학회, 2022. 미소장
14 노대원, 「포스트휴먼과 인공지능 SF 서사」, 『K-문화융합저널』제1권 1호, K-문화융합협회, 2021. 미소장
15 서경숙, 「인공지능 시대의 자동생성문학 연구」, 『현대영어영문학』 제65권 2호, 한국현대영어영문학회, 2021. 미소장
16 이정엽, 「AI를 통한 글쓰기와 작가의 운명: [コンピュータが小説を書く日]을 중심으로」, 『현대소설연구』제68호, 한국현대소설학회, 2017. 미소장
17 이재연 ‧ 한남기, 「창작 보조기에서부터 문장 생성기까지: 글쓰기 기계의 과거와 현재」, 『한국문학연구』 제67집,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21. 미소장
18 “Hallucination (artificial intelligence)”, , 23 January 2023. (https://en.wikipedia.org/wiki/Hallucination_(artificial_intelligence) 최종 접속: 2023.01.24.) 미소장
19 “Latin Verse Machine”, . (https://alfredgilletttrust.org/collections/latin-verse-machine/ 최종 접속: 2023.01.24.) 미소장
20 Alexandra Louise Uitdenbogerd, “Can robots write? Machine learning produces dazzling results, but some assembly is still required”, , September 18, 2020. (https://theconversation.com/can-robots-write-machine-learning-produces-dazzling-results-but-some-assembly-is-still-required-146090, 최종 접속: 2023.01.17.) 미소장
21 Bender, Emily M., et al. "On the Dangers of Stochastic Parrots: Can Language Models Be Too Big?." Proceedings of the 2021 ACM Conference on Fairness, Accountability, and Transparency. 2021. 미소장
22 Billy Perrigo, “Exclusive: OpenAI Used Kenyan Workers on Less Than $2 Per Hour to Make ChatGPT Less Toxic”, 미소장
23 Elstermann, Annika. “Computer-Generated Text as a Posthuman Mode of Literature Production”, Open Library of Humanities 6(2), 31. doi: https://doi.org/10.16995/olh.627 (최종 접속: 2023.01.20.) 미소장
24 Eric Hal Schwartz, “GPT-3 AI Successfully Mimics Philosopher Daniel Dennett”, , August 2, 2022. https://voicebot.ai/2022/08/02/gpt-3-ai-successfully-mimics-philosopher-daniel-dennett/ (최종 접속: 2023.01.25.) 미소장
25 Kate Whiting, “The book character gender gap: AI finds more men in fiction than women”, , May 13, 2022. (https://www.weforum.org/agenda/2022/05/books-gender-gap-ai-women/, 최종 접속: 2023.02.15.) 미소장
26 https://github.com/f/awesome-chatgpt-prompts (최종 접속: 2023.01.25.) 미소장
27 https://infiniteconversation.com (최종 접속: 2023.01.25.) 미소장
28 https://voicebot.ai/2022/08/02/gpt-3-ai-successfully-mimics-philosopher-daniel-dennett/ 미소장
29 https://www.etsy.com/se-en/listing/235375382/plot-robot-wycliffe-a-hill-robo-junior?show_sold_out_detail=1&ref=nla_listing_details (최종 접속: 2023.01.23.) 미소장
30 InderjeetMani, “When robots read books”, , 6 December 2016. (https://aeon.co/essays/how-ai-is-revolutionising-the-role-of-the-literary-critic, 최종 접속: 2023.01.25.) 미소장
31 Leah Henrickson, “Behold the Amazing Poetry-Generating Machine!”, , AUG 29, 2017. (https://slate.com/technology/2017/08/behold-the-amazing-poetry-generating-machine.html 최종 접속: 2023.01.23.) 미소장
32 Mark Riedl, “An Introduction to AI Story Generation”, , June 28, 2021. (https://mark-riedl.medium.com/an-introduction-to-ai-story-generation-7f99a450f615 최종 접속: 2023.01.24.) 미소장
33 Sam Hill, “A Neural Network Wrote the Next 'Game of Thrones' Book Because George R.R. Martin Hasn't”, , August 29, 2017. https://www.vice.com/en/article/evvq3n/game-of-thrones-winds-of-winter-neural-network (최종 접속: 2023.01.26.) 미소장
34 Sara Suárez-Gonzalo, “OpenAI punished dev who used GPT-3 to ‘resurrect’ the dead — was this fair?”, , May 26, 2022. (https://thenextweb.com/news/openai-punished-dev-used-gpt-3-to-resurrect-dead-ethics?fbclid=IwAR3tvbeMAy7ckxs7BzuxGZp1HpKkYtLVvBYcAvr09763u3_D2CfhgHSnWl8, 최종 접속: 2023. 01.25.) 미소장
35 Strasser, Anna, Matthew Crosby, and Eric Schwitzgebel. "Limits and risks of GPT-3 applications." Proceedings of the Annual Meeting of the Cognitive Science Society. Vol. 44. No. 44. 2022. 미소장
36 이재박, 『다빈치가 된 알고리즘』, 엠아이디, 2019. (e-book) 미소장
37 이재박, 『예술과 인공지능』, 엠아이디미디어, 2021. (e-book) 미소장
38 마커스 드 사토이, 『창조력 코드: 인공 지능은 왜 바흐의 음악을 듣는가?』, 박유진 역, 북라이프, 2020. (e-book) 미소장
39 맥스 테그마크, 『맥스 테그마크의 라이프 3.0: 인공지능이 열어갈 인류와 생명의 미래』, 백우진 역, 동아시아, 2017. 미소장